본문 바로가기
Etc/건강관련

한약 제조법

by 恒照 2013. 12. 20.

1. 가미온담탕 加味溫膽湯 

   거담제 (淸熱化痰) 

  진피(陳皮) 3.0  /   반하(半夏) 3.0  /  복령(茯笭) 3.0  /  지실(枳實) 3.0  /  죽여(竹茹) 3.0  /  황금(黃芩) 3.0  /  노근(蘆根) 3.0  /  감초(甘草) 1.0  /  황련(黃連;薑炒) 2.4  /  맥문동(麥門冬) 6.0  /  생강 3편  /  대추 2매 

[ 出  典 ]

醫宗金鑑

◎ 胎前諸證門[熱阻惡食喜凉漿心煩 悶溫膽湯橘半茯甘與枳竹更加芩連蘆麥姜]

註: 惡阻因於胃熱者必嘔吐心中熱煩 悶喜飮凉漿也宜用加味溫膽湯基方卽陳皮半夏茯 甘草枳實 竹茹名溫膽湯更加黃芩黃連蘆根麥門冬引生薑也

[위(胃)의 열 때문에 오조(惡阻)가 있는 사람은 반드시 구토를 하고 심열(心熱)이 나며 답답하고 괴로워서 시원한 국물을 마시기를 좋아한다. 가미온담탕을 사용한다. 이 방은 귤피, 반하, 감초, 지실, 죽여로 된 온 담탕에 다시 황금, 황련, 노근, 맥문동, 생강을 가한 것이다.] 

[ 處方解說 ]

본 방은 온담탕에 황련, 노근, 황금, 맥문동등 진정제, 항균제와 진해제가 가미되어 온담탕증의 환자가 신경성 구토와 기침이 심할 때 사용한다.

1. 정신적 흥분과 스트레스에 의해 대뇌의 중추신경계가 흥분되고, 교감신경계가 흥분되어 불안, 불면, 심계항진, 소화불량 등의 증상이 있고 구토가 심할 때

  * 대뇌의 흥분을 억제하고, 교감신경 흥분을 완화하여 불면과 불안을 완화하며

  * 식욕을 증진하고 구토를 억제한다.

2. 스트레스로 인하여 기관지평활근이 긴장되거나 염증성 기침을 할 때

  * 항균, 소염, 진해작용을 한다.

3. 고지혈증, 고혈당(高血糖)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괴로울 때

  * 혈당(血糖)을 저하하고 혈중지질을 개선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복령, 황금, 황련, 죽여, 노근은 정신안정작용을 하여 대뇌의 흥분을 완화하여 불면, 불안, 심계 항진 증상을 완화한다.

2. 반하, 지실, 귤피는 위장운동능을 강화하여 교감신경계와 중추신경 흥분에 의한 소화불량을 완화한다.

3. 노근은 진정작용과 교감신경 흥분을 완화하여 신경성 구토를 억제한다.

4. 맥문동, 황련은 항균작용이 강하고, 지실, 죽여, 귤피는 항알러지작용을 하며 맥문동, 반하, 귤피는 진해작용을 한다.

5. 황금, 황련은 고지혈증을 개선하고, 맥문동, 노근은 혈당(血糖)을 하강한다.

[ 投  藥 ]

1. 스트레스로 인하여 교감신경계가 흥분하여 소화불량이 되어 구토, 구역이 나타나며 신경성 기침이 심하다.

2. 교감신경흥분과 중추싱경흥분으로 불면, 불안, 심계항진 등이 있고 번조하다.

3. 고혈당으로 인하여 가슴이 답답하고 괴롭다.   

[ 應  用 ]

1. 신경성 소화불량, 구토,

2. 심계항진(心悸亢進), 불안, 불면(不眠)

3. 신경성 해수, 만성기관지염증성 해수.

4. 당뇨, 신경성 고혈압

 


2. 가미패독산 加味敗毒散


   解表劑 (濕熱毒) 

  강활(羌活) 3.0  /  독활(獨活) 3.0  /  전호(前胡) 3.0  /  시호(柴胡) 3.0  /  복령(茯笭) 3.0  /  지각(枳殼) 3.0  /  감초(甘草) 3.0  /  천궁(川芎) 3.0  /  대황(大黃) 3.0  /  창출(蒼朮) 3.0  /  인삼(人蔘) 3.0  /  길경(桔梗) 3.0  /  생강 3편  

出典

景岳全書

◎ 卷五十六散陣 [解利足三陽熱毒寒熱如虐]

   [족삼양경의 열독(熱毒)으로 학질같은 한열(寒熱)이 있는 것을 풀어준다.] 

處方解說

1. 인체의 저항력이 약한데다, 체력도 저하된 사람이, 변비가 있으면서 감기나 신우신염이나 간염 등의 염증에 이환되어 항원항체반응이 만성적으로 지속되어 한열(寒熱)이 왕래하거나 열이 심하고대변, 소변이 불리하며 발적, 화농, 종창의 증상을 나타낼 때

 * 체력과 면역능을 증강시키고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염증을 개선하며

 *변비를 완화하여 혈액을 정화하고 

 * 이뇨를 촉진하여 신우신염으로 인한 부종을 개선하며,

 * 간기능을 강화한다.

2. 발적, 화농, 종창의 증상이 나타나는 피부염, 피부알러지에 변비와 부종을 개선하고, 면역능을 증강한다.

  [참고]: 족삼양경(足三陽經)은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으로서, 신장(腎臟), 대장(大腸), 간장(肝臟)이 관계되는 경락이므로 간염, 변비, 신염 등의 증상  들이 본 방과 관계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인삼, 복령, 감초는 에너지대사를 활성화하여 체력을 강화한다.

2. 지각, 대황은 변비를 개선한다.

3. 길경은 항균, 배농작용을 한다 

4. 복령, 생강, 창출, 지각은 이뇨작용을 하여 신장염으로 인한 부종을 개선한다.

5. 강활, 독활은 염증 국소에 혈액순환촉진작용과 진통, 소염작용을 한다.

6. 대황, 전호는 염증으로 인한 혈전에 항혈전작용을 한다.

7. 시호, 대황은 간기능을 강화한다.

8. 시호, 전호, 지각, 감초는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9. 전호, 길경은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投  藥

1. 발적, 화농, 종창을 나타내는 피부질환에 변비와 부종이 심하다.

2. 오한, 발열, 두통이 있을 수 있다.

 

應  用

1. 감기, 축농증,

2. 습진, 두드러기, 피부발진.

3. 화농성피부염.  



3. 갈근탕 葛根湯 

  解表劑 (表熱) 

  갈근(葛根) 12.0  /  마황(麻黃) 6.0  /  생강(生薑) 6.0  /  대추(大棗) 6.0  /  감초(甘草) 4.0  /  작약(芍藥) 4.0  /  계지(桂枝) 4.0 

出典

1. 傷寒論

◎ (太陽病中編) [太陽病, 項背强  , 無汗惡風, 葛根湯主之,]

  [태양병에 項背가 뻣뻣하면서 아프고, 땀이 나지 않으면서 오슬오슬 추울 때 갈근탕을 반드시 써야 한다.]

◎ (太陽病中編) [太陽與陽明合病者, 必自下利, 葛根湯主之]

  [태양병과 양명병이 합해지면 반드시 설사를 하는데 갈근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2. 금궤요략

◎ (痙濕喝病門) [ 無汗而小便反少, 氣上衝胸, 口禁不得語, 欲作剛痙, 葛根湯主之.]

 [태양병에 땀이 나지 않고 반대로 소변도 적으며, 기가 가슴으로 치밀어 오르며 입을 다물어 열지 못하고, 전신경련을 일으킬 때 갈근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處方解說

강한 이물질(異物質)이 체내에 침입하면 인체는 반응을 격렬하게 하여 고열(高熱)을 내기 위해 한출(汗出)을 억제한다. 이렇게 고열(高熱), 무한(無汗)이 되면 두통(頭痛), 오풍(惡風)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런 증상을 태양병(太陽病) 상한(傷寒)이라 한다.

또한 몸에 들어온 항원 (抗原)을 초기에는 주로 어깨쪽 표피(表皮)로 배설(排泄)하려고 하는 생체의 반응에 의해 어깨가 아픈 증상을 나타낸다.

이렇게 격렬한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방제는 과 같은 작용을 한다.

* 백혈구 주화성(走化性)항진작용과, 면역능증강작용을 한다.

* 배설(排泄), 특히 피부로 발한(發汗)을 촉진하여, 피하(皮下)에 정체된 수용성 노폐물의 배설을 증진하므로 써 해열(解熱), 무한(無汗), 오풍(惡風) 등을 개선한다.

2. 염증의 초기에 혈관 투과성이 항진되면서 부종이 생겼을 때, 세균의 탐식능(貪食能)을 증강(增强)하고 혈관 투과성 항진을 억제하여 염증을 개선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주약(主藥)인 갈근이 Macrophage탐식능(貪食能)을 증강하는 작용을 한다.

2. 계지와 마황이 Influenza virus억제작용을 하고, 마황은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백혈구 주화성을 항진한다.

3. 마황과 생강의 휘발성분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고, 갈근과 계지는 혈관을 확장하므로 써 한선(汗腺)을 자극하여 발한(强發汗)으로 해열한다.

4. 갈근과 작약은 근육의 경련을 완화하는 작용이 강하여 이물질(異物質)을 배제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근육통을 완화한다.

5. 갈근은 강장작용을 하여 비특이적 면역능을 증강시킨다.

6. 작약은 항균작용을 하고, 작약과 갈근은 발한(發汗)했을 때 나타나는 세포의 영양 결핍증에 영양소를 공급한다.

7. 계지와 갈근은 혈관을 확장하여 두통, 견통을 완화한다.


投  藥

1. 땀이 나오지 않는다.

2. 어깨와 목근육이 땅기고 아프다.

3. 열이 있거나 오슬오슬 춥고 아프다.

4. 장점막(腸粘膜)에서 수분 흡수가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정체되어서 설사가 나기도 한다.

應  用

1. 두통, 편두통, 치통(齒痛), 안면통(顔面痛).

2. 등과 어깨가 긴장하거나 아프면서 땀이 나지 않는 모든 증상.

3. 감기, 결막염, 두드러기, 뇌염, 편도선염, 망막염, 부비강염, 임파선염 등의 모든 염증성질환에 땀이 나지않는 것을 목표로 사용한다.

4. 사십견(四十肩), 오십견(五十肩), 고혈압 등에서 항배강급(項背强急)의 증상을 나타낼 때.

5. 자고 나서 목이 잘 돌아가지 않을 때.

6. 중풍, 와사풍의 초기에 많이 사용되야 할 처방이다.

7. 피부염, 습진, 두드러기, 여드름 등의 모든 피부 증상에 분비물이 없는 것을 목표로 사용한다.

8. 잠을 깨지 못해서 나타나는 유아 야뇨증(夜尿症)에.

9. 산모의 유종(乳腫)에, 유즙(乳汁)이 꽉차 있으면서 표피(表皮)가 열여주지 않아서 유즙의 분비가 안될 때 2-3일 복용시키면 효과가 좋다



4. 강활유풍탕 羌活愈風湯 

   治風劑 (辛散祛風) 

  창출(蒼朮) 1.8  /  석고(石膏) 1.8  /  생지황(生地黃) 1.8  /  방풍(防風) 1.2  /  강활(羌活) 1.2  /  당귀(當歸) 1.2  /  만형자(蔓荊子) 1.2  /  천궁(川芎) 1.2  /  황기(黃耆) 1.2  /  인삼(人蔘) 1.2  /  지골피(地骨皮) 1.2  /  백지(白芷) 1.2  /  지모(知母) 1.2  /  시호(柴胡) 1.2  /  구기자(拘杞子) 1.2  /  마황(麻黃) 1.2  /  두충(杜仲) 1.2  /  진교(秦교) 1.2  /  백작약(白芍藥) 1.2  /  감초(甘草) 1.2  /  복령(茯笭) 1.2  /  반하(半夏) 1.2  /  숙지황(熟地黃) 1.2  /  전호(前胡) 1.2  /  세신(細辛)1.2  /  감국(甘菊) 1.2  /  박하(薄荷) 1.2  /  독활(獨活) 1.2  /  육계(肉桂) 0.6  /  황금(黃芩) 1.2 

出典

  醫學發明

◎ [療腎肝虛筋骨弱語言難精神昏  及治風濕 內弱者 是風熱體重也或瘦而一肢偏枯 或肥而半身不遂 或恐而健忘喜已多思 思忘之道皆精不足也故心亂則百病生靜則萬病息是以此藥能安心養神調陰陽無 偏勝]

[肝腎이 허약하여 근골이 약하고 언어가 잘 되지 않고 정신이 혼미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風濕으로 몸이 약해지는 것도 치료한다. 風熱로 몸이 무거워지거나 혹은 몸이 말라서 한쪽이 마비되거나 혹은 뚱뚱하면서 반신불수가 되고 잘 놀라며 건망증이 심하고 생각이 너무 많은 것은 모두 정(精)이 부족한 연고이다. 고로 심란하면 백병이 생기고 안정하면 만병이 고쳐지니 이 약으로 능히 안심양신(安心養神)하여 음양의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處方解說

평소에 원기가 없고 빈혈성인 사람이 중풍으로 인하여 신체의 일부가 마비되고, 근육이 약화되어 있으며 혈액순환이 안되고 통증이 있으며 마비된 부분에 순환부전으로 피부궤양과 감염증이 생겼을 때

* 에너지대사를 촉진하여 원기를 강화한다

* 조혈(造血)작용과 혈액순환촉진작용을 한다.

* 마비된 근육의 기능을 강화한다.

* 혈류부전으로 인한 부종을 개선한다.

* 감염증을 예방하고 치료한다.

* 소화 흡수를 촉진한다.

* 진통작용을 한다. 

* 항균작용을하여 피부의 궤사를 억제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당귀, 작약, 천궁, 숙지황은 조혈작용을 하여 빈혈을 개선하고 보간(補肝)작용을 한다.

2. 구기자, 두충은 골격근을 강화하고 강장작용을 한다.

3. 마황, 백지, 천궁, 세신, 감국, 박하,육계는 혈관을 강화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중풍으로 인한 마비를 완화한다.

4. 방풍, 강활, 독활은 혈류부전으로 인한 부종을 개선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5. 지모 지골피, 황금, 강활, 진교, 감국은 항균작용을 하고 면역능을 증강하여 감염증을 예방한다.

6. 황기, 인삼, 감초는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여 보기(補氣)작용을 한다.

7. 석고, 시호, 강활, 독활,지모, 진교, 백지, 만형자는 해열 진통작용을 한다.

8. 지각, 반하는 소화와 흡수를 증진한다.

9. 전호, 생지황은 항혈전작용을하여 혈류부전에 의한 혈소판응고를 억제하고 전호는 거담작용을 한다.

10. 창출, 황기는 이뇨작용을 하여 혈류부전에 의한 부종을 개선한다.

11. 만형자는 혈액순환 부전에 의한 궤양국소를 수복한다.

12. 시호, 세신, 황금은 혈류부전에 의한 알러지를 억제한다.


投  藥

발현증상

1. 근육과 골격이 허약하여 움직이는데 힘이 들고 통증이 있다.

2. 중풍으로 한쪽이 마비되었거나 반신불수가 되었다.

3. 마비로 인한 피부 궤양과 염증이 있다.   

應  用

1. 중풍마비로 인한 반신불수와 소화불량.

2. 중증근무력증

3. 근육마비통

4. 피부 궤양과 염증.  



5. 계지가용골모려탕 桂枝加龍骨牡呂湯 

  安神劑

  계지(桂枝) 6.0  /  작약(芍藥) 6.0  /  대추(大棗) 6.0  /  생강(生薑) 6.0  /  감초(甘草) 4.0  /  용골(龍骨) 6.0  /  모려(牡蠣) 6.0  

出典

금궤요략

◎ (虛勞病門) [夫失精家, 少腹弦急, 陰頭寒, 目眩, 發落, 脈極虛葵遲, 淸穀亡血失精, 脈得諸 葵動微緊, 男子失精, 女子夢交, 桂枝加龍骨牡呂湯主之.]

[失精한 남자는 아랫배가 땡기고, 음경의 끝이 차고(寒), 어지럽고 머리카락이 잘 빠지고,脈이 극도로 허약하고 느리며, 섭취한 곡식을 소화시키지 못하고 그대로 설사하고 빈혈이 있으며 정력이 弱하다. 脈이 모두 허풍선이 같으면서 약간 긴장된 사람은 남자는 失精되고 여자는 夢交를 하게 된다. 계지가용골모려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處方解說

1. 인체에 칼슘이 부족하여 신경이 예민해지고, 설사가 잘 나며,

2. 교감신경 흥분으로 한출(汗出)이 심하고, 건망증(健忘症), 심계항진(心悸亢進), 불면(不眠), 피로감 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

 * 칼슘을 대량 공급하여 아세틸콜린합성을 촉진하므로 써 신경의 이상흥분을 완화하고, 교감신경의 흥분을 억제하여 심계항진, 불면증을 개선하고 설사증상을 완화한다.

3. 교감신경 흥분이나 또는 항원항체반응에 의하여 한출(汗出)이 나타날 때

 *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한출(汗出)로 인한 진액(津液)의 배설을 억제한다.

4. 한출이 있고, 신경이 예민한 사람이 뇌파의 이상 발작을 나타낼 때

 * 뇌파의 이상발작을 완화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용골, 모려는 칼슘을 공급하여 아세틸콜린의 합성을 촉진하므로 써 교감신경 흥분을 완화하여 신경을 안정시키고, 불면증상을 개선한다.

   또 칼슘이 장(腸)운동을 강화하여 설사증상을 개선한다.

2. 계지는 혈관을 확장하여 혈류를 느리게 함으로써 한출(汗出)을 완화하고 대추, 작약은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발한(發汗)을 억제한다.

 

投  藥

1. 뇌신경쇠약(腦神經衰弱)으로 인한 피로감. (소건중탕증의 피로감은 저혈당증에서 비롯된다.)

2. 성적(性的)신경쇠약과 건망증, 자율신경 실조증의 증상을 나타내어 불안, 심계항진, 불면, 다몽(多夢) 등이 나타난다.

3. 머리카락이 잘 빠진다.

4. 곡식이 소화되지 않고 그대로 설사와 함께 나온다.

5. 아랫배의 근육이 긴장되어 있다.(少腹弦急)

6. 신체가 여위고 윤기(潤氣)가 없으며 어지러움증이 있고 사지권태(四肢倦怠), 구순건조(口脣乾燥), 아랫배가 땡겨서 뻣뻣하다.   

應  用

1. 성적(性的)신경쇠약, 몽정(夢精), 몽교(夢交).

2.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그냥 나온다.

3. 머리카락이 잘 빠지거나 비듬이 많은 사람으로 피로감이 심하고 상기(上氣)가 잘 된다.(탈모증, 禿頭病)

4. 신경쇠약, 불면증, 노이로제 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또 건망증(健忘症)이 심할 때.

5. 야뇨증(夜尿症), 전립선비대증, 소아야체증(少兒夜涕症), 마음이 불안정하고 동계(動悸), 잘 놀라는 증상에.

6. 부인들의 월경불순, 다몽(多夢), 건망증(健亡症)에.

7. 시험 점수가 갑자기 이유 없이 떨어지는 수험생은 주로 성적(性的)인 문제가 많이 관련되므로 본 방증이 많이 나타난다.

8. 갑상선기능항진(甲狀腺機能亢進)환자에 본방증이 많다.



6.계지작약지모탕, 계작지모탕/桂枝芍藥知母湯, 桂芍知母湯

  安神劑 

 계지(桂枝) 8.0  /  지모(知母) 8.0  /  방풍(防風) 8.0  /  백작약(白芍藥) 6.0  /  마황(麻黃) 4.0  /  백출(白朮) 10.0  /  감초(甘草) 4.0  /  포부자(暑附子) 2.0 

出典

금궤요략

◎ (中風歷癤病門) [諸肢節疼痛, 身體 羸, 脚腫如脫, 短氣, 溫溫欲吐, 桂枝芍藥知母湯主之.]

[모든 마디마디가 아프며 몸이 앙상하게 마르고 다리가 부어서 빠질 듯이 아프고 숨이 차며 속이 메슥거려 토하고 싶을 때 계지작약지모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處方解說

1. 평소에 심장 기능이 약한 사람이, 면역능이 저하되어, 관절에서의 만성적인 항원 항체 반응과 관절 연골의 노화로 관절 연골이 파괴되거나 관절의 영양이 부족하여 관절이 퇴행되어 있는 퇴행성 관절 질환에

* 관절에 영양을 공급하고,

* 관절 세포의 면역능을 증강시킨다.

2. 관절의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관절활막에 부종이 심하거나 결합조직이 비후(肥厚)되어 있는 관절류머티 또는 만성 관절염에 ;

* 관절활막의 부종을 억제하고 결합조직의 비후(肥厚)를 개선하며

* 항균 작용을 하고,

* 해열 진통작용을 하여 관절의 통증을 경감시킨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부자, 방풍, 지모는 진통 작용이 있다.

2. 백출, 계지, 지모, 마황, 방풍은 이뇨작용을 하여 피하 부종, 관절의 부종을 완화한다.

3. 부자, 계지, 마황은 면역능을 강화하여 염증을 빨리 개선한다.

4. 계지, 지모, 방풍은 해열 작용을 한다.

5. 계지와 작약, 마황, 방풍은 발한(發汗)을 촉진하여 피하 부종을 개선한다.

6. 부자, 계지, 백출은 관절에 영양을 공급한다.

7. 방풍, 지모, 작약은 항균작용을 하여 관절의 염증을 완화한다.


投  藥

1. 바짝 마르고, 여윈 사람이 사지 관절 혹은 어느 한 개의 관절이 붓고, 통증을 호소한다.

2. 심장이 약하여 숨이 차고 속이 느글느글하면서 토할 것 같다.

3. 관절이 퇴행되어 굽으면서 기형이 된다.

應  用

1. 퇴행성 관절염

2. 관절류마치스, 관절염에 요통(腰痛)과 학슬풍이 있으면서 뼈마디가 빠져나갈 것 같이 아플 때.

3. 학슬풍이 아니더라도 관절이 붓고 아프고 기상충(氣上衝)이 있을 때



7. 곽향정기산 藿香正氣

  和解劑 (脾胃不和) 

  대복피(大腹皮) 4.0  /  소엽(蘇葉) 4.0  /  곽향(藿香) 8.0  /  백지(白芷) 4.0  /  백출 (白朮) 4.0  /  진피(陳皮) 4.0  /  길경(桔梗) 4.0  /  반하(半夏) 4.0  /  감초 (甘草) 4.0  /  후박(厚朴) 4.0  /  복령(茯笭) 4.0  /  생강(生薑) 4.0  /  대추 (大棗) 4.0 

出典

和劑局方,

◎ (傷寒門) [治傷寒頭疼, 憎寒壯熱, 上喘咳嗽, 五勞七傷, 八般風痰, 五般膈氣, 心腹冷痛, 反胃嘔惡, 氣瀉藿亂臟腑虛鳴, 山嵐장栖, 遍身虛腫, 婦人産前産后, 血氣刺痛, 小兒疳傷, 竝皆治之.]

[傷寒에 두통, 오한, 발열하고 기침을 하며 숨이 차고 피로하고 전신이 괴롭다. 또 소화불량하여 체한 것이 그대로 있으면서 배가 차고 아프며 위장이 움직이지 않고 구역, 오심이 있고 곽란으로 설사를 하며 헛배가 부르고 배에서 소리가 난다. 열대성 전염병에 감염되어 전신이 붓는다. 산전산후에 어혈로 몸이 쑤시듯이 아프다. 소아는 비위가 손상되어 영양흡수가 장애를 받아서 몸은 야위며 헛배가 부르고 만성소화불량이 있다. 이 모든 병을 고친다.]

♣ 산남장학(山嵐장虐) : 열대성전염병인 말라리아, 장티푸스, 뇌염 등에 감염된 것.

♣ 소아감상(小兒疳傷) : 소아의 이유(離乳)가 너무 빨랐거나 음식을 조절하지 못해서 비위(脾胃)가 손상되어 영양흡수가 잘 되지 못하여 얼굴은 누렇게 뜨고 몸은 야위며 복부는 팽만하고 만성소화불량을 나타내는 것


處方解說

1. 감기 등의 가벼운 감염성질환에 걸리거나

2. 소화불량이 있는 사람이, 대장염에 이환 되어

   열이 나고 두통이 있으며 기침과 가래가 있으면서

   구토, 설사 또는 이급후중이 있고,

   소화관에는 내용물의 적체증상이 있고, 복부팽만감이 있을 때

 * 가벼운 감기 즉, 기침, 가래, 발열 등의 증상을 개선하는 작용을 하고,

 * 소화관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관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하고,

 * 소화관벽 점막의 부종을 완화하여 구토, 설사, 복부팽만감, 산전산후의 부종 등을 개선한다.

 * 항균작용을 하여 대장염증상을 완화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감염성질환에 대하여

1. 소엽, 곽향, 길경, 후박은 감기, 기관지염, 폐렴에 항균작용을 하여 염증증상을 개선한다.

2. 소엽은 피부혈관을 확장하여 발한(發汗)을 증진하므로 써 해열(解熱)한다.,

3. 후박, 소엽, 진피, 반하, 곽향은 진해작용과 거담작용을 한다.   

4. 백지는 해열, 진통작용을 하여 감기로 인한 발열, 두통을 완화한다.


소화기질환에 대하여

5. 반하는 Acetylcholine이 위장운동능을 강화하고 위산분비를 촉진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증진한다.

6. 후박, 대복피, 길경, 곽향, 소엽은 대장염에 항균작용을 하여 급만성 장염으로 인한 발열, 복통 증상을 개선한다.

7. 대복피, 소엽, 곽향, 위장의 Pace maker를 강화하고, 진피는 담즙분비를 촉진하여 위장운동을 촉진한다.

8. 백출, 복령, 생강, 대복피는 소화관점막의 부종을 완화하여 구토, 설사증상을 개선하고 인체의 부종을 완화한다.

投  藥

1. 두통과 발열과 소화불량[또는 설사, 또는 위내정수]이 동시에 나타난다.

2. 부종(浮腫).

3. 복부팽만감.

4. 구토.

5. 하리.

6. 복통

應  用

1. 감기.

2. 소화불량.

3. 만성하리.



8.구미강활탕 九味羌活湯 

   解表劑 (濕) 

  강활(羌活) 1.5  /  방풍(防風) 1.5  /  천궁(川芎) 1.5  /  백지(白芷) 1.5  /  창출(蒼朮) 1.5  /  황금(黃芩) 1.5  /  생지황(生地黃) 1.5  /  세신(細辛) 1.5  /  감초(甘草) 1.5 

出典

此事難知

◎ 卷一 [經云有汗不得服麻黃, 無汗不得服桂枝, 若此服則其變不可勝數故立此法使不犯三陽禁忌解利神方]

[만약에 환자가 땀이 나면 마황을 사용할 수 없고, 땀이 나지 않으면 계지를 사용할 수 없다. 만약 이것을 복용하면 그 것을 극복할 수 있다. 고로 이 법은 삼양(三陽)의 금기를 풀 수 있는 귀신같은 처방이다.]


處方解說

마황제를 사용하여 발한(發汗)할 수 없을 정도로 몸이 약하고, 계지제를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강한 감기에 걸려서 땀이 나지 않고, 열이 있으며, 통증이 있으며 기관지염이나 알러지로 기침이 날 때,

* 강발한(强發汗)시키지 않고, 약발한(弱發汗)시켜 열을 배설하고,

* 항균작용과

* 진통작용을 하며

* 피하 부종을 이뇨로 배설하며,

* 항알러지작용, 진해작용을 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강활, 방풍, 천궁, 세신, 백지는 약한 발한(發汗)작용을 하여 체열을 땀으로 약하게 배출한다.

2. 창출은 발한(發汗)이 강(强)하지 못하여 땀으로 완전히 배설되지 않은 체열과 부종을 소변을 통해 배설한다.

3. 강활, 황금, 방풍은 항균 작용을 한다.

4. 생지황은 발한에 의한 영양분의 손실을 보충하고, 염증에 의한 혈전을 개선한다.

5. 강활, 백지는 해열작용을 한다.

6. 강활, 백지, 방풍, 천궁은 진통작용을 한다.

7. 세신, 감초, 황금은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投  藥

발현증상

1. 감기로 두통이 있고 부종이 있다.

2. 발열, 오한이 있고 땀은 없다.

3. 골절이 아프다.

應  用

1. 땀이 나지 않는 감기

2. 발열, 골절동통.



9. 궁귀교애탕 芎歸膠艾湯

   活血祛瘀劑 (溫經散寒) 

  천궁(川芎) 4.0  /  당귀(當歸) 6.0  /  애엽(艾葉) 6.0  /  작약(芍藥) 8.0  /  건지황(乾地黃) 8.0  /  감초(甘草) 4.0  /  아교(阿膠) 4.0 

出典

1. 太平惠民和劑局方

◎ 婦人諸疾門 [治勞傷血氣, 衝任虛損, 月水過多, 淋瀝漏下, 連日不斷, 臍腹疼痛, 及姙娠將攝失宜, 胎動不安, 腹痛下墜, 或勞傷胞絡, 胞阻漏血, 腰痛悶亂, 或因損動, 胎上 心, 奔衝短氣, 及因産乳, 衝任氣虛, 不能約制, 經血淋瀝不斷, 延引日月, 漸成羸瘦]

[과로로 인하여 기혈이 허손해지는 것을 고친다. 충임이 약하고 월경이 과다하며, 임질로 인한 대하가 끊이지 않고, 배꼽주위가 아픈 것을 고친다. 또는 임신이 튼튼하게 되지 낳아서 태동이 불안하고 복통이 있으며 유산하는 것을 고친다. 또는 과로로 인하여 임신하혈이 있고, 허리가 심하게 아프거나 혹은 태가 위로 치받쳐서 호흡이 곤란하거나 혹은 수유로 인하여 충임이 허손하여 자궁이 약해져서 경혈이 멈추지 않고 계속되어 몸이 점점 여위는 것을 치료한다.]

處方解說

빈혈이 있으면서 혈관이 약하여 출혈이 있을 때

* 조혈작용을 하며

* 혈관을 강화하여 출혈증을 개선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지황, 천궁, 당귀, 작약은 조혈작용을 하여 빈혈을 개선한다.

2. 애엽, 아교, 당귀는 지혈작용을 한다


投  藥

1. 빈혈이 있으며 출혈이 잘 된다.

應  用

1. 임신하혈

2. 빈혈성코피

3. 자궁하혈

4. 갱년기장애성 하혈



10. 귀비탕 歸脾湯 

   補益劑 (補血劑)

  황기(黃耆) 6.0  /  인삼(人蔘) 6.0  /  백출(白朮) 6.0  /  복령(茯笭) 6.0  /  당귀(當歸) 4.0  /  원지(遠志) 4.0  /  산조인(酸棗仁) 6.0  /  용안육(龍眼肉)6.0  /  생강(生畺) 4.0  /  대추(大棗) 4.0  /  감초(甘草) 2.0  /  목향(木香) 2.0 

處方解說 

뇌세포에 영양공급이 안되고, 신경이 쇠약하며, 빈혈이 있어서 건망증, 집중력이 저하되고,

피부와 모발은 건조하며, 빈혈이 있고 체력은 쇠약해져 있을 때 ;

* 조혈작용을 하고, 뇌세포에 영양공급과

* 심장과 신경의 기능을 강화하고,

* 체력을 증진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백출, 복령, 목향, 원지, 산조인, 용안육은 중추신경의 흥분을 완화하여 진정작용을 한다.

2 당귀는 조혈작용을 하여 빈혈을 개선한다.

3. 용안육, 인삼, 황기는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체력을 증진한다.

4. 인삼, 백출, 생강은 소화관운동능을 강화한다.

5. 백출, 복령은 혈허로 인한 부종일 때 이뇨를 증진한다.

6. 인삼, 백출, 생강은 소화관운동능을 강화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한다.

投  藥

1. 무기력.

2. 불면증, 건망증, 신경쇠약.

3. 빈혈, 안색창백.

4. 심계항진.   

應  用

1. 소화불량 등의 소화기질환을 호소하는 사람의 악성빈혈, 백혈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처방이다.

2. 빈혈이 심한 사람의 불면증, 건망증, 신경쇠약증에 사용된다.

3. 심계항진, Neurose, 잘 놀라면서 도한(盜汗)이 있을 때.

4. 월경불순, 하혈, 토혈(吐血) 등.

5. 지황제가 처방된 보약을 먹고 가슴이 답답하거나, 다른 보약을 먹고 체한 것 같을 때 본 방을 사용하면 가슴이 시원해진다.

6. 폐결핵, 경부 임파선결핵 등.

7. 시호 3.0g, 치자 2.0g를 가하면 가미귀비탕이 되는데 이 처방은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한 고점도혈증(Hematocrit치는 낮으면서)을 개선한다.



11. 귀출파징탕 

   活血祛瘀劑 (理氣逐瘀) 

   향부자(香附子) 4.5   /   삼릉(三稜) 3.0   /   봉출(蓬朮) 3.0   /   적작약(赤芍藥) 3.0   /   백작약(白芍藥) 3.0   /   당귀미(當歸尾) 3.0   /   청피(靑皮) 3.0   /   오약(烏藥) 2.1   /   홍화(紅花) 1.5   /   소목(蘇木) 1.5   /   육계(肉桂) 1.5 

出典 東醫寶鑑

◎ [治月經不通 腹中積塊疼痛]

   월경의 불통과 뱃 속의 덩어리를 다스린다.] 

處方解說

1. 인체의 어느부위에 혈전이나 종양, 또는 염증이 생겨서, 혈관벽에 혈소판응고가 항진되어 혈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월경이 원활하게 나오지 못하고 뱃속에 혈종(血腫)이 있으면서 통증이 있을 때

 * 혈소판 응고를 억제하고 파혈(破血)작용을 하며 진통작용이 있다.

 * 항균작용과 항종양작용을한다.

2. 신경성 소화불량으로 복부팽만감이 있을 때

 * 소화흡수를 촉진하여 뱃 속의 가스를 제거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소목, 홍화, 삼릉, 봉출, 적작약, 오약은 항혈전작용을 하고, 혈소판응고를 억제한다.

2. 작약은 항균작용을 하고, 삼릉, 봉출은 항종양작용을 한다.

3. 당귀미, 백작약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4. 향부자는 신경성 식욕부진을 개선하고 청피는 소화액분비를 항진하며 오약, 육계는 위장의 연동운동을 강화하여 소화를 촉진한다.

5. 향부자는 혈전으로 인한 통증에 진통작용을 한다.

6. 향부자, 작약은 진통작용이 있다.


投  藥

1. 월경이 불순하고 복통이 있다.

2. 자궁에 혈종(血腫)이 있다.

3. 소화관 벽의 혈소판응고로 소화불량이 있다.   

應  用

1. 자궁내막염, 월경불순, 월경통,

2. 불임

3. 자궁근종, 자궁혈종

4. 자궁내막증식증, 자궁암.

5. 위암, 위종양.

6. 뇌혈전, 뇌종양.


12. 금수육군전 

  거담제 (溫化寒痰) 

  숙지황(熟地黃) 9.0-15.0   /   당귀(當歸) 6.0   /   반하(半夏) 6.0   /   백복령(白茯笭) 6.0   /   진피(陳皮) 4.5   /   감초(甘草) 3.0   /   생강3-7편 

出典 景岳全書

◎ 卷五十一和陣 [治肺腎虛寒水泛爲痰或年邁陰虛血氣不足外受風寒咳嗽嘔惡痰喘急等證神效]

[폐와 신(腎)이 허한(虛寒)하여 물이 넘쳐서 담이 생기고 혹은 늙어서 음(陰)이 허하고 혈기가 부족해져서 風寒에 외감되어 기침을 하고 구역질을 하고 가래가 많으며 숨이 찰 때 신효한 효과가 있다.]   

處方解說

평소에 혈허한 사람이 감기에 걸리거나 기관지염에 걸려서 기침하고 가래가 끓을 때

* 빈혈을 개선하고

* 완만한 진해작용을 하며

* 이뇨작용을 통해 점막의 부종을 개선한다.

* 진토작용을 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숙지황, 당귀는 조혈작용을 하여 빈혈을 개선한다.

2. 반하, 진피, 감초는 진해작용을 한다.

3. 백복령은 이뇨작용을 하고 정신을 안정시킨다.

4. 반하, 진피는 진토작용을 한다.


投  藥

1. 혈허하면서 기침을 한다

2. 부종이 있다.

3. 구역질, 구토가 난다.   

應  用

허약한 체질자의 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기관지 천식



13. 녹용대보탕 鹿茸大補湯 

    補益劑 (補陽劑)

  육종용(六從蓉) 3.0   /   두충(杜仲) 3.0   /   백작약(白芍藥) 2.1   /   백출(白朮) 2.1   /   부자(附子) 2.1   /   인삼(人蔘) 2.1   /  육계(肉桂) 2.1   /   반하(半夏) 2.1   /   석곡(石斛) 2.1   /   오미자(五味子) 2.1   /   녹용(鹿茸) 2.1   /   당귀(當歸) 2.1   /   백복령(白茯 ) 2.1   /   숙지황(熟地黃) 1.5   /   감초(甘草) 0.75 

出典 雜病源流犀燭 

 

處方解說

1. 빈혈이 있고 기운이 없으며 허리에 힘이 없거나, 성적(性的)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때 ;

* 조혈작용을 하고,

* 심장기능을 강화하며

* 성적(性的)기능을 강화하고 근육의 피로 회복을 촉진한다.

2. 허증의 고혈압 증상에 혈압을 하강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녹용, 당귀, 작약, 지황은 조혈작용을 한다.

2. 인삼, 백출, 복령, 감초는 에너지 생성을 촉진한다.

3. 육계, 황기, 오미자는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세포에 영양을 공급한다.

4. 부자, 육종용, 두충, 오미자, 녹용은 근육을 강화하고 강장작용을 한다.

5. 반하, 석곡은 위장운동능을 강화한다.

6. 두충, 석곡, 육종용은 혈압을 하강한다.

 

投  藥

1. 기운이 없고 빈혈이 있으며 성적 기능이 저하되어 있다.

2. 허리가 아프고 펴기가 힘들며 근육통이 있다.

3. 유정, 대하가 있다.   

應  用

1. 요통, 음위(陰 ), 유정(遺精)

2. 불임, 빈혈, 이명(耳鳴)

3. 허증의 고혈압



14.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 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 

    溫裏劑 (溫經散寒)

   당귀(當歸) 6.0  /  계지(桂枝) 6.0  /  작약(芍藥) 6.0  /  세신(細辛) 6.0  /  대추(大棗) 12.0  /  오수유(吳茱萸) 4.0  /  생강(生薑) 16.0  /  목통(木通) 8.0  /  감초(甘草) 8.0 

出典 傷寒論

◎ (厥陰病編) [手足厥寒, 脈細欲絶者, 當歸四逆湯主之. 若其人內有久寒者, 宜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主之.]

[손발이 아주 심하게 차고, 맥이 약하여 끊어질 듯한 자는 당귀사역탕을 사용한다. 만약 그 사람이 몸속의 寒이 오래된 자는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을 사용해 볼 만하다.]   

處方解說

심장의 혈액 박출능이 약하고, 혈관은 수축되어 있고, 혈관운동능도 저하되어 있으며, 체열에너지의 생산기능도 약하여, 추위를 많이 타고, 몸이 냉(冷)하며 혈관이 막히려고 할 때 ;

* 조혈기관을 자극하여 적혈구 생성을 촉진한다.

* 심장운동을 강화하여 박출량을 증진한다.

* 혈관을 확장하고 혈관운동능을 강화하며

* 체열에너지의 생산을 증진하므로 써 인체의 말단부위까지 체온전달을 원활히 하여 수족(手足)의 냉감(冷感)을 완화하며, 피부 말단 세포의 괴사를 억제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당귀, 계지, 오수유, 작약은 혈관을 확장한다.

2. 생강은 혈관운동중추를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3. 세신은 열에너지대사를 촉진하여 온난감을 증진한다.

4. 오수유, 목통, 감초는 강심작용을 하여 혈액박출량을 증가한다.

5. 대추, 세신은 혈액순환부전에 의한 알러지에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投  藥

1. 뱃속에 얼음 덩어리가 있다고 느낀다. 뱃속뿐만 아니라 몸의 어느 부분이던지 시린감을 느끼기도 하고 다른 사람이 만져 봐도 냉감(冷感)이 있다.

2. 손발이 차서 찬물에 넣을 수 없을 때나 이런 증상을 나타내면서 좌골신경통을 호소한다.

3. 수족이 차고 맥(脈)이 가늘고 작은 것을 목표로 한다.

4. 배는 전체적으로 허만(虛滿)하고 저력이 없으며 표면은 긴장하여 복직근이 구련하고 있을 때가 많다.

5. 또 배에 가스가 잘 차고, 배가 아플 때가 많다. 이는 내장(內臟)에 분포된 혈관의 운동능 부족으로 인한 혈액공급의 부족도 한 원인이 되고, 또 내장평활근근육의 장력(張力)부족도 또 하나의 원인이 된다.

6. 아랫배가 땅기고 사지가 냉(冷)하고 아프며 혹은 온몸에서 벌레가 기어다니는 것과 같은 이상감(異狀感)과 두통이 나타난다.

7. 겨울이면 손발이 몹시 차다.   

應  用

1. 한냉성(寒冷性)소화불량, 설사[위벽에 분포되어 있는 모세혈관에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서 생기는 만성소화불량, 만성하리, 위궤양 등에 처방되며 이때는 배에 가스가 찬다는 것을 호소할 때가 많다.], 십이지장궤양.


2. 좌골신경통, 관절류마티스, 만성관절염, 신경통, 요통.

3. 만성복막염, 자궁탈출, 월경곤란.

4. Gas가 잘 차는 만성한냉성(慢性寒冷性)충수염.

5. 혈전성 정맥염, Burger's Disease.

6. 겨울이면 손발이 몹시 차다.

7. 동상과 Raynaud's에는 무조건 처방된다.



15. 당귀수산 當歸鬚散 

   活血祛瘀劑 (理氣活血) 

  당귀미(當歸尾) 9.0  /  적작약(赤芍藥) 9.0  /  오약(烏藥) 9.0  /  향부자(香附子) 9.0  /  소목(蘇木) 6.0  /  홍화(紅花) 6.0  /  도인(桃仁) 6.0  /  계지(桂枝)  /  감초(甘草) 3.0  /  달여서 물과 술을 반씩 타서 복용한다. 

出典 醫學入門  處方解說

타박(打撲)이나 낙상(落傷)등으로 전신 또는 국소에 혈전(血栓)이나, 혈관 울혈이 생겨서 아프고 복부팽만감이 있을 때 :

* 혈소판응고를 억제하고, 혈관울혈을 풀어 주며

* 진통작용을 한다.

* 혈전으로 인한 복부팽만감을 개선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당귀미, 계지는 혈관을 확장한다.

2. 적작약, 오약, 소목, 홍화, 도인은 할혈전작용을 하여 타박으로 인한 혈전을 용해한다. 

3. 향부자, 당귀미, 적작약은 혈전으로 인한 통증에 진통작용을 한다.

4. 향부자, 오약은 혈전으로 인한 복부팽만감에 장연동운동을 촉진하여 복부 팽만감을 개선한다.


投  藥

1. 타박으로 인한 어혈, 멍이 들어 있다.

2. 통증이 있다.   

應  用

1. 타박상, 낙상

2. 수술후 혈전



16.당귀육황탕 當歸六黃湯 

   청열제 (淸瀉肝膽)

  황기(黃耆) 6.0  /  숙지황(熟地黃) 2.1  /  생지황(生地黃) 2.1  /  당귀(當歸) 2.1  /  황금(黃芩) 2.1  /  황련(黃連) 2.1  /  황백(黃柏) 2.1 

出典

蘭實秘藏    處方解說

교감신경, 중추신경 흥분성 체질자가 혈액의 점도는 높고 빈혈이 있으며 세포에는 영양이 부족하고 체내에서 만성적으로 항원항체반응을 하여 도한(盜汗)이 날 때

*중추신경계와 자율신경계를 조절하고

* 혈액의 고점도를 개선하며

* 빈혈을 완화하고

*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며

* 항균작용을 하여 도한(盜汗)을 개선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숙지황, 당귀는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여 빈혈을 개선한다.

2. 황금, 황련은 교감신경 흥분을 완화한다.

3. 황금, 황련, 생지황은 혈액의 고점도를 개선하고 항혈전작용을 하여 혈류를 촉진한다.

4. 황기는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만성염증으로 인한 영양의 부족에서 기인하는 도한(盜汗)을 완화한다.

5. 황백은 항균작용이 강하여 만성 염증을 개선한다.


投  藥

  발현증상

  1. 도한(盜汗)이 있고, 가슴이 답답하며 상역감(上逆感)이 있다.

  2. 신경질이 나고, 잠이 잘 오지 않는다.

  3. 입이 건조하고 만성 열감이 있다.

  4. 만성적인 염증이 있다. 

應  用

  1. 도한(盜汗)

  2. 상역감(上逆感), 고지혈증(高脂血症)

  3. 만성염증, 백혈병, 폐결핵등 만성 발열성질환.



17. 당귀작약산 當歸芍藥散 

   和解劑 (肝脾不和)

  당귀(當歸) 3.0  /  작약(芍藥) 16.0  /   복령(茯笭) 4.0  /  백출(白朮) 4.0  /  택사(澤瀉) 8.0  /  천궁(川芎) 8.0 

出典

금궤요략 ◎ (婦人妊娠病門) [婦人懷孕, 腹中 痛, 當歸芍藥散主之]

[부인의 임신중에 배가 땡기고 아프면 반드시 당귀작약산을 사용한다.]

◎ (婦人雜病門) [婦人腹中諸疾痛, 當歸芍藥散主之.]

[부인이 배가 아픈 모든 질환에 반드시 당귀작약산을 사용한다.]   

處方解說

혈관평활근의 장력(張力)이 약하고, 혈관운동이 저하되어 혈액순환이 되지 못하여 두통, 현기증, 어지러움, 두중감(頭重感)이 있고, 조혈기능이 약하여 혈허(血虛)한데다 신장배설이 원활하지 못하여 세포간질(間質)에 부종이 있으며 내장(內臟)평활근의 장력부족으로, 요통, 복부팽만감등을 나타낼 때 :

* 내장평활근의 장력을 강화하여 요통, 소화불량, 복부팽만감을 완화한다.

* 조혈기능을 강화하고, 혈액의 점도(粘度)를 저하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세포에 산소공급을 증진하므로 써 두통, 현기증, 두중감(頭重感)을 완화한다.

* 신장배설을 촉진해서 부종(浮腫)을 완화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당귀는 조혈작용을 하여 빈혈을 개선한다.

2. 당귀, 작약은 혈관을 확장하고, 천궁은 혈관운동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3. 복령, 백출, 택사는 이뇨를 촉진한다.

4. 당귀, 천궁, 택사, 작약은 자궁평활근 경련을 억제하고, 자궁평활근의 장력(張力)을 강화하여 유산(流産)을 방지한다.

5. 택사는 혈액의 점도를 저하시킨다.

6. 작약, 백출은 평활근의 장력(張力)을 강화하고 내장근육의 경련을 완화한다.


投  藥

1. 어지러움, 두모감(頭冒感). [虛血과 혈액의 오염으로 산소공급이 부족하여]

2. 두통, 손발저림, 수족냉(手足冷). [뇌세포와 모든 세포에 혈액공급 부족으로]

3. 요통. [내장 평활근의 下垂 또는 신장, 자궁, 방광의 염증성질환으로]

4. 견비통(肩臂痛). [모세혈관 운동능부족으로]

5. 전신권태, 피로, 냉증(冷症).

6. 심계항진(心悸抗進).

7. 부종.

8. 위내정수(胃內停水).   

應  用

1. 월경불순, 월경곤란, 불임증, 습관성 유산, 자궁부속기염.

2. 신경쇠약, 노이로제, 신경질, 히스테리 등의 전신증상.

3. 비뇨계질환으로서 신염, Nephrose, 신위축.

4. 위하수(胃下垂), 위무력(胃無力)으로 인한 모든 소화기질환.

5. 순환기질환에 혈관장력 부족으로 나타나는 고혈압, 신장성(腎臟性)고혈압,

   Menier's, Basedow's병 등에도 사용되고 신경통, 류마티, 견비통(肩臂痛), 탈황.

6. 내장의 모든 하수(下垂)로 인한 질환에 사용한다.

7. 사마귀에 본방+의이인(薏以仁)을 합방하여 사용한다.

8. 그 외에도 거의 모든 염증, 거의 모든 질환에 하복어혈(下腹瘀血)을 목표로 사용하며 우리나라 환자의 거의 70%에서 무슨 병을 호소하든 간에 본 방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18. 대건중탕 大建中湯 

    溫裏劑 (補氣健脾)

    촉초(蜀椒) 2.0   /   건강(乾薑) 8.0   /   인삼(人蔘) 4.0   /   물엿 20.0 

出典

금궤요략

◎ (胸滿寒疝宿食病門) [心滿中大寒痛, 嘔不能飮食, 腹中寒, 上衝皮起出見有頭足, 上下痛而不可觸近, 大建中湯主之.]

[속이 냉하여 매우 아프고, 구역질이 나서 음식을 먹을 수가 없고, 배안의 찬 기운이 치밀어 올라 뱃가죽 밖에서 꿈틀거리는 것이 보이고, 가슴에서 배까지 아파서 손을 댈 수가 없다. 대건중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處方解說

1. 소화관벽의 모세혈관의 혈류가 약하고 완만하여 복부피하(腹部皮下)에 지방세포(脂肪細胞)가 발달하지 못할 정도로 소장(小腸)의 운동능이 약하여, 영양분의 흡수 저하로 잘 먹어도 살이 찌지 않고, 흡수부족으로 저혈당증이 되어 기운이 없고,

2. 대장의 연동운동능 부진으로, 장(腸)내용물이 장내(腸內)에 오래 정체되어, 여러가지 대장균의 산화작용을 받아 가스가 생기며,

3. 소화, 흡수능 저하와 장내세균에 의해  변비 또는 설사가 잘 생길 때 ;

* 장벽(腸壁)에 분포된 혈관의 혈류를 증진하고 장의 연동운동능을 강화하여 흡수를 증진하며, 정체된 Gas와 장내용물(腸內溶物)의 배출을 촉진한다.

* 항균작용과 항진균작용을 한다.

* 세포에 영양[Glucose ; 물엿] 을 공급하여 에너지대사를 활성화하고 피로를 경감시킨다. 

處方의 藥理作用

1. 촉초, 건강, 인삼은 소화관벽의 모세혈관의 혈류를 증진하여 소화관을 따뜻하게 하고, 위(胃)와 장(腸)의 운동능을 촉진하여 소화, 흡수를 촉진한다.

2. 물엿은 세포의 에너지원이 되어 흡수불량으로 저혈당증이 된 증상을 개선한다.

3. 인삼의 Acetylcholine은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소화관운동능을 강화하고 인삼, 건강은 소화액의 분비를 증진한다.

4. 인삼은 대뇌피질의 흥분을 강화하여 피로감을 경감시킨다.

5. 인삼, 촉초는 항균작용을 하고, 촉초는 항진균작용을 하여 대장염은 완화한다.


投  藥

1. 복부에 Gas가 차서 팽만하다.

2. 뱃가죽이 얇아서 Gas가 장내에서 움직이는 모습이 촉진된다.

3. 설사 또는 변비 또는 복통.

4. 손발차고, 추위탄다.

5. 배를 따뜻하게 하면 훨씬 낫다.

6. 장에서 꾸르륵 소리가 잘 난다. 

應  用

1. 장산통(腸疝痛), 만성충수염, 위무력증(胃無力症), 내장하수증(內臟下垂)등으로 복벽이 연약하고, 손발이 차며, 장의 유동(孺動)이 불안할 때.

2. 신장결석, 담석증, 췌장염 등으로 복통이 있으면서 장의 유동(孺動) 불안, 복명이 있을 때.

3. 식도협착, 설사, 소화불량 등의 모든 소화기계질환이 내장의 무력(無力)과 하수(下垂)로 인해서 온다고 생각될 때는 본 방과 이중탕과 소건중탕과의 합방증이 아주 많이 나타난다.

4. 특히 우리나라 사람은 소장의 길이가 외국사람에 비해 1/3이 더 긴데다 채식을 위주로 함으로 장내에 가스나 내용물이 저류될 경우가 많고 이 때문에 여러가지 소화기질환[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담석증, 췌장염 등]을 호소하게 되는데 이때 이중탕, 소건중탕과 합방될 경우가 많다.

5. 소화기질환 뿐만 아니라 자궁이나 신장, 방광 등의 하수(下垂)로 나타나는 여러질환 [자궁후굴, 습관성유산, 신장결석, 방광결석, 전립선비대 등]에도 많이 사용한다.

6. 복부가 연약하지 않고 가스가 아주 많이 차서 띵띵하게 부어 있을 때도 이는 가스 때문이므로 본 방증이다.




19. 대강활탕 大羌活湯

     解表劑 (祛風除濕)

   강활(羌活) 3.0  /  승마(升麻) 3.0  /  독활(獨活) 2.1  /  창출(蒼朮) 1.5  /  방기(防己) 1.5  /  위령선(威靈仙) 1.5  /  백출(白朮) 1.5  /  당귀(當歸) 1.5  /  적복령(赤茯笭) 1.5  /  택사(澤瀉) 1.5  /  감초(甘草) 1.5 

出典 衛生寶鑑 處方解說

관절염이나 관절류머티등으로 관절의 부종과 통증으로 굴신이 어려울 때,

* 항균작용을 하고,

*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 약한 발한(發汗)과 이뇨작용을 동시에 하여 부종을 개선하고,

* 진통 작용을 한다.

* 혈압을 하강한다.

* 이담작용을 하여 위장운동능을 강화하므로 써 식욕과 소화를 증진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당귀, 독활, 방기는 혈관을 확장하고, 강활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증진한다.

2. 강활, 독활, 승마는 약한 발한(發汗)작용을 하여 관절국소의 부종을 완화하고, 창출, 적복령, 방기, 택사는 이뇨를 촉진한다.

3. 방기, 강활, 승마, 독활, 당귀는 해열, 진통, 소염작용을 한다.

4. 강활, 승마, 위령선은 항균작용을 하여 관절염 증상을 개선한다.


  投  藥

1. 손과 다리의 관절이 붓고 아프며 굴신이 어렵다.

2. 부종이 심하여 몸이 무겁다.

3. 소화가 안되고 식욕이 없다.   

應  用

1. 관절염, 관절류머티로 국소가 붓고 아프다.

2. 감기로 인한 부종

3. 풍습증(風濕證)으로 인한 부종과 통증



20. 대금음자 對金飮子  

    消導化積劑 (消積)

  진피(陳皮) 9.0   /   후박(厚朴) 2.1   /   창출(蒼朮) 2.1   /   감초(甘草) 2.1   /   생강 3편 

出典

和劑局方

◎ 傷寒門 [治諸疾無不愈者, 常服, 固元陽益氣, 健脾進食, 和胃祛痰, 自然營衛調暢, 寒暑不侵, 療四時傷寒, 極有效]

[치료하지 못한 모든 질병을 다스린다. 상복하면 원양이 단단해지고, 기를 도우고 비(脾)가 건강해져서 식사를 잘하게 되고 위장이 튼튼해져서 담을 제거한다. 자연적으로 영위를 조절하고 창달하여 추위와 더위를 타지 않게 되며 사계절의 상한병을 치료하며 그 효과가 극히 크다.] 

處方解說

1. 평소에 담즙분비의 부족으로 소화관운동능이 약해져서 복부팽만감이 있고

2. 대장의 약한 감염증으로 만성하리증후군이 있으며

3. 감기, 또는 기관지염으로 기침과 가래가 있을 때 ;

* 과량의 진피는 담즙분비를 촉진하여 소화관운동을 항진하고, 후박은 장경련을 억제하며

* 창출, 생강으로 소화관점막의 부종을 완화하여 구토, 구역, 만성설사를 완화한다.

* 후박은 기관지경련을 완화하고, 진피는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진피는 소화관의 Pace maker를 강화하여 소화관의 운동능을 항진한다.

2. 후박은 장경련 억제작용, 기관지평활근 경련 억제작용, 항균작용으로 장염과 기관지염을 완화한다.

3. 생강은 위액의 분비를 촉진한다.

4. 창출은 과다한 위액분비에 대비하여 제산작용을 하며 감초는 위벽을 보호한다.

5. 창출과 생강은 소화관점막의 부종을 개선한다.

6. 진피, 후박은 항균작용과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참고]

이 방제는 평위산에 비해 창출이 감량되고 진피가 배가되어 있으므로 위장운동능을 강화하는 작용이 강하여 만성소화불량증에 평위산보다 효과가 나으며 (평위산은 창출의 효능이 뛰어난 과산증이나 만성하리증후군에 더욱 효과가 있다.) 또 진피를 과량 사용하므로 써 기관지염으로 인한 기침에 진해, 거담작용을 강화하였다.  


投  藥

1. 소화불량이 있고 상복부가 팽만하다.

2. 속이 메스껍고 가슴이 답답하다.

3. 구토나 설사를 한다. 

應  用

1. 만성소화불량, 급성위염, 식욕부진.

2. 소화불량성 구취(口臭), 위무력증(胃無力症).

3. 만성설사, 만성기침.



21. 대방풍탕 大防風湯  

   거습제 (祛除風濕)

  숙지황(熟地黃) 4.0   /   당귀(當歸) 4.0   /   작약(芍藥) 4.0  /  천궁(川芎) 3.0   /   백출(白朮) 6.0   /   황기(黃耆) 4.0   /   대추(大棗) 3.0   /   인삼(人蔘) 2.0   /   감초(甘草) 2.0   /   방풍(防風) 4.0   /   강활(羌活) 2.0   /   생강(生畺) 3.0   /   우슬(牛膝) 2.0   /   부자(附子) 2.0   /   두충(杜沖) 4.0 

出典

和劑局方

◎ (諸風門) [祛風順氣, 活血脈, 壯筋骨, 除寒濕, 冷氣, 又治患痢後, 脚痛 弱, 不能行履, 名曰痢風, 或兩膝腫大痛, 脾脛枯 , 但存皮骨, 拘攣 臥, 不能屈伸, 名曰鶴膝風服之, 氣血流暢, 肌肉漸生, 自然行履如故.]

[관절이나 피부에 정체된 수독을 소산시키고 혈액의 순환을 촉진하여, 기를 순행시키며 혈맥을 활발히 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냉기와 습기를 제거한다. 또 설사를 하고 나서 다리가 몹시 약해지고 마비와 통증이 생겨서 보행이 어려운 증상을 치료하는 바 이것이 痢風이다. 혹은 양쪽 무릎이 붓고 심히 아프며 넓적다리가 말라서 오로지 피골만 남아 있고 구련하여 쓰러져서 굴신이 어려운 증상을 학슬풍이라고 하여, 이 약을 복용하면 기혈이 잘 돌고 살이 점점 쪄서 자연히 건강하였을 때와 같이 된다.]   

處方解說

1. 빈혈성이면서 체질이 아주 허약하고 에너지 대사가 부족한 사람이 만성 퇴행성 관절염이나 관절의 만성적인 염증 반응으로 인해 면역능이 저하되어서 추위를 타고, 관절이 약하며, 관절이 종창, 발적, 동통(疼痛)하면서 관절세포에는 영양이 결핍되어 있을 때 ;

* 조혈 작용으로 빈혈을 개선하고, 에너지 대사를 활성화하며 열에너지 생성을 촉진하고,

* 면역능을 증강하여 관절의 만성적인 염증증상을 억제하고,

* 소염(消炎), 소종(消腫), 이뇨, 진통작용과, 고지혈을 개선하고, 혈관을 확장하며, 혈관운동능을 강화하므로 써 관절국소에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만성 관절염이나 혈액순환 부전으로 발생하는 신경통, 반신불수를 개선한다.

2. 뼈에 영양을 공급하고, 근골을 강화하여 만성 퇴행성 관절 질환을 개선한다.

3. 혈관운동능저하와 고혈압으로 중풍이 와서 인체의 어느 부분에 마비감이 왔을 때 :

* 혈관운동능을 강화하고

* 혈관의 장력을 강화하며

* 진통 작용을 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당귀, 숙지황, 천궁, 작약은 조혈 작용과 순환 작용이 있다.

2. 인삼, 백출, 감초, 대추, 황기는 인체의 에너지 대사를 증진하고, 면역능을 강화하여 염증증상을 개선하고, 부자는 체열에너지대사를 활성화하여 추위를 개선한다.

3. 당귀, 두충, 황기, 우슬은 혈관을 확장하고, 방풍, 강활, 생강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4. 방풍, 강활, 작약은 항균 작용을 한다.

5. 방풍, 부자, 우슬, 강활, 작약은 진통 작용을 한다.

6. 백출, 방풍, 황기, 생강은 이뇨작용을 한다.

7. 두충, 계지, 부자는 뼈에 영양을 공급하고, 근골을 강화하여 만성 퇴행성 관절 질환을 개선한다.

8. 황기, 두충은 혈액의 점도(高Cholesterol혈증)을 저하하여 혈류를 증진한다.

9. 두충, 우슬은 근육을 강화한다.


  投  藥

1. 빈혈이 있으면서 몸이 허약하여 피골이 상접한 사람이 무릎 관절이 야위거나 발적, 종창, 동통이 있다.

2. 하지(下肢)는 무력하고 가늘어진다.

3. 추위를 접촉하면 동통은 더욱 심해진다.

4. 관절통이 야간에 더욱 심하고 무력하고 땅긴다.   

應  用

1. 만성 퇴행성 관절염으로 무릎이 여위고 학슬풍[관절류마티스]의 증세가 있으면서 관절의 강직과 굴신곤란과 빈혈과 무기력, 하지 무력(下肢無力)을 호소할 때.

2. 근육마비, 척수 질환, 척수염, 뇌일혈 등으로 하반신이 마비되거나 반신불수가 되었을 때.

3. 산후에 혈허(血虛)와 쇠약으로 인하여 하지 마비(下肢麻脾)가 왔을 때.

4. 본 방은 발병의 초기에는 나타날 때가 드물고 만성으로 이행했을 때 그 사용증이 잘 나타난다.

5. 각기(脚氣), 통풍에도 본 방증이 나올 때가 많다.


22. 대청룡탕 大靑龍湯  

   解表劑 (表寒)

  마황(麻黃) 12.0    /   계지(桂枝) 4.0   /   감초(甘草) 4.0   /   대추(大棗) 4.0   /   행인(杏仁) 10.0   /   생강(生薑) 6.0   /   석고(石膏) 24.0 

出典

1. 傷寒論

◎ (太陽病中編) [太陽中風, 脈浮緊, 發熱惡寒, 身疼痛, 不汗出而煩躁者, 大靑龍湯主之. 苦脈微弱, 汗出惡風者, 不可服. 服之則厥逆, 筋 肉 , 此爲逆也.]

[太陽中風으로 脈이 浮緊하고 발열 오한 하여 몸이 아프고, 땀이 나지 않고 번조한 사람은 대청룡탕으로 고친다. 만약 맥이 약하고 땀이 나며 오풍하는 사람이라면 복용하면 안된다. 이것을 복용하면 곧 厥逆이 되어 몸이 떨린다. 이것은 逆이 된 것이다.]

◎ (太陽病中編) [傷寒 脈浮緩, 身不疼但重, 乍有輕時, 無少陰證者, 大靑龍湯發之.]

[상한으로 맥이 浮緩하고 몸은 아프지는 않으나 무겁고, 갑자기 가벼울 때가 있다. 소음증이 없는 사람은 대청룡탕이 이를 발산한다.] 2. 금궤요략

◎ (痰飮咳嗽病門) [病溢飮者, 當發其汗, 大靑龍湯主之, 小靑龍湯亦主之.]

[일음이 있는 사람은 마땅히 땀을 내야 된다. 대청룡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소청룡탕도 또한 사용한다.]

◎ 病溢飮 ; 온몸의 수독이 돌고 돌아 빠져 나갈 데가 없어서 피하에 정체 되어 몸이 부어 있는 상태.   

處方解說

체내의 강력한 항원항체반응 등에 의해, 한선(汗腺)이 과도하게 긴장되어, 한선(汗腺)으로 배설되어야 할 수용성 노폐물이 피하뿐만 아니라 세포의 간질과 관절 등에 정체되어 있고[病溢飮], 신장(腎臟)으로도 배설이 원만하지 못하여, 소변의 양(量)은 적고, 부종은 심하며, 기관지 부종으로 기침을 할 때

* 혈류의 흐름을 촉진하여 한선(汗腺)을 자극하므로 써 피부배설을 촉진한다.

* 신장사구체 운동능을 강화하여 이뇨를 촉진한다.

* 기관지 점막의 부종을 완화하고 진해작용을 한다.

[참고] 본방제는 마황이 과량 들어 있어서, 발한(發汗)작용이 강하게 일어난다.

즉 피부로 배설해야 할 수용성 노폐물이 피하뿐만 아니라 관절 등에도 정체되어 있을 때 강발한(强發汗)시켜서 부종을 개선하는 방제이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마황, 생강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고, 계지는 혈관을 확장하여 발한(發汗)을 촉진하므로 써 피하, 점막의 부종을 완화한다.

2. 생강, 행인, 계지, 석고는 이뇨를 증진하여 피하점막의 부종을 완화한다.

3. 행인, 마황은 진해작용을 한다.

4. 석고는 발한(發汗)이 과다하여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이 모자랄 때 미네랄을 보충한다.

5. 석고는 해열작용을 한다. 

6. 대추, 감초는 강발한(强發汗)으로 인한 영양의 손실을 보충한다.


投  藥

1. 소변의 양이 적고 부종(浮腫)이 아주 심하다.

2. 몸이 무겁고 열이 나며, 땀이 나지 않고 번조가 대단히 심하다. 그러므로 땀이 있는 사람은 절대로 본 방증이 아니다.   

應  用

1. 땀이 나지 않으며 발열이나 오한이나 부종이 아주 심한 사람에게 투여한다.

2. 급만성 신염으로 발열, 오한, 두통, 부종이 심할 때.

3. 고혈압으로 발열, 오한, 두통, 부종이 심할 때.

4. 피부병으로 눈이 충혈되어 가려움증이 더 심하고 부종이 있을 때.

5. 천식.

6. 단독 등의 수독성 피부병.

23. 대황목단피탕 大黃牧丹皮湯  

   癰瘍劑

  대황(大黃) 8.0  /  목단피(牧丹皮) 6.0  /  도인(桃仁) 8.0  /  망초(芒硝) 8.0  /  동과자(冬瓜子) 12.0 

出典

금궤요략

◎ (瘡癰腸癰浸淫病門) [腸癰者, 小腹腫 , 按之卽痛如淋, 小便自調, 時時發熱, 自汗出, 復惡寒. 其脈遲緊者, 膿未成, 可下之, 當有血. 脈洪數者, 膿已成, 不可下也. 大黃牧丹皮湯主之.]

[腸癰은 下腹이 腫 하여 이것을 눌러보면 마치 淋病에서와 같이 痛症이 있으나 소변은 보통 때와 마찬가지여서 淋病은 아닌 것이다. 시시로 발열하며 복약하지 않아도 땀이 나지만 또 오한을 한다. 그 맥을 보아 遲緊한 것은 농이 아직 생기지 않은 것이므로 이것을 下하는 것이 좋다. 반드시 하혈할 것이다. 脈이 洪數한 경우는 膿이 이미 생긴 것으로서 이것은 下해서는 안된다. 대황목단피탕으로 이것을 주로 다스린다.]   

處方解說

주로 하복부에 있는 장관의 어느곳[특히 大腸, 盲腸]이 염증으로 인하여 혈소판이 응고되었거나 혈전(血栓)이 생겨서 순환장애가 있을 때 ;

* 사하작용(瀉下作用)을 하여 혈액의 점도를 낮추고,

* 항혈액응고작용을 하고,

* 항균(抗菌), 소염(消炎)작용을 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대황, 망초는 사하작용을 하여 혈액의 점도를 저하하므로 써 혈류를 촉진한다.

2. 도인, 목단피, 대황은 혈소판응고를 억제하여 혈류를 촉진한다.

3. 동과자, 대황은 소염작용을 한다.

4. 대황, 망초는 항균작용을 한다.


投  藥

1. 소복종비. (배꼽아래 오른쪽 부위 ; 충수부위를 누르면 심히 아프고, 종괴가 있다.)

2. 설황태.

3. 맥이 느리고 힘이 없다.

4. 시시 발열.

5. 변비.

6. 오한(惡寒).

7. 한출(汗出).   

應  用

오른쪽 소복종비(少腹腫 )를 나타내는 아래의 모든 병에 사용된다.

1. 급만성 충수염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2. 항문주위염, 치루, 요도염, 고환염, 전립선염, 자궁내막염, 대하, 복막염, 피하농양, 신우염, 임질, 유선염(乳腺炎) 등의 염증에 사용되며 그 중에서도 주로 하복 이하의 염증에.

3. 복만고창(腹滿鼓脹)의 실증자에 본 방증이 잘 나타난다.

4. 무릎관절염, 연주창 등.


 

24. 독활기생탕 獨活寄生湯  

   거습제 (祛除風濕)

 

  독활(獨活) 2.1   /   당귀(當歸) 2.1   /   백작약(白芍藥) 2.1   /   상기생(桑寄生) 2.1   /   숙지황(熟地黃) 1.5   /   천궁(川芎) 1.5   /   인삼(人蔘) 1.5   /   백복령(白茯笭) 1.5   /   우슬(牛膝) 1.5   /   두충(杜仲) 1.5   /   진교(秦 ) 1.5   /   세신(細辛) 1.5  /  방풍(防風) 1.5   /   육계(肉桂) 1.5   /   감초(甘草) 0.9   /   생강3-5편 

出典

備急千金要方

◎ 卷二十七治諸風門 [夫腰背痛者 皆由腎氣虛弱 臥冷濕地 當風得之 不時速治喜流入脚膝爲偏枯 冷痺緩弱疼重或腰痛攣脚重痺 宜急服此方]

[허리와 등이 아픈 사람은 모두 신기(腎氣)가 허약하기 때문이다. 만약에 습하고 찬곳에 누워 있으면 반드시 풍(風)을 얻는데 급히 치료하지 않으면 한 쪽이 마르고 마비되고 차가워지며 심히 아프고 무거워진다. 또는 요통이 있고 다리가 경련을 일으키며 심하면 마비가 되니 빨리 이 방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處方解說

1. 평소에 몸이 약하고, 빈혈이 있으면서, 근육에 힘이 없는 사람이, 관절염 또는 퇴행성 관절 질환이 되어 허리가 아프고, 기운이 없으며 관절이나 무릎이 아플 때,

* 보혈 작용, 강장 작용, 근육 강화 작용, 진통 작용, 소염작용과 혈액순환 촉진작용을 하여 관절염을 개선한다. 

2. 평소에 몸이 약하고 빈혈성인 사람이 고혈압으로 마비가 왔을 때 ;

* 혈압을 하강하고

*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 마비된 근육을 강화하여 근육의 장력을 증진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당귀, 작약, 지황, 천궁은 빈혈을 개선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2. 인삼, 복령, 감초는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여 무력감을 개선한다.

3. 방풍, 진교, 독활은 해열, 소염작용을 한다.

4. 두충은 근육의 장력(張力)을 강화한다.

5. 독활,당귀, 작약, 진교, 우슬은 진통 작용을 한다.

6. 계지, 독활, 당귀, 두충, 우슬은 혈관을 확장하고, 천궁, 방풍, 세신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며 상기생은 항혈전작용을 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7. 복령, 상기생은 이뇨작용을 하여 순환이 안되는 부위의 부종을 완화한다.

8. 우슬, 상기생, 두충이 혈압을 강하하여 고혈압을 개선한다.

投  藥

1. 기운이 없고 빈혈이 있으며 허리와 무릎이 아프다.

2. 추위를 싫어하고 기운이 없다.   

應  用

1. 관절염, 관절류머티, 좌골 신경통

2. 요통, 척추 디스크.

3. 고혈압으로 인한 마비.


 

25. 마황부자세신탕, 麻黃附子細辛湯  

   解表劑 (助陽解表)

  마황(麻黃) 4.0   /   세신(細莘) 4.0   /   부자(附子) 2.0 

出典

傷寒論

◎ (太陽病門) [少陰病, 始得之, 反發熱脈沈者, 麻黃附子細辛湯主之.]

[소음병으로 처음 이를 얻었으되 오히려 발열하고 맥이 침한 사람은 마황부자세신탕으로 다스린다.]  

處方解說

1. 생체에 전체적인 면역능과 에너지가 부족하여 기운이 없고, 추위를 타는 사람이

2. 감기가 걸리거나 이물질에 감염되어서 피부가 가렵거나(땀이 나지 않아서) 열이 나면서, 추워할 때

* 에너지 생성을 촉진하고,

* 면역능을 증강하며,

*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정상적인 피부배설로 체열을 조절하고, 가려움을 완화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부자, 세신은 모세혈관을 확장하여 피부말단에 체열공급을 증진하므로 써 피부말단을 따뜻하게 한다.

2. 부자는 면역능을 증강하고 에너지 생성을 강화하며 강심, 강장작용을 한다.

3. 마황과 세신은 약한 발한(發汗)작용을 하여 감기 등의 감염증으로 인한 발열을 해열하고, 가려움을 개선한다.

4. 마황은 항균작용을 하여 감염증상을 개선한다.


投  藥

1. 머리에 찬바람이 들어오는 것 같은 느낌이 있다.

2. 살갗이 스치기만 해도 아프다고 한다.

3. 오슬오슬 추우면서도 열이 나고 기운이 없고 자꾸 눕고 싶다.

4. 추우면서 머리가 아프고 혹은 기침하거나 혹은 코가 막힌다.   

應  用

1. 기운이 없고 추위를 타는 사람의 감기, 기관지염, 폐렴.

2. 노인들의 기침감기, 콧물감기(코에서 묽은 콧물이 많이 나온다.)

3. 갑자기 목소리가 쉬어서 나오지 않을 때.

4. 알러지비염에서 찬바람이 스치기만 해도 콧물, 재채기가 나오면 본 방이 유효하다.


 

26. 마황행인의이감초탕, 마행의감탕 麻黃杏仁薏苡甘草湯, 麻杏薏甘湯 

   거습제 (祛除風濕)

  마황(麻黃) 8.0   /   행인(杏仁) 4.0   /   감초(甘草) 6.0   /   의이인(薏苡仁) 12.0 

出典

금궤요략

◎ ( 濕渴病門) [病者一身盡疼, 發熱日所劇者, 名風濕. 此病傷於汗出當風, 或久傷取冷所致也, 加與麻黃杏仁薏 苡甘草湯.]

[병자가 온몸이 쑤시고 아프고 열이 나는데 오후에 더욱 심한것을 風濕이라 한다. 이것은 땀이 난 뒤에 바람을 쐬거나 오랫동안 찬곳에 몸을 방치해서 그렇다. 마황행인의이감초탕을 사용할 수 있다.]   

處方解說

한선(汗腺)이 이상 긴장하여 피부로 배설될 노폐물이 피하에 정체되어 있어서 무좀, 피부질환을 유발하고, 관절부종, 관절통의 증상을 나타낼 때 ;

* 피하, 관절의 수독(水毒)을 신장으로 배설하여 증상을 개선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마황, 행인, 의이인은 이뇨를 증진하여 관절, 피하의 부종을 완화한다.

2. 의이인은 관절에 영양을 공급한다.


投  藥

1. 몸이 부종(浮腫)으로 무겁고 열이 나기도 한다.

2. 다리, 무릎이 붓고 아프기도 하다.

3. 무겁고 아픈 증상이 반드시 오전보다 많이 움직인 후의 오후에 더욱 심하다

4. 오랫동안 찬 곳에 있거나 찬바람을 쐰후 이런 풍습증상이 나타날 때가 많다. (모공수축이 이상(異狀)항진되므로)   

應  用

1. 땀띠, 무좀, 사마귀, 수장(手掌)각화증 등에서 피부표면에 수독이 있는 듯한 느낌이 들 때.

2. 신경통, 류머티로 저녁때가 되면 통증이 더욱 심할 때.

3. 오랫동안 찬곳에 있어서 표피가 과도하게 닫혀있는 탓으로 생긴 신경통, 류머티환자.

4. 머리비듬, 손튼데, 진행성 수장각화증, 피부병에 인설(鱗설)이 잘 떨어지는 건조하고 가려움증이 수반될 때.


 

27. 반하백출천마탕 半夏白朮天麻湯 

   거담제 (溫化寒痰)

  반하(半夏) 6.0   /   천마(天麻) 4.0   /   백출(白朮) 3.0   /   인삼(人蔘) 4.0   /   황기(黃耆) 4.0   /   복령(茯笭) 4.0   /   택사(澤瀉) 4.0   /   창출(蒼朮) 4.0   /   진피(陳皮) 6.0   /   신곡(神穀) 3.0   /   맥아(麥芽) 6.0   /   황백(黃白) 2.0   /   건강(乾薑) 2.0 

出典

萬病回春

◎ (頭痛門) [治痰厥頭痛, 眼黑頭旋, 惡心煩悶, 氣短促上喘, 無力語言, 心神顚倒, 目不敢開, 如在風雲之中, 頭苦痛如裂, 身重如山, 四肢厥冷, 不得安臥, 此內胃氣虛損, 停痰而致也.]

[과 같은 증상을 고친다. 수독으로 인하여 두통이 있다. 얼굴은 검고 머리는 무거우며 속이 메슥거리고 숨이 찬다. 말소리에 힘이 없고, 정신이 혼미하여 감히 눈을 뜨려 하지 않고, 바람 속에 있는 것처럼 어지럽다. 머리가 찢어지는 듯이 아프고 몸은 태산 같이 무겁고 사지는 차디차다. 누워 있을 수가 없다. 이것은 胃氣가 약하여 수독이 정체되어 있는 탓이다.]   

處方解說

평소에 에너지 대사가 원활하지 못한 체질의 사람이 소화관 평활근의 장력(張力)이 부족하고 소화관의 운동능은 저하되어 있으며, 소화 효소는 부족하여, 음식물이 소화관에 오래 정체되 어서, 소화관이 심장박출혈액에 대한 이용률을 높인 결과, 뇌혈관의 혈류가 부족하여, 위내정수(胃內停水)가 있으며 소화불량, 메스꺼움,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뇌혈류 부족에 의한 뇌부종과 두통, 두중감,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 * 소화관 평활근의 장력(張力)을 강화하고

* 소화관운동능을 증진하여 소화관에 정체된 음식물의 배출을 촉진하고

* 소화 효소로 소화를 촉진시켜서

* 심장박출액의 소화관이용율을 줄이고 뇌혈류를 증진한다.

* 진정 작용을 한다

* 이뇨작용을 한다.

* 에너지 대사를 활성화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반하, 인삼, 황기, 창출은 위장의 운동신경을 자극하여 위장운동능을 강화하고, 진피는 이담 작용을 하여 소화관의 연동운동능을 강화하며, 신곡, 맥아는 소화 효소제로 작용하여 소화관에 정체된 내용물에 대한 소화를 증진하고, 배출을 촉진하므로 써 심장박출혈액의 소화관 이용률을 줄인다.

2. 백출, 창출, 복령, 택사는 이뇨를 촉진하여 뇌혈류부종에 의해 나타나는 부종을 완화한다.

3. 황백은 소화관에서의 음식물의 발효를 억제한다.

4. 천마는 뇌혈관을 확장하여 뇌혈류를 증진하고, 두통을 완화한다.

5. 인삼, 백출, 황기는 세포의 에너지 대사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여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므로써 체력을 강화한다.


投  藥

1. 어지럽고 머리가 아프면서 소화가 되지 않거나 토하고 싶다.

2. 체하면 더욱 어지럽고 머리가 아프다.

3. 위하수(胃下垂).

4. 불면.

5. 무기력.   

應  用

1. 저혈압(低血壓)

2. 고혈압(高血壓)

3. 상습성 두통.

4. 위무력증.

5. 소화불량증.

6. Meniere's.

28. 반하사심탕 半夏瀉心湯, 

   和解劑 (脾胃不和)

  반하(半夏) 12.0   /   황금(黃芩) 6.0   /   건강(乾薑) 6.0   /   인삼(人蔘) 6.0   /   감초(甘草) 6.0   /   황련(黃連) 2.0   /   대추(大棗) 6.0 

出典

1. 像寒論

◎ (太陽病下編) [傷寒五六日, 嘔而發熱者, 柴胡湯證具. 而以他藥下之, 柴胡證仍在者, 復與柴胡湯. 此雖已下之, 不爲逆. 必蒸蒸而振, 却發熱汗出而解. 若心下滿而鞭痛者, 此爲結胸也. 大陷胸湯主之. 但滿而不痛者, 此爲 , 柴胡不中與之. 宜半夏瀉心湯.]

[상한병에 걸린지 5, 6일이 되어 구토하면서 열이 나는 것은 시호탕증을 갖춘 것이다. 다른 약으로 설사를 시켜도 시호탕증을 여전히 가지고 있으면 다시 시호탕을 투여한다. 이는 이미 설사 시켰다 해도 逆이 아니다 반드시 열이 나면서 떨리면 도리어 발열하고 땀을 흘려서 푼다. 만약에 심하가 그득하면서 심히 아프면 이것은 결흉이다. 대함흉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단 그득하기만 하고 아프지 않으면 이것은 증이니 시호를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다. 반하사삼탕을 주는 것이 좋다.] 2. 금궤요략 ◎ (嘔吐 下痢病門) [嘔而腸鳴, 心下 者, 半夏瀉心湯主之.]

[구역을 하고 배에 소리가 나고, 가슴이 답답하면 반하사심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處方解說

1. 저산증과 만성위무력(慢性胃無力)증으로, 음식물이 제대로 소화되지 못하고 위내(胃內)와 장내(腸內)에서 오래 정체되어, 저산증과 대장균의 작용으로 위와 장내에 가스가 생겨서 트림이 나오고 심하부는 답답함을 느낀다.

2. 심하부(心下部)를 만져 보면 단단한 덩어리[가스와 정체된 내용물]가 만져진다.

3. 저산증으로 오심(惡心)이 있으며, 구토가 있기도 할 때 :

* 위산분비를 촉진하여 저산증으로 인한 식욕부진, 구역감, 트림, 가스의 정체등의 증상을 개선하고, 위장의 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기내에서의 음식물의 배출을 촉진하며,

* 장내의 대장균에 항균작용을 하여 가스의 발생을 억제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반하, 인삼은 Acetylcholine으로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한다.

2. 건강, 인삼, 반하는 위액분비를 촉진하여 저산증으로 인한 식욕부진, 오심, 장내가스 정체, 위염 등의 증상을 개선한다.

3. 인삼, 건강은 소화관벽의 혈관을 강화하여 혈류를 증진하므로 써 소화관의 저하된 온도를 정상화한다.

4. 황금, 황련은 담즙분비를 촉진하여 소화를 증진하며 소화관의 운동능도 항진한다.

5. 황련의 Berberine은 위장내의 세균과 진균과 대장내의 감염에 대하여 항균력이 강하여 위염, 위장내 발효, 대장내 발효와 이급후중을 개선하고, 소화관에 정체된 내용물에 대장균이 작용하여 Gas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한다.

6. 황금, 황련은 장점막의 알러지를 완화하여 만성대장증후군을 개선한다.

7. 황금, 황련은 신경계를 안정시켜 위장운동능을 항진한다.   

投  藥

1. 트림과 소화불량증과 심하비경(心下 硬) 이 있다.

2. 신경이 예민하고 불면을 호소할 때가 많다.

3. 구역감, 구토가 있을 수 있다.   

應  用

1. 위염, 위산과다, 위하수, 위무력, 위궤양, 십이지궤양, 소화불량 등의 모든 소화기질환에 트림과 가슴이 답답하고 단단한 것이 있을 때.

2. 그 외의 모든 병에 트림과 가슴이 답답하고 단단한 것을 목표로 사용.

3. 근본적으로 인삼탕증이나 다른 건중탕증[주로 위무력에 의함]을 가지고 있는 체질자에 합방되어 많이 나온다.]  

 

29. 반하후박탕 半夏厚朴湯 

   理氣劑 

  반하(半夏) 20.0   /   후박(厚朴) 6.0   /   복령 8.0   /   생강(生畺) 10.0   /   소엽(蘇葉) 4.0 

出典

금궤요략 ◎ (婦人雜病門) [婦人咽中, 如有灸  半夏厚朴湯主之.]

[婦人의 咽中에 마치 灸肉이 걸려 있는 느낌이 들어 吐해도 나오지 않고 삼켜 버리려 해도 내려가지 않는 경우는 반드시 반하후박탕을 사용한다]   

處方解說

신경성 소화불량과 신경성 천식에

* 신경을 안정시키고,

* 진해 거담작용을 하며

* 소화관운동성을 항진하고 소화관경련을 억제하여 진토(鎭吐)작용을 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반하, 소엽, 후박, 복령은 정신을 안정시킨다.

2. 소엽, 반하, 후박은 기관지를 확장하여 진해작용을 하며 거담작용을 한다.

3. 반하는 진토작용을 한다.

4. 후박은 장경련을 억제하며 항균작용을 한다.


投  藥

1. 목에 무엇이 걸린 것 같이 갑갑하다.

2. 의심이 많다.

3. 기분이 무겁고, 개운하지 않고 침울하다.

4. 피로를 잘 느끼고 신경질을 잘 내고 엉뚱한 생각을 한다.

5. 부종과 소변불리를 볼 수 있다.

6. 위하수증이 많이 나타난다.   

應  用

1. 목구멍이 간질간질한 감이 있거나 목에 무엇인가 걸린것같은 느낌이 들 때.

2. 기침할 때 조그만 가래 뭉치가 튀어나올 때.

3. 피부면이 돌출하면서 생기는 하얀 두드러기.

4. 목구멍에 무엇인가 걸려 있거나 인후염, 편도염 등이 있으면서 신경증상을 나타낼 때.

5. 감기기침, 기관지염, 폐결핵, 기관지천식 등에 목이 간질간질하면서 기침할 때

6. 편도선염이나 인후염.

7. 위무력증, 소화불량, 위아토니 등에 복부팽만감이 심하면서 신경증상을 나타낼 때.

8. 이 처방증의 바세도우씨병이 오면 눈알이 유난히 반짝거리고 바세도우씨병이 아니더라도 눈알이 유난히 반짝거릴 때.

9. 우리가 가지는 거의 모든 병에 신경증상을 호소할 때 이 탕이 가장 많이 합방된다.

10. 노이로제.


30. 방기황기탕 防己黃耆湯 

   거습제 (祛除風濕)

  방기(防己) 8.0   /   감초(甘草) 4.0   /   백출(白朮) 6.0   /   황기(黃耆) 9.0   /   생강(生畺) 6.0   /   대추(大棗) 6.0 

出典

금궤요략 

處方解說

1. 세포에 영양이 부족하여 간질(間質)에 정상적으로 있어야 할 수분이 피부로 많이 배설되거나, 2. 신장기능이 약해서 신장으로 배설되어야 할 불순물이 신장으로 배설되지 못하고 피부로 배설되어 땀이 쉴새 없이 나고, 땀이 많이 나니까 체열이 빠져나가서 추위를 많이 타고, 저항력이 약해져서 각종 염증에 잘 이환될 때 ;

* 세포에 영양공급을 증진하고,

* 피부의 장력(張力)을 강화하고,

* 신장기능을 강화하여, 한출(汗出)을 억제하므로 써 면역능을 증강시키고, 체열(體熱)의 발산을 완화한다.

*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방기, 황기, 백출은 혈관을 확장하여 지한(止汗)작용을 한다.

2. 황기, 대추, 감초는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도한(盜汗)을 억제한다.

3. 백출은 땀으로 배설될 수독을 신장으로 배설하고, 모공의 장력(張力)을 강화하여 지한(止汗)작용을 한다.

4. 백출, 황기는 신장기능을 강화하여 이뇨를 증진한다.

5. 감초는 심장박출량을 강화하여 세포에 영양공급을 원활히 한다.

 

投  藥

1. 물살, 두부살이라고 불리는 물렁살 체질자로 써 땀을 많이 흘리고 피로를 잘 느낀다.

2. 신장기능이 약하여 소변의 량은 적고, 정상수분이 피부로 과다 배출되므로 피하에 진액이 몰려서 부종을 나타낸다.

3. 주로 몸의 상부는 땀이 많이 나고 하부는 부종이 있다.

4. 부종으로 몸을 굴신하기 어려울 때도 있다.   

應  用

1. 평소에 땀을 많이 흘리는 체질자가 관절류머티로 관절이 많이 부었을 때.

2. 상처난 곳에 진물이 물처럼 자꾸 나오면서 육아 형성이 잘 되지 않을 때.

3. 신염, 네프로제 등에 하지(下肢)는 붓고 온 몸에 땀이 많을 때.

4. 음낭수종의 환자가 평소에 두한(頭汗)이나 전신한출(全身汗出)이 심할 때.

5. 습진, 피부병.

6. 액취(腋臭).


 

31. 방풍통성산, 쌍해산 防風通聖散 

   表裏雙解劑

  천궁(川芎) 4.0   /   방풍(防風) 4.0   /   당귀(當歸) 4.0   /   작약(芍藥) 4.0   /   박하엽(薄荷葉) 4.0   /   연교(連翹) 4.0   /   마황(麻黃) 4.0   /   망초(芒硝) 4.0   /   대황(大黃) 4.0   /   석고(石膏) 4.0   /   길경(桔梗) 4.0   /   황금(黃芩) 4.0   /   백출(白朮) 3.0   /   형개(荊芥) 3.0   /   생강(生畺) 3.0   /   활석(滑石) 10.0   /   산치자(山梔子) 3.0   /   감초(甘草) 2.0 

出典

 선명론 

處方解說

대장운동능이 과도하게 항진되어 변비경향이 있고, 지방세포가 많고, 비만(肥滿)증이 있으면서 콜레스테롤혈증이 있어서 피부알러지, 점막알러지, 피부질환, 고혈압, 정신불안증 등을 나타낼 때 ;

* 혈액의 점도(粘度)를 저하하고,

* 소염작용과,

* 항알러지작용을 하며,

*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 자율신경계를 조절한다.

* 비뇨기계의 염증에 소염작용을 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박하엽, 황금, 활석, 길경은 소염작용을 한다.

2. 연교, 황금, 백출은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3. 연교, 방풍, 형개, 활석, 대황은 항균작용을 하여 비뇨기계, 피부의 염증을 완화한다.

4. 황금, 산치자, 대황, 형개는 혈액의 점도를 저하하여 염증질환과 고혈압을 개선한다.

5. 산치자, 천궁은 신경안정작용을 한다.

6. 당귀, 천궁, 작약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7. 망초, 대황은 장내용물을 빨리 배출시켜 장내용물의 정체로 인한 혈액의 고점도를 개선한다.

8. 마황과 작약과 생강은 간질세포에 정체된 불순물을 땀으로 배설시킨다.


投  藥

1. 변비가 있고 설황태가 있으며 배가 단단하고 충실하다.

2. 얼굴은 붉은색이 많다.

3. 소변은 적삽하다.   

應  用

1. 비만성 체질자의 변비, 얼굴은 붉고 얼굴, 피부에 여드름 같은 것이 잘 난다.

2. 고혈압, 뇌출혈, 동맥경화, 비만증 등.

3. 만성신염, 당뇨병에도 본 방증이 많이 나타난다.

4. 피부병, 눈병, 축농증, 대머리, 치질에도 본 방증이 많다.

5. 이명, 발광 등의 정신 신경질환에도 많다.

6. 변비와 배가 단단하고 충실한 것을 목표로 모든 질환에 사용한다.


 

32. 배농산급탕 排膿散及湯 

   청열제 (淸熱解毒)

  감초(甘草) 6.0   /   길경(桔梗) 9.0   /   생강(生畺) 3.0   /   대추(大棗) 8.0   /   작약(芍藥) 3.0   /   지실(枳實) 3.0 

出典

 春林軒方函 

處方解說

배농산과 배농탕의 합방으로 모든 급성염증에 사용한다.

배농산 : 환부가 단단하고 아직 고름이 생기지 않았거나 생겼으면서 배농(排膿)이 잘 안 될 때

배농탕 : 몸의 어느 부분이 화농이 되어 고름이 나오고 있거나 나오려 하고 있을 때 ;

배농산급탕 : 염증의 초기단계부터 치유되는 전 과정에 사용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길경은 배농을 촉진한다.

2. 길경, 감초는 이물질 탐식능을 강화한다.

3. 생강은 말초에 혈류를 원활히 한다.

4. 대추, 길경은 항궤양작용을 한다.

5. 지실은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6. 길경, 작약은 항혈전작용이 있어서 염증의 혈전상태를 개선하며 소염, 배농작용을 한다..

7. 작약은 항균작용을 한다.


投  藥

염증질환으로 환부가 단단하여 배농(排膿)이 어려운 상태이거나 염증증상에 고름이 나온다.   

應  用

 1. 발치, 여드름, 피하농양, 화농성 임파선염, 편도선염, 축농증, 치은염, 항문주위염, 유선염 등으로 농이 아직 생기지 않은 부종상태이거나 농(膿)의 배출이 어렵게된 상태에 사용하여 배농시킨다.(배농산)

2. 옹저, 궤양, 중이염, 축농증, 치루, 치조농루, 편도선염, 폐농양, 폐괴저, 발치 등으로 농(膿)이 고여 있거나 혹은 잘 나오려고 하지 않을 때 배농(排膿)을 목적으로 사용한다.(배농탕)


 

33. 백출산 白朮散 

   理氣劑 (制吐) 

  오수유(吳茱萸) 1.2   /   필발(필撥) 1.2   /   진피(陳皮) 1.8   /   인삼(人蔘) 1.8   /   백출(白朮) 2.4   /   복령(茯笭) 2.4   /   후박(厚朴) 2.4   /   빈랑(檳랑) 3.0   /   대황(大黃) 3.0   /   薑棗湯으로 복용. 

出典

外臺秘要

◎ 卷六藿亂病源論 [療嘔吐酸水結氣築心, 白朮散方]

[구토하고 신물을 토하며 심중에 결기가 있는 것을 고치는 것은 백출탕이다.]   

處方解說

1. 위장운동능이 저하되어 변비가 되거나, 장(腸)에 가스가 찰 때 * 위장운동능을 강화하며 장(腸)의 연동운동을 강화하여 변비를 개선하고 가스의 배출을 촉진한다 .

2. 소화관에 분포된 모세혈관의 운동능이 저하되어 소화관의 연동운동에 장애를 받을 때

* 소화관에 분포된 모세혈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소화관의 운동능을 강화한다.

3. 담즙분비가 부족하여 소화관의 연동운동능이 장애를 받을 때

* 담즙분비를 촉진하고 변비를 개선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인삼, 백출, 복령은 소화관의 운동능을 강화한다.

2. 오수유, 필발은 소화관에 분포된 모세혈관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3. 진피, 오수유, 후박, 빈랑, 필발은 장연동운동을 촉진하며, 항균작용이 강하여 장내가스를 제거한다.

4. 대황은 담즙분비를 촉진하고 변비를 완화한다.


投  藥

1. 소화가 안되고 배가 아프고 이급후중이 있다.

2. 상복부가 냉하며 헛배가 부르다.

3. 가슴이 답답하고 토할 것 같다.   

應  用

1. 변비

2. 소화불량, 하복팽만감,

3. 구토



34. 보생탕 保生湯 

   和解劑 (脾胃不和, 順氣益氣)

  인삼(人蔘) 6.0   /   감초(甘草) 6.0   /   백출(白朮) 6.0   /   향부자(香附子) 6.0   /   오약(烏藥) 6.0   /   귤홍(橘紅) 6.0   /   생강 

出典

婦人良方

◎ [治婦人經候不行 身無病而似病 脈滑大而六部俱勻 乃是孕婦之脈也 精神如故 惡聞食臭或 但嗜一物 或 大吐或時吐淸水 此名惡阻]

[부인이 월경이 나오지 않고 몸에 병이 없으면서 병이 있는 것 같고, 맥이 활하고 크면서 육부의 맥이 모두 고르면 부인이 임신한 것이다. 정신은 여전한데 밥냄새를 싫어하고 혹은 한가지만 좋아하며 혹은 크게 토하거나 혹은 맑은 물을 토하는 데 이것을 오조라한다.]   

處方解說

1. 임신하여 구토하거나 오조가 심할 때

* 소화관운동능을 강화하고

* 소화관에 정체된 수독을 제거한다.

2. 인체가 허약한 체질의 사람이 신경성 구토증이 있을 때

*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진경작용을 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인삼, 백출, 향부자, 오약, 귤홍은 소화관의 운동능을 강화한다 

2. 오약, 향부자는 소화기계의 통증에 진정, 진통작용을 한다.


 


投  藥

1. 구토가 있거나 구역이 있다.

2. 음식냄새를 싫어하고 먹지를 못한다.

3. 소화불량이 있다.   

應  用

1. 임신구토, 오조(惡阻), 구토, 구역, 신경성 구토.

2. 식중독구토


35. 보중익기탕 補中益氣湯 

   補益劑 (補氣劑) 

  인삼(人蔘) 6.0   /   백출(白朮) 6.0   /   당귀(當歸) 6.0   /   진피(陳皮) 6.0   /   시호(柴胡) 2.0   /   승마(升麻) 2.0    /   감초(甘草) 2.0   /   황기(黃耆) 8.0 

出典

脾胃論 

處方解說

평소에 내장평활근이 무력(無力)한 사람이 소화불량증이 있고, 담즙분비부족으로 식욕이 부진하며, 면역능의 저하로 만성적인 항원항체반응에 의해 도한(盜汗)이 나고,  세포에 영양이 부족하여 간질액이 피부 밖으로 빠져나가는 도한(盜汗) 증상도 나타나며 면역능이 저하되어 염증에 잘 감염되고, 한번 감염되면 잘 낫지 않을 때

* 내장평활근의 장력(張力)을 강화하고,

* 소화관의 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 흡수 기능을 증진하고,

*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도한(盜汗)을 완화하고,

* 면역능을 증강하여 염증의 생성을 억제하고,

* 체질을 강화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황기, 승마는 내장의 평활근장력(平滑筋張力)을 강화하여 내장하수증을 개선한다.

2. 인삼, 진피는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고 시호는 담즙분비를 촉진하여 소화관의 연동운동능을 증강한다.

3. 인삼, 황기는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도한(盜汗)을 완화하고, 당귀, 백출은 혈관을 확장하여 지한(止汗)작용을 한다.

4. 인삼, 황기, 시호는 면역능을 증강하여 만성항원항체반응에 의한 도한(盜汗) 증상을 개선한다.

5. 인삼, 황기, 백출, 감초는 인체의 에너지대사를 원활히 하여 기력을 증강한다.

投  藥

1. 수족권태.

2. 언어에 힘이 없고 눈빛이 흐릿하다.

3. 입에는 침이 잘 생기고 식욕이 부진하다.

4. 뜨거운 음식물을 좋아한다.

5. 배꼽 윗부분의 심하(心下)에 다발성(多發性)동계(動悸)를 호소하거나 촉지할 수 있다.   

應  用

1. 여름을 잘 타는 체질자. [여위고, 식욕부진, 전신권태]에 본 방증이 많으므로 여름의 보약(補藥)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2. 감기에 걸렸을 때 또는 각종 염증에 이환되었을 때 면역능증강의 목적으로 사용.

3. 각종결핵, 늑막염, 복막염 등에 감염된 허증 체질자에 많이 사용된다.

4. 산후에 원기가 허약해서 자궁이 탈출할 때 각종 조혈제와 같이 합방하여 사용.

5. 급성질병을 앓은 후 면역능이 저하되고 원기가 쇠퇴되어 있을 때의 회복약으로 사용.

6. 반신불수나 각종 만성질환에 식욕부진과 도한(盜汗), 소화불량을 목표로 사용.

7. 허약아의 체질개선, 신경쇠약 등에도 본 방증이 많이 나타난다.

8. 방광이 힘이 없어서 생기는 소변불리에 팔미환이나 육미환과 합방할 때가 많다.

9. 심장이 약하여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잘 찰 때는 황백 2g, 홍화 1g을 합방한다.

10. 코가 잘 막힐 때는 맥문동과 산치자를 4g씩 합방한다.

11. 반신불수이면서 전신이 너무나 쇄수하고 본 방증이 나올 때는 목과 오약, 향, 부자, 청피, 방풍, 천궁, 계지를 3g씩 가한다.

12. 도한(盜汗)이 심할 때는 계지 8g, 방풍 4g, 오매 4g, 부소맥(물에 담그어 뜨는 밀 4g를 합방한다.


36. 복령음 茯笭飮 

   거담제 (燥濕化痰)

  복령(茯笭) 6.0   /   인삼(人蔘) 6.0   /   백출(白朮) 6.0   /   지실(枳實) 4.0   /   귤피(橘皮) 5.0   /   생강(生畺) 8.0 

出典

금궤요략

◎ (痰飮咳嗽門) [外臺茯 飮, 治心胸中有停痰宿水, 自吐出水後, 心胸間虛氣滿, 不能食, 小痰氣, 分能食.]

[복령음은 心胸中에 痰이 정체해 있고 宿水가 고여 있다가 이것이 스스로 토해진 후에 가슴부분이 虛해지고 氣가 충만해서 식사를 할 수 없는 경우를 다스린다. 이런 경우는 痰氣를 해소 시킴으로써 능히 식사를 하게 하는 것이 좋다.   

處方解說

1. 무기력한 사람이, 저산증이 있고, 위장의 연동운동능이 저하되어 음식물의 소화, 흡수가 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내용물과 Gas가 소화관에 정체되어 있어서 구토, 소화불량 등의 증상을 나타내거나 ;

* 위액분비를 촉진하고, 위장의 연동운동능항진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하여 구토와 구역을 개선한다.

2. 저산증과, 장염으로 인해 장점막에 부종이 생겨서 설사를 할 때

* 항균작용과 이뇨작용으로 장염을 개선한다.

* 소화기능을 항진하고 소화기에 정체된 음식물과 가스와 수독의 배출을 촉진한다.

3. 에너지대사를 촉진하여 강장작용을 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귤피, 인삼, 생강은 위액분비촉진작용으로 위내용물의 소화를 증진하고 산분비를 강화하여 저산증으로 인한 소화기의 감염증상을 완화한다.

2. 지실은 위장의 연동운동을 항진하여 위하수, 위무력, 위내정수등을 개선하고 위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하여 복부팽만감을 개선하고 변비를 완화하지만 장관평활근의 경련을 억제하여 진경작용을 한다.

3. 귤피는 항균작용이 강하여 저산증으로 인한 장염(腸炎)을 개선한다.

4. 인삼은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연동운동을 촉진한다.

5. 백출은 소화관평활근의 장력(張力)을 강화한다.

6. 진피, 복령, 백출은 소화관점막의 부종을 완화하여 구토, 구역, 설사증상을 개선한다.

7. 인삼, 복령, 백출이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인삼의 대뇌피질자극작용에 의해 피로를 경감하며 에너지대사를 증진하여 무기력증상을 개선한다.


投  藥

1. 가슴이 답답하고 구토가 나온다.

2. 위내정수.

3. 상복부 팽만감.

4. 소화불량.   

應  用

1. 저산증

2. 위아토니, 위하수, 위확장, 소화불량, 급성위염, 만성위염 등으로 상복부가 팽만하고 트림이 나오고 진수음(振水飮)이 저명할 때.

3. 딱국질, 소화불량, 백일해 등으로 상복부가 팽만하고 설사 혹은 기침할 때.


37. 분심기음 分心氣飮 

   和解劑 (脾胃不和)

  목향(木香) 4.0   /   정향피(丁香皮) 4.0   /   초과인(草果仁) 4.0   /   상백피(桑白皮) 4.0   /   대복자(大腹子) 3.0   /   대복피(大腹皮) 3.0   /   백출(白朮) 4.0   /   향부자(香附子) 4.0   /   감초(甘草) 3.0   /   길경(桔梗) 4.0   /   곽향(藿香) 4.0   /   맥문동자(麥門冬子) 4.0   /   진피(陳皮) 4.0   /   소엽(蘇葉) 4.0   /   후박(厚朴) 4.0   /   인삼(人蔘) 4.0 

出典

1. 和劑局方 

◎ (諸氣門) [治男子婦人一切氣不和, 多因憂愁思慮,怒氣 傷神, 或臨食憂慽, 或事不隨意, 使鬱抑之氣, 留滯不散, 停於胸膈之間, 不能流暢, 致心胸 悶, 脇肋虛脹,  塞不通噫氣呑酸嘔 惡心, 頭目昏 眩, 四肢倦怠, 面色萎黃, 口苦舌乾, 飮食減少, 日漸羸瘦, 或大腸虛秘, 或因病之後,胸膈虛 , 不思 飮食, 竝皆治之.]

[사람이 모든 기가 불화 하여 여러 가지 원인으로 근심 걱정이 많고, 怒氣로 마음이 상하여 혹은 밥을 먹으려면 근심 걱정이 앞을 가리거나, 혹은 일이 뜻대로 되지 않아서 기분이 억눌려서 도저히 흩어지지 않고 가슴에 가득 차 있고 늑골 밑까지 팽만하다. 목이 꽉 막히고 딸꾹질이 나고, 오심이 있으며 머리가 멍하다. 손발은 힘이 없고, 얼굴은 누렇게 뜨고 입은 쓰며 잘 먹지 않아서 점점 여윈다. 또는 허증의 변비가 생기고 혹은 이 병이 원인이 되어 가슴이 꽉 막혀서 음식을 먹지 못하기도 한다. 이 모든 것을 고친다.]

處方解說

1. 뇌신경계, 자율신경계의 실조로 식욕이 전혀 없고, 불안, 초조, 억울감 등의 신경증상이 심하고, 신경성소화불량, 허복만(虛腹滿)이 있고, 허증의 변비 또는 설사가 있을 때 ;

* 신경계를 조절하고,

* 장운동을 강화하고 완만한 사하작용을 하기도 하고 항균작용을 하여 설사응 완화한다.

*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한다.

2. 만성 담도염으로 담즙분비가 안되거나 소화액분비가 안되어 위장운동능이 저하되어 위내용물의 배출이 시원하지 않을 때

* 항균작용으로 담도염을 개선하고 소화액분비를 항진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한다.

3. 만성기관지염이나 늑막염, 상기도염등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기침이 나올 때 * 항균, 소염,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향부자, 상백피, 소엽, 후박은 신경안정작용을 한다.

2. 후박은 위장평활근경련을 억제한다.

3. 인삼, 백출, 대복피는 위장운동신경을 강화하여 위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한다.

4. 백출, 초과인, 향부자는 위장의 Pace maker를 강화하여 소화, 배출을 증진한다.

5. 진피, 대복자는 이담작용으로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한다.

6. 인삼, 곽향, 정향피, 대복자(빈랑자)는 위액분비를 촉진하여 소화를 증진한다.

7. 진피, 맥문동, 상백피, 길경, 목향, 소엽, 곽향, 정향피, 초과인은 상기도 감염증과 담도염, 장염 에 대하여 항균작용을 하여 상하부 기관에 관한 염증성질환에 항균작용을 하고, 담도염, 장염을 완화한다.

8. 목향, 초과인, 정향피, 빈랑자, 길경, 상백피, 진피, 소엽, 후박, 맥문동, 감초는 진해(鎭咳)작용을 한다.


投  藥

1. 무기력하고 만사가 귀찮다.

2. 가슴이 답답하고 헛배가 부르다.

3. 옆구리가 결리고 당긴다.

4. 트림, 소화불량이 있다.

5. 기침을 하고 가래가 나온다.

6. 사지권태.   

應  用

1. 소화불량성 변비.

2. 기침, 가래, 늑막염,기관지염

3. 신경쇠약

4. 담도염, 담낭염.


 

38. 사군자탕 四君子湯 

   補益劑 (補氣劑)

  복령(茯笭) 8.0   /   백출(白朮) 6.0   /   인삼(人蔘) 6.0   /   감초(甘草) 4.0   /   대추(大棗) 4.0   /   생강(生薑) 4.0 

出典

和劑局方

◎ (一切氣門) [治營衛氣虛, 臟腑怯弱, 心腹脹滿, 全不思食, 腸鳴泄瀉, 嘔 吐逆]

[營氣와 衛氣가 허약하고, 臟腑의 기능이 아주 약하여 헛배가 아주 많이 부르고 식욕이 전혀 없으며 배에서 꾸르륵 소리가 나면서 구역질과 구토가 날 때 이 증상들을 치료한다.]   

處方解說

1. 세포에 영양이 부족하여 에너지대사가 원활하지 못하여 기운이 없을 때 :

*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에너지대사를 활성화한다.

2. 소화기계의 연동운동에 관계하는 Pace Maker의 작용이 약하여 소화관무력증상이 있어서 소화관내용물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때 :

* 소화관의 연동운동능을 촉진하므로 써 소화기계의 무력(無力)증상을 개선한다.

3. 일반적으로 모든 건중제[人蔘湯, 眞武湯, 四逆湯, 四君子湯, 六君子湯, 小建中湯, 大建中湯 등]와 마찬가지로 1차적으로는 소화기질환에 응용되지만 평활근(平滑筋) 무력(無力)으로 인한 모든 질환에 거의 처방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인삼은 Acetylcholine이 근육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Saponine이 조건반사능을 강화하여 기운을 강화하고, Ginsenoside가 비특이적 면역능을 증강하여 강장작용을 하며, 복령은 아미노산, 단백질, 레시틴, 칼륨 등의 영양소가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백출은 비타민 A, D 등을, 대추는 당류를 공급하여 세포에 영양을 강화한다. 

2. 인삼, 백출, 생강은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 흡수를 증진한다.

3. 백출, 복령은 소화관에 정체된 수독의 배출을 촉진한다.


投  藥

1. 기운이 없다.

2. 상복부 팽만감, 만성소화불량, 무기력, 만성하리.

3. 식욕부진.

4. 식곤증.   

應  用

1. 기운이 없고 몸이 약하다.

2. 소화불량, 위염, 위산과다,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에 사용.

3. 위산저하로 인한 식욕부진, 심하비(心下 ), 식곤증[위평활근의 무력으로 식후에는 대부분의 혈류가 소화를 목적으로 위장쪽으로 몰리므로 뇌(腦)는 빈혈상태가 되어 기운이 없고 졸음이 온다.]에 아주 많이 사용된다.

4. 피부에 잔주름이 많은 것도 피부세포간의 탄력부족이므로 본 방증이 많다.

5. 모든 내장하수[신하수(腎下垂)로 인한 요통, 방광하수로 인한 빈뇨]에도 많이 합방된다.

6. 산후 소화불량은 위장이 하수(下垂)된 결과이므로 본 방증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산후보약을 사용할 때는 여러가지 조혈제에다 본 방을 합방할 때가 많다.

7. 설사를 할 때는 황기와 승마, 시호, 방풍을 가한다.

8. 냉증이 심할 때는 육계와 부자를 가한다.

9. 부종이 자주 나타날 때는 저령과 택사를 가한다.

10. 본 방증 환자에 오령산과 합방해야 될 설사환자가 많다.


 

39.사물탕 四物湯 

   補益劑 (補血劑)

  당귀(當歸) 8.0   /   숙지황(熟地黃) 8.0   /   천궁(川芎) 8.0   /   작약(芍藥) 8.0 

出典

和劑局方

◎ (婦人諸疾門) [調益營衛, 滋養氣血, 治衝任虛損, 月水不調, 臍腹 痛, 崩中漏下, 血가塊硬, 發歇疼痛, 姙娠宿冷, 將理失宜, 胎動不安, 血下不止, 及産後乘虛, 風寒內博, 惡露不下, 結生 聚, 少腹堅痛, 時作寒熱.]

[營氣와 衛氣를 조절한다. 氣血에 영양을 공급한다. 허약한 것을 낫게 한다. 월경이 불순하고 아랫배가 아프고, 대하가 심하고 뱃속에 단단한 덩어리가 있으며 때로 통증을 호소한다. 임신한 자궁에 냉증이 심하며 심신이 편하지 않다. 태동이 불안하고 하혈이 심하고 또한 산후의 허약이 심하다. 한기가 들면서 오로가 빠지지 않고 덩어리가 생겨서 아랫배가 단단하고 아프다. 추웠다 더웠다 하기도 한다. 이 모든 증상을 낫게 한다.]   

處方解說

골수의 조혈기능이 약하거나 철분공급이 부족하여 빈혈이 심하고 혈관운동능이 저하되어 혈액순환이 되지않아서 어지러움, 전신허약, 수족냉, 습관성유산(流産), 하혈(下血)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

* 철분을 공급하고 골수를 자극하여 적혈구 생성능을 강화하므로써 허혈(虛血)증상을 개선한다.

* 혈관운동능을 강화하고 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 자궁발육을 촉진하고 자궁평활근의 탄력을 강화하여 유산을 방지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당귀, 숙지황은 조혈작용을 하여 빈혈을 완화한다.

2. 당귀, 작약은 혈관을 확장하고 천궁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3. 당귀는 유산을 방지한다.


投  藥

1. 빈혈.

2. 손발저림.(손발은 따뜻함.)

3. 피부건조.

4. 변비경향.(장점막의 진액부족)

應  用

1. 혈액중에 적혈구의 비율이 낮은 Low Hematocrit의 상태이므로 조직에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신경질환, 불임(不姙), 빈혈, 월경이상, 마비, 손발저림의 증상이 있고 골조송증의 증상이 나타날 때 사용한다.

2. 악성빈혈, 재생불량성빈혈 등에 조혈기관을 자극하여 증상을 개선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대표적인 처방이다.

3. 혈허(血虛)로인한 월경불순이나 복통이나 자궁출혈이나 습관성유산 등.

4. 봄에는 천궁의 양을 배로 증량하고, 가을에는 지황의 양을 두배로 늘리고 겨울에는 당귀를 두 배로 늘인다.

5. 혈허로 인한 월경불순에는 본 방에 향부자, 익모초, 오수유, 육계, 인삼 등을 동량 합방한다.

6. 본 방증으로 인한 소양병[피부, 점막에 영양공급 부족으로]일 때는 황금과 부평초 가루를 타서 먹는다.

7. 입안의 궤양증상[점막의 영양공급 부족으로].

8. 노인의 장점막(腸粘膜)의 점액 부족으로 인한 변비에 황기를 가하여 사용한다.

9. 숙지황에는 철분이 함유되어 있어 소화불량이나 하리(下痢)의 증세가 있는 자에게는 투약할 수 없다.


  

40. 삼령백출산 參笭白朮散 

   補益劑 (補氣劑)

  인삼(人參) 6.0            산약(山藥) 6.0             백출(白朮) 6.0                   복령(茯 ) 3.0   감초(甘草) 6.0            연육(蓮肉) 3.0             길경(桔梗) 3.0           의이인(薏苡仁) 3.0   백편두(白篇豆) 3.0      축사(縮砂) 3.0를 가루로 하여 1회 2.0g씩 복용한다. 

出典

和劑局方

◎ (一切氣門) [治脾胃虛弱, 飮食不進, 多困少力, 中滿  , 心 氣喘, 嘔吐泄瀉, 及傷寒咳嗽, 此藥中和不熱, 久服, 養氣育神, 醒脾悅色, 順正酸邪.]

[비위가 허약하고, 식욕이 부진하며 피로가 심하고, 힘이 없으며 가슴이 꽉 막히고, 마음이 조급하고, 기가 막히며 구토와 설사를 하는 것을 낫게 한다. 또 감기에 걸려서 기침을 하는 것을 낫게 한다. 이 처방은 열이 없는 소화기계질환을 치료하며 오래 복용하면 기를 도우고, 정신을 맑게 하고 비장의 기능을 강화하고 얼굴에 화색을 돌게 한다.]   

處方解說

1. 소화기 평활근의 운동능 저하와, 저산증과 장내균의 감염으로 장염이 되어서 만성설사로 영양이 부족하여 기운이 없고

2. 위액분비의 저하와 소화관의 운동능이 저하되어 식욕부진이 심하고, 내용물이 정체되어 복부팽만감이 있으며

3. 위(胃)와 장(腸)점막의 부종으로 수분의 흡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구토를 자주하고 만성적으로 설사를 할 때 ;

* 소화관의 운동능을 강화하여 복부팽만감을 개선한다.

* 저산증을 개선하고, 항균작용을 하여 만성장염을 개선한다.

* 항균작용으로 만성장염으로 인한 소화관의 부종을 완화하여 설사증상을 개선한다.

*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인체의 피로를 경감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인삼은 부교감신경을 흥분하여 소화관 운동능을 항진하고,

2. 산약은 소화효소의 분비를 촉진하며

3. 축사, 인삼은 소화관을 자극하여 위액분비를 촉진하여 저산증을 개선한다.

4. 연육, 길경, 백편두, 의이인은 항균작용을 하여 저산증으로 인한 장내 감염증이나 세균성감염증으로 인한 장염을 개선한다.

5. 백출, 복령, 연육, 의이인은 이뇨작용으로 장점막의 부종을 개선하여 설사를 완화한다.

6. 복령, 인삼, 산약, 백편두, 의이인은 아미노산, 비타민, 미네랄 등이 많아서 만성장염에 의한 만성설사로 영양실조가 되었을 때 영양을 공급한다.

7. 사인은 소화관벽에 분포된 혈관의 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관의 체온을 회복시킨다.



 


[참고]


이 방제는 항균작용하는 약물이 많이 처방되어 있고, 사인이 소화관의 저하된 체온을 정상화하므로 찬 음식의 섭취로 인한 저산증성하리 또는 세균감염으로 인한 장염성 하리와 이로 인한 영양의 손실을 보충한다.


投  藥

1. 영양불량, 빈혈이 있다.

2. 위장이 무력하다.

3. 저산증때문에 식후에 곧바로 설사한다.   

應  用

1. 저산증으로 인한 소화불량, 식후 즉시 설사증.

2. 급만성장염, 만성하리.

3. 큰 병을 앓고 난 후의 식욕부진과 허로, 권태.

4. 영양손실증.

41. 삼소음 參蘇飮 

   解表劑 (氣虛濕熱)  

  자소엽(紫蘇葉) 6.0        전호(前胡) 12.0             갈근(葛根) 12.0           인삼(人蔘) 4.0   길경(桔梗) 6.0               지각(枳殼) 6.0              진피(陳皮) 6.0             감초(甘草) 4.0   목향(木香) 6.0     반하(半夏)      6.0 복령(茯笭) 6.0      생강(生薑) 4.0      대추(大棗) 4.0 

出典 

和劑局方

◎ (傷寒門) [治感冒發熱頭疼, 或因痰飮凝結, 兼以爲熱竝宜服之, 若因感冒發熱, 亦如服養胃湯法, 以被蓋臥, 連進數腹, 微汗卽愈, 尙有餘熱, 更宜徐徐服之, 自然平治, 因痰飮發熱, 但連日頻進此藥,以熱退爲期, 不可預止, 雖有前胡乾葛, 但能解肌耳, 旣有枳殼橘紅輩, 自能實中快膈, 不致傷脾, 兼大治中脘 滿, 嘔逆惡心, 開장進食, 無以喩此, 母以性凉爲疑, 一切發熱, 皆能取效, 不必拘其所因也, 小兒室女, 亦宜服之.]

[감기로 열이 나고 두통이 심하거나 혹은 체한 것이 오래되어 열이 날 경우를 낫게 한다. 만약 감기로 인하여 열이 날 때도 복용하면 胃의 기능도 도운다. 이불을 덥고 누워 있으면서 계속 복용하면 땀이 나면서 낫는다. 그래도 열이 남아 있으면 다시 천천히 복용시키면 자연히 치료된다. 痰飮으로 인한 발열일 경우는 계속 자주 복용해야 하며, 열이 바로 떨어지지 않으면 前胡와 乾葛이 表의 열을 解한다. 지각과 귤홍 등은 가슴이 막힌 것을 다스리며 비장을 상하지 않게 한다. 중완이 막혀서 갑갑한 것을 낫게 하고 메스꺼움과 구역을 다스린다. 식욕을 증진하고 그 약효는 찬 성질을 발휘하여 일체의 발열을 낫게 한다. 그 원인이 무엇이든 간에 구애받지 않고 낫는다.]   

處方解說 

평소에 체질이 허약하고, 위장(胃腸)의 기능이 약한 사람이 감기나 기관지염에 걸려서, 열이나고, 두통이 있으며, 기침과 가래가 있으며, 소화가 잘 안될 때

* 체력을 강화하고

* 항균, 진통, 해열, 진해, 거담작용을 하고,

* 소화기계의 무력(無力)으로 소화불량, 구역질, 구토감 등을 개선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갈근은 면역능을 증강하고, 소엽, 길경, 목향은 항균작용을하여 기관지염증을 개선한다

2. 반하, 소엽, 전호, 길경, 진피는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3. 지각, 진피는 기관지염에 항알러지작용을한다.

4. 소엽, 생강은 해열작용을 한다

5. 반하, 생강, 지실, 진피, 지각, 인삼은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한다.

6. 반하는 진토작용을 한다.

7. 복령은 소화관 점막의 부종을 완화하여 구토감을 개선한다.

8. 인삼, 복령, 감초는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체력을 증진한다. 

投  藥 

1. 허약체질,

2. 발열, 기침, 해소(咳嗽)

3. 소화불량, 구토, 복부팽만감   

應  用 

1. 위장이 약한 사람의 감기 기침.

2. 소아, 노인, 임신부 등의 감기증상

3. 허약체질이면서 위장기능이 약한 사람의 감기, 기침.  

  

42. 삼출건비탕 蔘朮健脾湯 

 

 補益劑 (補氣劑) 

  인삼(人蔘) 3.0   /   백출(白朮) 3.0   /          복령(茯笭) 3.0           백작약(白芍藥) 2.4

  후박(厚朴) 3.0   /   산사(山査) 3.0   /         진피(陳皮) 3.0           지실(枳實) 2.4

  사인(砂仁) 2.4   /   신국(神麴) 2.4   /   맥아(麥芽) 1.5           감초(甘草) 1.5


  생강3편   /   대추2매

出典

東醫寶鑑

◎ 內傷 [비(脾)를 건장하게 하고 위(胃)를 기르고 음식을 운화(運化)한다.]


處方解說

평소에 몸이 약하고, 소화관 운동능은 저하되어 있고, 소화효소의 분비는 부족하여 기운이 없고, 소화관에 있는 내용물이 잘 배출되지 않고, 소화효소의 분비 저하로 소화가 안되어 배에 가스가 차고, 복통과 소화관점막의 부종으로 구토가 있을 때:

* 에너지대사를 촉진하여 기운을 생기게 하고

* 소화관의 Pace maker를 강화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하고

* 소화효소를 가하여 소화를 증진한다.

* 이뇨작용을 소화관의 부종을 개선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인삼, 백출은 소화관의 Pace maker를 강화하여 소화관 운동능을 증진한다.

2. 인삼, 복령, 백출, 작약, 감초는 에너지대사를 강화하여 기운을 생기게 한다.

3. 신국, 맥아는 소화효소제로써 작용하여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소화를 증진한다..

4. 진피, 산사는 담즙분비를 촉진하여 소화관에서 지방의 분해를 증진하며 소화관의 운동능을 강화한다.

5. 산사, 후박, 지실, 진피, 사인은 소화관의 연동운동능을 강화하여 음식물의 배출을 촉진한다.

6. 사인, 생강은 소화관벽의 혈류를 증진하여 연동운동능을 강화한다.

7. 백출, 복령은 소화관점막의 부종으로, 구역 구토감이 있을 때 이뇨작용을 하여 부종을 완화한다.

8. 작약, 후박은 소화관경련을 억제한다.


投  藥

1. 기운이 없고, 식사 후 항상 소화가 안되며 소화제를 먹는 습관이 있다.

2. 헛배가 부르고 식욕이 없으며 가스가 찬다

3. 트림이 나고, 속이 메스껍기도 하고 구역이 있기도 하며 설사를 하기도 한다.


應  用

1. 위무력증환자의 만성소화불량과 소화불량성 설사와 구토.

2. 만성식체

3. 위무력증(胃無力症), 만성설사


 43. 삼황사심탕 三黃瀉心湯 

   淸熱劑 (淸熱解毒) 

   대황(大黃) 6.0   /   황련(黃連) 6.0   /   황금(黃芩) 6.0 

出典

금궤요략 ◎ (驚悸吐 下血胸滿瘀血病門) [心氣不足, 吐血,  血, 瀉心湯主之]

[마음이 편하지 못하고 피를 토하고 코피를 흘리면 반드시 사심탕을 사용한다.]

◎ (婦人雜病門) [婦人吐涎沫, 醫反下之, 心下卽 , 當先治其吐涎沫, 小靑龍湯主之, 涎沫止乃治 , 瀉心湯主之.]

[부인이 연말을 토하는데, 의사가 반대로 설사를 시키면 가슴이 즉시 답답한데 소청룡탕을 사용한다. 연말이 멎으면 비로소 가슴이 답답한 것을 고친다. 반드시 사심탕을 사용한다.] 

處方解說

중추신경이 흥분되어 있고, 변비와 고점도혈증으로 모세혈관[주로 상부 모세혈관]이 압력을 받아서, 혈액의 순환이 순조롭지 못하여, 얼굴은 홍조 되고, 정신은 흥분이 잘 되고, 불안을 나타낼 때 ;

* 변비를 완화하고,

* 혈액의 점도를 저하하여 혈액순환을 개선하므로 써 상역감을 없애고,

* 중추신경 흥분을 완화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대황은 사하작용을 하여 혈액의 점도를 낮춘다.

2. 황금은 고지혈증을 개선한다.

3. 황련, 황금은 혈관의 충혈을 완화한다.

4. 황금, 황련은 중추신경 흥분을 억제한다.

投  藥

1. 변비(便秘), 설황태(舌黃苔)가 있다.

2. 중추신경 흥분으로 항상 안정을 못하고 불안정하다.

3. 상역감이 심하다.

4. 신경질을 잘 내고 기분이 금새 좋았다 화났다 한다.

5. 코피[혈액의 점도가 높아서]를 잘 흘린다.   

應  用

1. 혈액의 점도가 높아서 혈액이 혈관을 압박하여 나타나는 고혈압, 동맥경화, 뇌출혈 등.

2. 신경쇠약, 노이로제, 정신분열증, 전간 등에 망상, 헛소리, 동계(動悸) 등이 있고 가슴이 답답하고 변비가 있을 때.

3. 이명(耳鳴), 난청(難聽), 심계 항진, 두통 등에 정신불안과 기상충과 변비를 수반할 때.

4. 토혈, 각혈(喀血), 코피, 자궁출혈, 치출혈(齒出血), 장출혈 등이 있고 흥분, 번조 등을 수반할 때.

5. 타박, 화상 등에 놀라서 흥분할 때, 그리고 화상에는 이 탕을 무조건 먹고 연고를 만들어 바르면 화기(火氣)가 빨리 빠진다.

6. 주사비(酒渣鼻), 결막염, 설염 등으로 충혈성이고 변비 경향이 있는 실증의자.

7. 피부병, 두드러기가 붉고 가려움이 심하고 그 가려움 때문에 잠을 못 자고, 번조할 때.

8. 상습 변비, 구취, 복통, 황달 등에 흥분성이 있을 때.

9. 천식으로 심하(心下)가 막히고 기상충이 심할 때


44. 생혈윤부탕 生血潤膚湯 

   治燥劑 (潤膚) 

  천문동(天門冬) 4.5   /   생지황(生地黃) 3.0   /   숙지황(熟地黃) 3.0   /   맥문동(麥門冬) 3.0   /   당귀(當歸) 3.0   /   황기(黃 )3.0   /   황금(黃芩) 1.5   /   괄루인( 樓仁)1.5   /   도인(桃仁) 1.5   /   승마(升麻) 1.5   /   홍화(紅花) 0.3 

出典

 醫學正傳 

處方解說

피부에 영양과 자윤이 부족하여 피부가 건조하고 갈라지며 염증이 있을 때 * 항혈전작용을 하여 피부에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 비타민A, 비타민 B, Linoleic acid, Asparagin산등을 공급하여 피부에 영양을 강화하고 조혈작용을 강화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황기, 승마는 피부의 장력을 강화한다.

2. 맥문동, 천문동, 숙지황은 피부에 비타민A를 공급하고. 당귀는 비타민E를 공급하며 황기는 영양분을 공급한다.

3. 도인, 홍화, 생지황은 항혈전작용을 한다

4. 황금, 맥문동, 천문동은 항균작용을 하여 피부의 염증을 개선한다.


投  藥

1. 피부가 건조하여 갈라지거나 출혈 증상이나 감염증이 있다.   

應  用

1. 피부건조

2. 건선(乾癬).

3. 건성(乾性)습진.


45. 세간명목탕 洗肝明目湯 

   淸熱劑 (淸熱解毒)

당귀(當歸) 3.0   /   박하엽(薄荷葉) 3.0   /   작약(芍藥) 3.0   /   천궁(川芎) 3.0   /   방풍(防風) 3.0   /   건지황(乾地黃) 3.0   /   방풍(防風) 3.0   /   황금(黃芩) 3.0   /   석고(石膏) 3.0   /   산치자(山梔子) 3.0   /   연교(連翹) 3.0   /   황련(黃連) 3.0   /   강활(羌活) 3.0   /   만형자(蔓荊子) 3.0   /   국화(菊花) 3.0   /   길경(桔梗) 3.0   /   질여(疾黎) 3.0   /   초결명(草決明) 3.0   /   형개(荊芥) 3.0   /   감초(甘草) 3.0 

出典

萬病回春

◎ (卷下 眼目) [治一切風熱 赤腫疼痛]

[모든 풍열로 인한 발적, 부종, 동통을 치료한다.]   

處方解說

빈혈이 있으면서 교감신경이 흥분되거나, 혈액의 점도가 높은 체질의 사람이 알러지성 결막염이나 세균성안질환에 이환되어 눈이 아프고, 눈이 가렵고, 혈관은 울혈(鬱血)되어 두통이 있고, 각막(角膜)과 결막은 충혈(充血)되어 있을 때

* 각종 염증에 대한 항균(抗菌), 소염(消炎)작용을 하며

* 혈액의 점도를 저하하여 혈관의 울혈을 개선하고,

* 혈관을 확장하고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두통을 개선하며,

* 비만세포막을 강화하여 알러지 증상을 억제하며,

* 진정작용을 하고

* 눈에 영양을 공급하여 알러지안염, 세균성결막염, 만성두통을 완화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당귀, 작약, 지황, 천궁은 빈혈을 개선하고 조혈작용을 한다.

2. 황금, 석고, 박하엽, 연교, 길경, 형개, 국화, 결명자, 질려는 소염작용을 한다.

3. 석고, 방풍, 강활은 해열, 진통작용을 하고 당귀는 진통작용을 한다.

4. 건지황, 황금, 황련, 산치자, 형개, 질려는 혈액의 점도를 저하하고 혈소판 응고를 억제하여 혈류를 원활히 한다.

5. 황금, 연교는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6. 작약, 당귀, 천궁, 결명자, 질려, 국화는 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순환을 촉진 한다.

7. 결명자, 지황은 Vitamin A가 있어서 시력을 보호하고 만형자는 Croton이 시력을 보호하며 질려는 안질환에 소염작용을 한다.

8. 황련, 황금, 산치자, 천궁, 박하엽은 신경을 안정시킨다.

9. 길경, 황련, 방풍, 강활, 형개, 작약은 항균작용을하여 세균성안염(細菌性眼炎)을 개선한다.


投  藥

눈알이 빨갛게 충혈되어 있고, 두통을 호소한다.   

應  用

1. 여러가지 눈병.

2. 오래 낫지 않는 각막과 결막질환.

3. 만성두통.


46. 소건중탕 小建中湯 

   溫裏劑 (補氣健脾) 

  계지(桂枝) 6.0   /   감초(甘草) 6.0   /   생강(生薑) 6.0   /   대추(大棗) 6.0   /   작약(芍藥) 12.0   /   엿(膠飴) 40.0 

出典

1. 傷寒論

◎ (太陽病中編) [傷寒陽脈澁, 陰脈弦, 法當腹中急痛者, 先與小建中湯, 不差者, 小柴胡湯主之.)

[상한병으로 양맥이 삽하고 음맥이 현하면 당연히 배가 갑자기 아플 것이다. 우선 소건중탕을 투여하고 낫지 않으면, 소시호탕을 사용한다.]

◎ (太陽病中編) [傷寒 二三日 心中悸而煩者. 小建中湯主之.]

[상한에 걸린지 2, 3일이 되어 가슴이 두근거리고 답답하면 소건중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2. 금궤요략

◎ (血痺, 虛勞病門) [虛勞, 裏急, 悸 , 腹中痛, 夢失精, 四肢 痛, 手足煩熱咽乾口燥, 小建中湯主之.]

[몸이 약해져서 배가 땡기고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코피가 나고, 배가 아프고 꿈에 失精을 하며, 온몸이 아프고, 손발이 뜨거우면서 목과 입이 마를 때 소건중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 (黃疸病門) [男子黃, 小便自利者, 當與虛勞小建中湯.]

[황달이 있고 소변을 자주 보는 것은 당연히 몸이 약해서 나타나는 것이니, 소건중탕을 사용한다.]

◎ (婦人雜病門) [婦人腹中痛, 小建中湯主之.]

[ 부인이 배가 갑자기 아플 때 소건중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處方解說

 1. 말초혈관과 소화관에 분포된 모세혈관의 혈관운동능이 저하되어  정맥모세혈관의 운동능 저하로 정맥에서 혈류가 정체되어 수족(手足)의 번열(煩熱)이 있고, 고혈압, 또는 저혈압이 있고

2. 소화관에서의 배출, 흡수기능이 저하되어 소화불량과 변비(便秘) 또는 설사가 있으며, 흡수불량으로 인한 저혈당증(低血糖症)이 되고 면역능이 저하되어 있으며

3. 저혈당증으로 인하여 식욕부진, 도한(盜汗), 무기력(無氣力), 어지러움, 피로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

* 말초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말초혈관과 소화관벽에 분포된 혈관의 혈류를 증진한다.

* 흡수불량으로 인한 저혈당증(低血糖症)에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흡수를 증진 할 뿐만 아니라 직접 당(糖)과 영양분을 공급하여 저혈당증을 개선한다.

4. 뇌조직에의 영양공급불량[저혈당증 때문에]으로 인하여 신경계의 기능이 저하되어

  심계항진(心悸抗進), 야제증(夜啼症), 불안(不安) 등을 나타낼 때

* Glucose[물엿]을 직접 공급하여 신경기능을 항진한다.

5. 소화관 평활근의 운동능 저하와 담도(膽道)의 운동능 저하로, 담즙(膽汁)의 분비가 저하되어 식욕이 부진하고, 시시(時時)로 소화관 경련이 일어날 때

* 담도의 운동능을 강화하고 소화관의 평활근 경련을 억제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계지, 생강, 작약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소화관 내벽에 분포된 혈관의 운동능을 강화한다.

2. 작약, 생강은 소화관의 운동능을 강화하고, 장경련을 억제한다.

3. 물엿은 흡수 불량으로 인한 저혈당증을 개선한다.

4. 작약은 세포에 영양을 공급한다.


投  藥

1. 배는 허복만(虛腹滿)이거나 장경련으로 복직근(腹直筋)이 긴장되어 있다.

2. 수족이 번열(煩熱)할 때도 있다.(정맥말초혈관의 울혈로.)

3. 입은 마르고 목도 마르고(점막세포의 진액부족으로 인하여), 소변은 조금씩 자주 나오는 경우가 많다.(방광괄약근의 운동능부족으로)

4. 면역능 저하로 여러가지 염증을 잘 일으키며, 또는 면역과잉으로 알러지를 일으키는체질이 된다.

5. 혈관의 운동능 저하로 발생하는 저혈압, 고혈압이 많다.

6. 소화불량, 식곤증(食困症)이 있으며, 위액분비(胃液分秘) 저하로 인한 저산증(低酸症)이 되기도 한다.

7. 심계항진, 신경쇠약의 증상이 있다.

8. 영양공급의 부족으로 인하여 대체로 빼빼하게 여윈 체질이다.

9. 저혈당증상 즉 식욕부진, 도한(盜汗), 무기력(無氣力), 어지러움, 피로 등이 있다.   

應  用

1. 대장경련으로 인한 복통.

2. 야뇨증(夜尿症), 빈뇨증(頻尿症), 야제증.

3. 신장염, 전립선비대 등.

4. 만성복막염의 경한증상으로서 복수가 없고 허약할 때.

5. 고혈압, 저혈압, 동맥경화증 등의 사람이 혈관운동능저하가 원인일 때.

  이때는 피곤함과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이 차며 가벼운 어지러움이 있다.

6. 위하수, 위아토니 [위장평활근이 무력하여 많은 혈류가 위장쪽으로 몰려서 식후(食後)에 졸리거나 하품이 나올 때.]

7. 만성장염, 만성하리, 점액변, 직장암.[장내용물이 장의 연동운동 부족으로 흡수도 잘 되지 않고 배설도 잘 되지 않으므로]

8. 치핵, 탈항, 탈장.

9. 임파선염, 편도선비대, 아데노이드, 알러지1형의 질환.

10. 유정(遺精), 몽정(夢精), 성적신경쇠약 등. [계지가용골모려탕과의 합방증이 많다.]

11. 소아(小兒)노이로제, 소아(少兒)상습성두통 등에도 이 탕증이 많다.

12. 담석증이면서 심하부(心下部)에 둔통이 있을 때. [담도평활근의 운동능 부족으로 담즙분비가 원활하게 되지 못하여 생긴 병이므로 이 탕을 써서 담도의 평활근운동을 항진시키므로 써 담석을 빼낼 수 있다.]

13. 황달, 만성간염, 간경화.

14. 복통이 발작적이거나 경련성인 충수염.

15. 만성소화불량 특히 소아소화불량.

16. 척추를 지탱하고 있는 근육이 무력하여 나타나는 디스크.

17. 각기로 다리에 힘이 없고 장단지가 땡길 때.

18. 자반병 [정맥모세혈관의 운동능 저하로 인하여 모세혈관이 혈류의 흐름을 지탱하지 못해서 나타날 때.

19. 탈장 특히 소아탈장.

20. 화농성피부염. [일년 내내 종기가 여기저기 생기는 사람은 배농산 및 배농탕을 합방하여 많이 사용된다.]

21. 설사, 변비, 고혈압, 저혈압.

22. 소변 자주 볼 때.[육미지황환과 합방하여 사용한다.]


 

47. 소시호탕 小柴胡湯 

   和解劑 (表裏不和, 和解少陽) 

  시호(柴胡)12.0   /   반하(半夏) 12.0   /   황금(黃芩) 6.0   /   대추(大棗) 6.0   /   인삼(人蔘) 6.0   /   감초(甘草) 6.0   /   생강(生薑) 6.0 

出典

1. 傷寒論

◎ (太陽病中編) [傷寒中風五六日, 往來寒熱, 胸脇苦滿, 默默不欲飮食, 心煩喜嘔, 或胸中煩而不嘔, 或渴, 或腹中痛, 或脇下 硬, 或心下悸, 小便不利, 或不渴, 身有微熱, 或咳者, 小柴胡湯主之.]

[상한에 걸린지 5, 6일이 되어 발열과 오한이 교대로 나타나고, 늑골밑에 저항감이 심하고 식욕부진이 심하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구역질이 자주나고 혹은 가슴이 답답하면서 구역이 없고, 혹은 갈증이 있고 혹은 배가 아프고 혹은 늑골밑이 막힌듯 하고 혹은 가슴이 두근거리고 혹은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혹은 갈증이 없기도하고 혹은 몸에 미열이 있고 혹은 기침할때 소시호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 (太陽病中編) [傷寒, 四五日 身熱惡風, 頸項强, 脇下滿, 手足溫而渴者, 小柴胡湯主之.]

[상한에 걸린지 4, 5일에 몸은 열이 나면서 춥고 목이 뻣뻣하고 늑골밑이 그득하고, 수족이 따뜻하면서 갈증이 있는 사람은 소시호탕을 사용해야한다.]

◎ (太陽病中編) [傷寒, 陽脈 , 陰脈弦, 法當腹中急痛. 先與 小建中湯, 不差者, 與小柴胡湯]

[상한에 걸려서 양맥이 색하고 음맥이 현하면 배가 급성으로 아프다. 먼저 소건중탕을 주고 낫지 않으면 소시호탕을 사용한다.]

◎ (太陽病中編) [傷寒, 十三日不解, 胸脇滿而嘔, 發潮熱, 已而微利. 此本柴胡症下之而不得利, 今反利者, 知醫以丸藥下之, 非其治也, 潮熱者, 實也. 先宜小柴胡湯以解外, 後以柴胡加芒硝湯主之.]

[상한에 걸린지 13일이 되었는데도 풀리지 않고 늑골밑이 답답하고 구토가 있으며 조열이 나 고 약간 설사를 한다. 이는 본시 시호증에 속한다. 설사시키면 이롭지 않은데 설사를 시켰다. 의사가 환약으로 설사시키는 것이 치법이 아님을 알 수 있다. 潮熱이 나는 것은 實한 것이다. 먼저 소시호탕으로 外邪를 풀고, 다시 시호가망초탕을 사용한다.]

◎ (太陽病下編) [婦人中風, 七八日續得寒熱, 發作有時. 經水適斷者, 此爲熱入血室. 其血必結, 故使如虐狀, 發作有時. 小柴胡湯主之.]

[부인이 이물질에 감염되어 왕래한열이 생겨 발작할 때가 있다. 월경이 없어지는 것은 이물질에 대한 방어반응으로 자궁에 울혈이 생겼기때문이다. 그러므로 학질처럼 발작할 때가 있다. 반드시 소시호탕을 사용한다]

◎ (陽明病編) [陽明病 發潮熱, 大便 , 小便自可. 胸脇滿不去者, 小柴胡湯主之]

[양명병에 潮熱이 나고 대변이 연변이고 소변은 정상이며 늑골밑이 가득하여 증상이 없어지지 않을 때 소시호탕을 사용한다.]

◎ (辨藿亂病門) [傷寒, 差己後, 更發熱者, 小柴胡湯主之, 脈浮者, 以汗解之, 脈沈者, 以下解之.]

[상한병이 다 나은 후에 다시 발열하는 사람은 반드시 소시호탕을 투여한다. 맥이 부한 사람은 땀으로 풀고, 맥이 침한 사람은 설사시켜서 푼다]

◎ (厥陰病編) [嘔而發熱者, 小柴胡湯主之.]

[구토하고 열이 나면 소시호탕을 사용한다.]   2. 금궤요략

◎ (黃疸病門) [諸黃, 腹痛而嘔者, 小柴胡湯主之.]

[모든 원인이 황달로, 배가 아프고 구토하는 사람은 반드시 소시호탕을 사용한다.]

◎ (婦人産後病門) [婦人在草褥, 自發露, 得風, 四肢苦煩熱, 頭痛者, 與小柴胡湯, 不頭痛, 但煩者, 三物黃芩湯主之.]

[부인이 산욕열이 있으면서 바람에 노출되어 풍을 얻어 사지가 심하게 번열하고 머리가 아프면 소시호탕을 사용한다. 두통이 없고 번조만 있으면 삼물황금탕을 사용한다.]  

處方解說

본방은 상한육경병(傷寒六經病)중 소양병(少陽病)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처방이다.

소양병(少陽病)이란,

중추신경계는 흥분되어 있고 자율신경계는 실조되고 혈액의 점도도 높아서 조직에 산소공급이 제대로 되지않는 체질자가, 세균, 바이러스 등의침입을 받아서, 구고(口苦) 인건(咽乾), 목현(目眩), 왕래한열(往來寒熱)의 증상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또는 이물질(異物質)의 침입을 받거나, 자체면역능을 조절할 때, 혈액의 점도는 높아지고, 중추신경계는 흥분되며, 자율신경계가 실조되는 증상들을 말한다. 이때는 면역능이 조절되지 못해서, 염증이 만성적으로 이행하거나 면역능이 과잉 항진되어 알러지를 유발하게 되는데, 주로 이장열(弛張熱;열의 높음이 일정하지 못함)이나 왕래한열 (往來寒熱; 발열을 동반하지않는 오한과, 오한(惡寒)을 동반하지 않는 발열)을 나타낸다. 이때, 본방은 중추신경계와 자율신경계를 조절하고 혈액의 점도(粘度)를 개선하여 면역능을  조절하므로써 각종 만성질환, 만성염증을 치유하고 인체의 항상성(恒常性)을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열거하면, 과 같은 작용을 한다.

* 간장애 억제작용으로 간염을 개선한다.

* 면역능을 강화하여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 Steroid제의 수식작용을하여 부작용을 경감한다.

* 만성적인 항원항체반응에 생체의 항상성 유지기구 조절작용을 하여 염증을 개선한다.

* 지방간 개선작용을 하고 고점도 혈액의 점도를 저하한다.

* 담즙분비를 촉진하여 소화장애를 개선한다.

* 자율신경을 조절하고 중추신경의 이상흥분을 억제하여 신경안정작용을 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시호, 황금, 인삼은 혈소판응고를 억제하고 혈액의 점도를 낮춘다.

2. 시호, 인삼, 감초, 대추는 면역능을 강화하고 간염을 개선한다.

3. 반하는 진토작용을 한다.

4. 시호, 황금은 간기능을 강화하고, 담즙분비를 촉진한다.

5. 시호는 중추신경을 안정시키고 자율신경을 조절한다.

6. 황금은 자율신경을 조절한다.

7. 시호, 황금은 지방간을 개선한다.


投  藥

1. 왕래한 열, 구고(口苦), 인건(咽乾), 목현(目眩).

2. 간(肝)이 붓거나 기관지, 폐, 늑간부위에 염증이 생기면 그부위의 근육이 긴장하게 되어 흉협고만을 나타내거나 협하비경[늑골밑이 답답하고 단단한것]이 나타나게 되는데 본 방증의 대표적인 발현증상이다.

3. 갈증이나 미열이 있을 수도 있다. 혀에 백태가 있다.

4. 식욕이 없고 구역질이 잘나며 배가 아프거나 가슴이 답답하다.

5. 기침이 날 때도 있고, 가슴이 두근거릴 때도 있고, 소변이 잘 안 나올 때도 있다.(신경계의 실조)   

應  用

1. 감기, 장티푸스, 원인불명열, 마라리아 등의 각종 염증에 구고, 인건, 목현, 왕래한 열의 4가지 증상중 하나만 나타나도 본 방증이다.

2. 간염, 담낭염, 담석증, 황달, 간기능장애, 지방간 등에 흉협고만을 목표로 사용

3. 위염, 위산과다증, 위궤양, 변비, 식욕부진 등의 위장질환에 구고와 흉협고만을 목표로 사용한다. 위산저하 증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4. 임파선염, 연주창, 편도선염, 중이염, 이하선염, 유선염 등의 각종 화농성염증에 식욕부진 혹은 흉협고만을 목표로 사용하여 면역능을 증강시킨다.

5. 음부소양증, 음낭습진, 동상, 대머리 등에 흉협고만과 설백태를 목표로 사용.

6. 신경증, 노이로제, 벙어리, 말더듬이, 불면증, 전간, 정신분열증, 경련발작 등의 신경증상에 흉협고만이나 설백태 등을 목표로 사용.

7. 폐질환, 기관지질환에 흉협고만과 설백태를 목표로 사용.

8. 각종 알러지질환에 체질개선제로 많이 쓰인다.


 

48. 소요산 逍遙散 

   和解劑 (肝脾不和) 

  당귀(當歸) 6.0   /   작약(芍藥) 6.0   /   복령(茯 ) 6.0   /   감초(甘草) 3.0   /   백출(白朮) 6.0   /   시호(柴胡) 6.0 

出典

和劑局方

◎ (婦人諸疾門) [治血虛勞倦, 五心煩熱, 肢體疼痛, 頭目昏重, 心 頰赤, 口燥咽乾, 發熱盜汗, 減食嗜臥, 及血熱相搏, 月水不調, 臍腹脹痛, 寒熱如虐, 又治室女血弱陰虛, 營衛不和, 痰嗽潮熱, 肌體羸瘦, 漸成骨烝.]

[혈허하고 기운이 없으며, 가슴이 답답하고, 팔다리가 아프고, 머리가 맑지 못하여 흐릿하고, 마음이 급해지고 얼굴이 달아오르고, 목과 입이 마르고, 식은땀이 흐르면서 열이 나고 식욕부진에다 잘 눕고 싶을 때 이를 다스린다. 또 血熱이 相博하여 월경이 불순하고 헛배가 부르고 학질에 걸린 것처럼 열이 낫다 추웠다 하는 증상을 고친다. 또 여자가 빈혈이 있고 허약하며 혈액의 순환이 잘 되지 않고 기침, 가래가 있으면서 조열현상이 나타나고 몸이 여위면서 점점 뼈만 남은 것처럼 되는 것을 고친다.   

處方解說

1. 평소에 혈허(血虛)한 증상을 가지고 있는 체질 자가 스트레스에 의하거나 또는 다른 원인으로 혈액의 점도가 높아지고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뇌세포에의 산소공급 부족으로 신경이 예민해질 때 ;

* 혈액의 점도를 저하시키고 울혈(鬱血), 허혈(虛血)증상을 개선하여 뇌세포에 산소, 영양공급을 증가시켜 신경계(神經系)를 강화하고 면역능을 증강시킨다.

2. 지방간(脂肪肝)이나 또는 간질환(肝疾患)으로 간에서 에스트로젠의 파괴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혈중에 Estrogen이 많아져서 상역감(上逆感), 피로, 불안 등이 나타날 때 ;

* 간의 지방(脂肪)대사를 촉진하고 간기능을 활성화하여 호르몬의 균형을 유지한다.

3. 중추신경 흥분을 억제하고 진정작용을 하여 불면, 신경질, 잘 노(怒)하는 증상을 개선한다.

4. 보체활성을 조절하여 제3형알러지 증상을 개선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당귀는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여 빈혈을 개선한다.

2. 당귀, 작약은 혈관운동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3. 시호는 혈액의 고점도혈증에 의한 산소공급 부족을 완화하고 지방간을 개선한다.

4. 복령은 뇌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백출, 시호는 진정작용을 한다.

5. 작약은 간염에 항혈전작용을 하여 간염증상을 개선한다.

6. 당귀, 백출은 유산(流産)을 방지한다.


投  藥

발현증상

1. 상역감(上逆感)이 특징이다.

   먼저 가슴이 답답하면서 열감이 얼굴 위로 치솟고 난 후 곧 바로 열이 내리면서 등에 진땀이쫙나고 금방 오슬오슬 추워진다. 하루에도 몇 번씩 반복할 때가 있고 며칠에 한번씩 일어날 수도 있다.

2. 피로, 사지권태, 불면이 있다.

3. 갱년기장해, 폐경전후의 여성들에게 대부분 일어나는 증상으로서 불면, 허무감, 상역감, 쉽게 슬퍼하고 쉽게 분노하는 감정의 절제가 잘되지 않는 증상을 호소한다. 그러므로 갱년기가 되는 모든 사람에게 본 방을 적용시켜 볼 수 있다.

4. 손바닥, 발바닥에 번열증상이 있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양쪽 볼이 붉어지기도 하며(치자증) 주로 오후에 상역감이 심하다.   

應  用

◎ 아래에 열거하는 질환들과 그 외의 모든 질환에 본방(本方)특유의 상역감(上逆感)을 목표로 사용한다.

1. 노이로제, 우울증, 신경질 등의 모든 신경증상.

2. 갱년기에 주로 나타나는 월경불순, 하혈(下血), 대하(帶下)등의 자궁질환.

3. 간경화, 지방간, 만성간염에 복수(腹水)는 차지 않고 흉협고만도 없으면서 식욕부진과 피로, 잘 눕고 싶은 증상이 있고 손바닥에 간반(肝班)이 나타날 때. 이 때는 상역감이 없어도 된다.

4. 수장각화증(手掌角化症)이나 무좀에 지골피, 형개를 4.0 가해서 사용한다.

5. 부인의 완고한 피부병, 건성습진, 질건조증에 사물탕과 합방하여 사용한다

6. 뇨도염, 대하(帶下), 임질, 방광염, 산후신경증상, 산후구내염 등은 면역능의 저하에 의하므로 본 방증이 많다.

7. 간경화로 각혈을 하면 무조건 본 방을 써도 된다.


 

49. 소자강기탕 蘇子降氣湯 

   理氣劑

  소자(蘇子) 8.0   /   반하(半夏) 8.0   /   진피(陳皮) 4.0   /   후박(厚朴) 4.0   /   전호(前胡) 4.0   /   육계(肉桂) 4.0   /   생강(生薑) 4.0   /   대추(大棗) 4.0   /   당귀(當歸) 4.0   /   감초(甘草) 2.0 

出典

和劑局方

◎ (治傷寒) [治中脘不快, 心腹脹滿, 陰陽雍滯, 氣不升降, 胸膈 塞, 喘促短氣, 乾 煩滿, 咳嗽痰涎, 口中無味, 嗜臥減食, 宿寒留飮, 停籍不消, 脇下支結, 常覺妨悶, 專治脚氣 上衝, 心腹堅滿, 肢體浮腫, 有妨飮食.]

[중완이 시원하지 않고, 가슴과 배가 부르고, 찬 가래와 양기가 막혀서 기가 오르내리지 못하고, 횡경막이 막혀 답답하고, 숨이 찬다. 딸꾹질이 나오고, 마음이 불안하면서 그득하고, 해수와 가래가 있다. 밥맛이 없고, 먹지 못하여 지쳐 누워 있으며 한기와 수독이 누적되어 풀리지 않고, 늑골이 마치는 등의 모든 증상을 고친다. 또 기가 상충하는 것을 고치고, 가슴과 배가 부르고 딱딱하며 팔다리가 붓고, 소화불량한 증상을 전문적으로 고친다.]

處方解說

1. 기관지염으로 기침이 나고 숨이 찰 때 * 항균작용과 진해, 거담작용을 하여 기관지염을 개선한다.

2. 위장은 운동능이 저하되어 심하(心下)가 갑갑하고, 변비가 있을 때

* 위장운동능을 강화하고 배변을 원활히 한다.

3. 심장의 박동이 고르지 못하여, 호흡곤란과 하지(下肢)부종이 있을 때, * 심장의 박동을 정상화하여 심장성천식, 하지부종(下肢浮腫)증상을 완화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소자, 반하, 진피, 후박은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2. 진피, 후박, 육계는 항균작용을 하여 기관지염을 개선한다.

3. 육계, 생강은 위벽을 자극하여 위액분비를 촉진하여 소화를 증진한다.

4. 반하, 진피, 후박은 위장운동능을 강화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한다.

5. 당귀, 육계, 생강은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6. 소자는 장점막에 자윤을 공급하여 배변을 원활히 한다.

7. 전호, 감초, 계지는 심장의 관상혈류를 증진하여 심장운동을 정상화한다.


投  藥

1. 심하비(心下 ), 족냉(足冷), 호흡곤란, 소화불량.

2. 하지(下肢)는 부종이 있을 때가 많다   

應  用

1. 허증체질자의 만성기관지염, 천식성기관지염, 폐기종.기침은 가래가 끓는 것이 특징이다.

2. 숨이 차고, 발이 차면서 각기증이 있을 때.

3. 이명(耳鳴), 토혈(吐血), 코피.


50. 소적정원산 消積正元散 

   消導化積劑 (消積)

  백출(白朮) 3.0   /   신국(神麴) 1.5   /   향부자(香附子) 1.5   /   지실(枳實) 1.5   /   현호색(玄胡索) 1.5   /   해분(海粉) 1.5   /   복령(茯笭) 0.9   /   진피(陳皮) 0.9   /   청피(靑皮) 0.9   /   사인(砂仁) 0.9   /   맥아(麥芽)   /   산사(山査) 0.9   /   감초(甘草) 0.9   /   생강 

出典

 醫學入門 


處方解說

스트레스와 소화효소부족과 위장운동능저하로 내용물이 위장에 정체되어 있고 통증이 있을 때

* 자율신경계를 조절하고, 위장의 운동능을 강화하고, 소화제에 의해 소화를 촉진하고, 진통작용을 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백출, 지실, 사인은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한다.

2. 청피는 소화효소의 분비를 촉진하고, 진피, 산사는 담즙분비를 촉진하며 신곡, 맥아는 소화효소제로 써 소화를 촉진한다.

3. 향부자, 해분은 자율신경계를 조절하여 신경성소화불량증을 개선한다.

4. 지실, 현호색, 향부자는 소화관의 통증에 진통작용을 한다.

5. 백출, 복령은 소화관 부종을 완화하여 구토증상을 개선한다.

6. 해분은 소화불량으로 인한 치핵을 개선한다.


投  藥

1. 소화가 안되고 가슴이 답답하며 적취가 있다.

2. 신경이 예민하고 신경성소화불량이 있다.   

應  用

1. 적취(積聚)

2. 치핵(痔核) 


51. 소청룡탕 小靑龍湯 

 

 解表劑 (表寒)

  마황(麻黃) 4.0   /   작약(芍藥) 4.0   /   세신(細辛) 4.0   /   건강(乾薑) 4.0   /   감초(甘草) 4.0   /   계지(桂枝) 4.0    /   반하(半夏) 10.0   /   오미자(五味子)4.0 

[ 出  典 ]

1. 傷寒論

◎ (太陽病中編) [傷寒, 表不解, 心下有水氣, 乾嘔發熱而咳, 或渴, 或利, 或 , 小便不利, 少腹滿, 或喘者, 小靑龍湯主之.]

[상한병으로 표증이 아직 풀리지 않았는데, 심하에 수독이 있고, 구역질을 하면서 열이 나고, 기침을 하거나, 혹은 갈증이 나거나, 혹은 설사하거나, 혹은 목이 쉬거나, 혹은 소변이 잘 나오지 않거나, 아랫배가 부르고 숨이 찬 사람은 반드시 소청룡탕을 투여해야 한다.]

◎ (太陽病中編) [傷寒, 表不解, 心下有水氣, 咳而微喘, 發熱不渴, 服湯已, 渴者, 此寒去欲解也, 小靑龍湯主之.]

[상한병에, 표가 풀리지 않았는데, 심하에 수독이 있고, 기침을 하면서 약간 숨이 차고, 열이 나고 갈증은 나지 않는다. 탕을 복용하고 나서 다시 갈증이 나는 것은 오한이 없어지고 풀리려 하는 것이다. 소청룡탕을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2. 금궤요략

◎ (痰飮病編) [咳逆倚息不得臥, 小靑龍湯主之.]

[기침을 심하게 하고 의자에 기대어 숨을 쉬고 눕지 못하는 자는 소청룡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 (痰飮病編) [婦人吐涎沫, 醫反下之, 心下卽 , 當先治其吐涎沫, 小靑龍湯主之.]

[부인이 거품침을 토하고 의사가 오히려 설사를 시켜서 가슴밑이 꽉 막힌다. 마땅히 먼저 그 연말을 토하는 것을 고쳐야 한다. 반드시 소청룡탕을 사용한다.]

[ 處方解說 ]

과 같은 기전으로, 제1형 알러지 염증을 조절하여 알러지 천식(喘息) ,알러지 비염(鼻炎)을 개선한다. 과량의 IgE가 Mast cell에 작용하여 Chemical mediator를 유리하므로써, 선분비(腺分泌)가 항진되어 콧물, 재채기 등의 알러지비염 증상 을 나타내고, 기관지 평활근을 수축시켜,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


* 과량의 IgE의 분비를 억제하고,

* 비만세포막을 강화하며,

* Mast cell에서 화학물질의 유리를 억제하여 알러지를 개선한다.

* 기침에 진해작용을 하고, 기침과 천식에 진경작용을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계지, 감초는 IgE의 과량분비를 억제한다.

2. 마황, 계지, 세신, 감초는 Mast cell의 세포막을 강화하여 Chemical mediator의 유리를 억제한다.

3. 마황, 세신, 건강은 히스타민 물질의 작용과 길항하여 콧물, 재치기, 기침 증상을 억제한다. 그러므로 본방은 제1형 알러지의 3단계에 모두 작용하여 체질을 개선하고, 그 나타나는 증상을 억제한다.

4. 마황, 반하의 Ephedrine, 세신은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진해작용을 하고, 오미자의 Gomisin A와 작약은 기관지 평활근 경련을 억제하여 진해, 진경작용을 하므로 써 천식이나 감기로 인한 기관지의 경련성, 발작성 기침증상을 개선한다.

5. 세신, 건강, 계지는 기관지 점막에 혈류를 증진하여 기관지의 면역능을 강화하고, 찬바람 등의 자극에 의한 기관지평활근 경련을 억제한다.


[ 投  藥 ]

1. 눈, 상하부 기관지의 감염 또는 알러지점막에 부종이 있어서 콧물, 재채기 눈물, 기침, 천식 등이 나타난다.

2. 기관지와 늑막의 부종으로 숨이 차서 누워서 숨쉴 수가 없어서 의자에 기대어 숨을 쉬어야 할 정도가 되기도 한다.

3. 위내강(胃內腔)점막의 부종으로 구역질이나 구토를 하기도 한다.

4. 감기가 걸려 기침하면서 얼굴이 붓기도 하고 장점막(腸粘膜)의 부종과 수분 흡수 불량으로 설사를 하기도 한다.


[ 應  用 ]

1. 알러지비염, 알러지천식에 최우선적으로 사용되는 처방이다.

2. 콧물[맑은 콧물], 기침[맑은 가래]을 수반하는 감기.

3. 급만성신염, 임신신염, 네프로제 등으로 부종이 있고 혹은 발열하고 혹은 두통 혹은 기침하는 증상.

4. 결막염, 누낭염 등의 눈병에 충혈과 눈물이 심한자.

5. 습진, 수포 등의 피부병으로 부종 증상이나 분비물이 나올 듯한데 안나오고 긁으면 수분이 나올 때.

6. 기침을 하면서 목이 갑갑하고 가르릉할 때.

7. 습성늑막염에 흉통이 쇄골상부로 뻗쳐올 때.

8. 잘 때 코를 심하게 골고[코점막부종] 침을 흘릴 때.

52. 소풍산 消風散 

 

 祛風劑 (辛散祛風)

  당귀(當歸) 6.0   /   지황(地黃) 6.0   /   석고(石膏) 6.0   /   방풍(防風) 4.0   /   창출(蒼朮) 4.0   /   목통(木通) 4.0   /   지모(知母) 3.0   /   호마(胡麻) 3.0   /   선퇴(蟬退) 2.0   /   고삼(苦參) 2.0   /   형개(荊芥) 2.0   /  우방자(牛旁子) 4.0 

出典

外科正宗

◎ [治風濕浸淫血脈, 生瘡疥, 搔痒不絶, 及大人小兒風熱 疹, 遍身雲片斑点, 乍有乍無幷效]

[풍습으로 피부병이 생겨 그것이 혈맥을 침범하여 창진이 되어 가려움이 그치지 않는다. 어른이나 어린이나 모두 풍열로 피부병이 심해서 몸의 한쪽에 반점이 구름처럼 발생하고 잠깐 나타났다가 잠깐 없어졌다가 하는 피부병에도 신효하다.]

處方解說

피부에 세균성습진이나 피부알러지, 무좀 등의 피부질환이 생겨서 국소가 붓고, 가렵고, 진물이 날 때

* 소염, 항균작용을 하고

* 항알러지 작용을 하며

* 피부, 점막의 부종을 완화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방풍, 형개, 우방자, 지모는 항균작용을 하여 세균성 습진을 개선한다.

2. 당귀, 고삼은 혈관을 확장하고 지황, 호마는 항혈전작용을 하며, 방풍과 형개는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피하에 정체된 노폐물을 피부로 배출한다.

3. 당귀, 호마는 피부에 자윤(Linoleic acid)을 공급하여 피부의 저항력을 강화한다.

4. 목통, 석고, 창출은 피부의 부종을 수렴하고 이뇨를 촉진하여 습성(濕性)피부질환을 개선한다.

5. 선퇴, 고삼은 항알러지작용을 하여 알러지성 습진을 개선한다.


投  藥

1. 여름이나 더운 곳에 가면 더욱 심해지는 피부병.

2. 피부는 일반적으로 건조하고 소양감이 심하면서 분비물이 생기기도 한다.

應  用

1. 담마진.

2. 무좀, 습진

53. 소풍활혈탕 疏風活血湯 

 

 活血祛瘀劑

  당귀(當歸) 3.0   /   천궁(川芎) 3.0   /   위령선(威靈仙) 3.0   /   백지(白芷) 3.0   /   방기(防己) 3.0   /   황백(黃柏) 3.0   /   남성(南星) 3.0   /   창출(蒼朮) 3.0   /   강활(羌活) 3.0   /   계지(桂枝) 3.0   /   홍화(紅花) 0.9 

出典

 沈氏尊生書

處方解說

만성관절류머티나, 말초혈관폐색증이 있어서 혈관운동능이 저하되어 있고, 혈전이 있으며, 세균감염이나 염증이 있고, 통증이 있을 때 :

*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 항균, 항염작용을 하며

* 국소의 통증과 부종을 완화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당귀, 계지, 방기는 혈관을 확장하고, 천궁, 강활, 백지, 남성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2. 위령선, 방기는 관절류머티에 항염작용을 한다.

3. 홍화, 황백은 항혈전작용으로 국소의 염증을 완화한다.

4. 황백, 강활, 위령선은 항균작용을 한다.

5. 강활, 백지, 방기, 남성, 위령선은 진통작용을 한다.


投  藥

1. 사지가 저리고 붓고 아프거나, 국소가 염증으로 혈전이 되거나, 혈전으로 인해 염증이 생긴다.

2. 마비감이 있다.

3. 아픈 곳이 일정하지 않고 옮겨 다닌다.

4. 세균성 피부염으로 발적, 종통이 심하다.

應  用

1. 관절염, 관절류머티

2. 좌골신경통, 안면신경마비, 반신불수(통증이 있다.)

3. Buerger's 병.

54. 속명탕 續命湯 

 

 治風劑 (辛散祛風)

  마황(麻黃) 6.0   /   계지(桂枝) 6.0   /   당귀(當歸) 6.0   /   인삼(人蔘) 6.0   /   석고(石膏) 6.0   /   건강(乾薑) 6.0   /   감초(甘草) 6.0   /   행인(杏仁) 5.0   /   천궁(川芎) 6.0 


出典

금궤요략

◎ (中風歷節病門) [古今錄驗續命湯, 治中風 , 身體不能自收, 口不能言, 冒味不知痛處, 或拘急不得轉側]

[고금록험속명탕은 중풍이 걸려서 마비되어, 신체가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고, 말을 할 수 없으며, 어디가 아픈지 알지 못하며, 또는 몸이 땅겨서, 돌아누울 수 없는 상태를 고친다.]

◎ (中風歷節病門) [治但伏不得臥, 咳逆上氣, 面目浮腫]

[몸이 엎드려 있고 바로 누울 수 없으며, 기침을 심하게 하고, 얼굴이 붓는 것을 고친다.]


處方解說

평소에 혈허(血虛)한 체질의 사람이, 뇌출혈(腦出血), 뇌혈전(腦血栓)이 생겨서 뇌세포에 산소공급이 잘 되지 않을 때 ;

* 뇌혈류를 증진하며,

* 골수를 자극하여 조혈작용을 강화하고(뇌부종완화),

* 이뇨작용으로 뇌부종(腦浮腫)을 완화하여 뇌압(腦壓)을 저하한다.

* 심장운동능을 강화하여 심장박출량을 증진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계지는 혈관을 확장하고, 마황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류의 흐름을 빠르게 하고 뇌혈류를 증진한다.

2. 당귀는 조혈작용을 하고, 당귀, 천궁, 건강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3. 마황, 석고, 행인, 계지는 뇌부종에 이뇨작용을 하여 뇌압을 개선한다.

4. 감초는 관상동맥혈류를 원활히 하여 심장운동능을 강화한다.

5. 석고는 이뇨로 인한 갈증증상을 완화한다.

投  藥

1. 뇌출혈로 인한 중풍, 반신불수와 언어장애가 있고 지각이 상실되고 운동마비증상이 있다.

2. 당연히 한출(汗出)은 없고, 빈혈증상이 있으며 소화기계는 허약한 편이다.

3. 기침이 심하면서 숨이 차서 눕지를 못하고 얼굴에 부종이 올 때도 있다.


應  用

1. 뇌출혈, 뇌연화증, 중추성마비로 한쪽의 마비가 와서 한쪽을 잘 움직이지 못하거나 언어가 불분명할 때.

2. 사지가 땡기고 혹은 어깨통증이 심하고 어딘가에 마비가 있을 때.

3. 편두통으로 마치 중풍에 걸린 사람같이 보행하고 말을 잘 못하며 침을 흘리는 자.

4. 전간.


55. 승마갈근탕 升摩葛根湯 

 解表劑 (表熱)

  갈근(葛根) 12.0   /   승마(升麻) 6.0   /   작약(芍藥) 6.0   /   감초(甘草) 6.0   /   생강(生薑) 6.0 


[ 出  典 ]

和劑局方

◎ 卷二, 傷寒門 [治大人小兒時氣瘟疫, 頭痛發熱, 肢體疼, 皮瘡疹已發, 及未發, 疑貳之間, 竝不時候)

[어른이나 어린이가 유행성전염병에 감염되어 두통이 있고 열이 나며, 팔다리가 아프고 피부에 발진이 생겼거나 생기지 않았거나 의심이 되는 경우에 때와 기후를 가리지 않고 복용하여 고친다.]

[ 處方解說 ]

생체내에 이물질(주로 수두, 홍역, 성홍열바이러스 등)이 침입하여, 열이 나면서, 위장관내에까지 열이 정체되어 소화불량 또는 설사의 증상을 나타낼 때


* 이물질의 탐식능을 강화하고,

* 해열, 진통작용을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승마는 해열, 진통작용을 한다.

2. 갈근, 승마는 면역능을 항진한다.

3. 작약, 생강, 갈근은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 投  藥 ]

1. 열성질환으로 오한, 발열, 두통, 신체통

2. 갈증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 應  用 ]

1. 수두, 홍역 등

56. 시함탕 柴陷湯 

 

  和解劑 (表裏不和)

  시호(柴胡) 12.0   /   반하(半夏) 12.0   /   황금(黃芩) 6.0   /   인삼(人蔘) 6.0   /   대추(大棗) 6.0   /   감초(甘草) 6.0   /   생강(生畺) 6.0   /   황련(黃連) 3.0   /   과루실(瓜樓實) 12.0 

[ 出  典 ]

 ◎ 小柴胡湯과 小陷胸湯의 合方이다.

[ 處方解說 ]

면역능이 저하되어 염증이 잘 생기거나, 과잉 항진되어 알러지가 잘 생기는 체질의 사람이 기관지, 폐에 염증이 생겼거나. 간(肝)과 담도에 염증이나 담석이 생겨서, 심하(心下)가 아프거나, 소화불량으로 위부위를 건드리기만 해도 아플 때.

* 면역능을 강화한다.

* 간과 담도기능을 강화한다.

* 호흡기계의 염증에 항균, 소염작용을 한다.

* 소화관의 연동운동능을 강화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과루실, 황련은 호흡기계의 염증과 감염증에 항균작용을 한다.

2. 인삼, 반하, 시호, 황금은 위장운동능을 강화해서 소화를 촉진한다.

3. 시호, 황금, 황련은 담즙분비를 촉진하고 간기능을 개선한다.

4. 시호, 인삼, 감초, 황금은 면역능을 강화하여 알러지증상을 개선한다.


[ 投  藥 ]

1. 흉통.

2. 입이 쓰다.

3. 목이 마르다.

4. 설백태.

5. 어지럽다.

[ 應  用 ]

1. 기침, 기관지염.

2. 늑간신경통.

3. 담석증.

4. 늑막염.


57. 시호계지건강탕 柴胡桂枝乾薑湯 

 

 和解劑 (表裏不和)

  시호(柴胡) 12.0   /   계지(桂肢) 6.0   /   모려(牡蠣) 6.0   /   건강(乾薑) 4.0   /   괄루근(括樓根) 6.0   /   감초(甘草) 4.0   /   황금(黃芩) 6.0 

[ 出  典 ]

1. 傷寒論

◎ (太陽病下編) [傷寒五六日, 已發汗, 而腹下之, 胸脇滿微結, 小便不利, 渴而不嘔, 但頭汗多, 往來寒熱, 心煩者, 此爲微解也. 柴胡桂肢乾薑湯主之.]

[상한병에 걸린지 오륙일이 되어 이미 땀을 내었는데 이를 다시 下하여 늑골밑이 그득하고 소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고, 갈증은 있으나 구토는 없고, 다만 頭汗出이 많으며 왕래한열, 心煩한 사람은 아직 완전히 풀리지 않은 것이다. 시호계지건강탕을 사용한다.]


2. 금궤요략

◎ (栖病編) [柴胡桂薑湯, 治栖寒多微有熱, 或但寒不熱 服劑如神.]

[시호계지건강탕은 학질이 걸려서 추위를 많이 타고 약간의 열이 있거나 혹은 다만 추위만 탈뿐 열은 나지 않는 것을 다스린다. 약을 먹으면 신통하게 낫는다.]


[ 處方解說 ]

1. 교감신경계 흥분성체질 때문에 신경이 예민하며, 위액(胃液)분비 저하로 식욕이 부진할 때,

* 교감신경 흥분을 완화하여 한선(汗腺)의 과잉분비를 조절하고,

* 위산분비를 촉진하여 식욕을 증진하며,

* 세포에 유기산을 공급하여 피부와 점막을 자윤(滋潤)시킨다.

2. 만성적인 항원항체반응으로, 한선(汗腺)의 분비는 촉진되어 두한출(頭汗出)이 심하며, 체액은 고갈되어 갈증(渴症)을 나타내고, 피부와 점막은 건조할 때:


* 면역능을 증강하여 항원항체반응을 정상화하고, 세포에 유기산과 영양을 공급하므로 써 과다한 한출(汗出)을 조절한다.

3. 체질적인 고점도혈증과, 교감신경 흥분성체질때문에 면역능이 저하되어, 만성염증이 생겨서, 각종 염증[주로 상기도의 염증]에 잘 감염되며, 감염되면 빨리 낫지 않고 만성적이 되거나 알러지 체질이 될 때


* 고점도혈증을 저하하고,

*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며,

* 교감신경계의 흥분을 완화하고,

* 항균작용을 하며,

* 면역능을 증강하여 만성염증과 알러지체질을 개선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과루근은 세포의 영양부족에 의한 도한(盜汗)이 있을 때, 또는 과다한 한출(汗出)로 인하여 영양분이 부족되어 피부점막이 건조할 때 영양분을 공급하여 피부와 점막을 자윤시킨다.

2. 시호, 모려는 신경안정작용을 한다.

3. 계지는 혈관을 확장하여 발한(發汗)을 억제하고, 모려, 황금은 교감신경흥분을 완화하여 발한(發汗)을 억제한다.

4. 황금, 과루근, 건강은 위액분비를 촉진하여 식욕을 증진한다.

6. 황금, 과루근은 항균작용을하여 만성염증을 개선한다.

7. 건강은 교감신경 완화 약물들에 의한 혈류의 저하를 예방한다.


[ 投  藥 ]

1. 교감신경계의 흥분으로 혈행이 빠르고 두한출(頭汗出)이 심하고, 번조가 있다. [몸을 가만두지 못하고 행동이 번잡스럽다.]

2. 진액이 소모되어 입술은 건조하고 피부도 까칠하다.

3. 머리쪽이나 겨드랑, 등같은 상부에 한출이 심하므로 소변은 양이 적을 때가 많다.

4. 연변을 자주 본다.

5. 왕래한 열은 두드러지게 나타날 때도 있고 감지하지 못할 때도 있다.

6. 혀는 지도설이라는 군데군데 파여진 상태를 나타낼 때가 많고 빨간색 유두를 나타낼 때[황금, 황련증]도 많다.

7. 체내에 진액부족 현상이 있어서 찬음식이나 냉수, 음료수를 많이 마신다.

8. 면역능저하로 감기나 각종 염증에 잘 걸리며 한번 걸리면 잘 낫지 않고 만성적으로 이행하여 알러지가 되기도 한다.

9. 식욕부진이 있다.

[ 應  用 ]

1. 머리의 피부병. [황련해독탕과 합방할 때가 많다.]

2. 기관지천식, 알러지비염, 아토피피부염, 두드러기 등의 제1형 알러지 질환의 기본 처방으로 가장 많이 쓰인다.

3. 기침감기, 콧물감기, 설사증에 가장 많이 쓰이는 처방이다.

4. 신경증, 노이로제 등에 많이 합방된다.

5. 맑은 물이 아닌 노란 물이 나오는 중이염(中耳炎)의 기본 처방이다. [염증으로 인하므로]

6. 간염, 황달, 담낭염, 담석증 등.

7. 폐결핵, 기관지염 등의 흉부질환.

8. 급만성 신염, Nephrose 등의 신질환.

9. 아이들 밤에 잠을 못 자고 울거나 보챌 때.[교감신경 흥분성체질]

10. 아이들 야뇨증에 육미지황탕과 합방하여 쓰일 때가 많다.

11. 빈뇨 [신경성].

12. 축농증 등 코에 나타나는 질환에 거의 본 방을 써야 될 체질자가 많다.


 

58. 시호억간탕 柴胡抑肝湯 

 

 和解劑 (肝脾不和)

  시호(柴胡) 7.5   /   청피(靑皮) 6.0   /   적작약(赤芍藥) 4.5   /   목단피(牧丹皮) 4.5   /   지골피(地骨皮) 3.0   /   향부자(香附子) 3.0   /   치자(梔子) 3.0   /   창출(蒼朮) 3.0   /   신곡(神穀) 2.4   /   천궁(川芎) 2.1   /   생지황(생지황) 1.5   /   연교(연교) 1.5   /   감초(甘草) 0.9 

[ 出  典 ]

 沈氏 尊生書

◎ 治婦女陰病及寡婦寒熱似栖

부녀의 음병을 치료하고, 과부가 학질처럼 한과 열이 교차하는 병을 앓는 것을 치료한다.

[ 處方解說 ]

1. 여자가 갱년기가 되어 나타나는 여러가지 증상 중에서

* 혈압이 높아지고, 상역감이 있으며, 고콜레스테롤 혈증, 고지혈증등이 될 때,

* 혈압을 하강하고, 혈중 지질과 콜레스테롤을 경감시킨다.

* 불안신경증 등 공황장애의 증상을 나타낼 때,

* 자율신경을 조절하고 뇌혈류를 원활하게 공급하여 신경증상을 완화하며 신경성 고혈압을 개선한다.

* 위무력증이나 위동맥경화증으로 소화불량이 있을 때,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위장운동능을 강화한다.



* 면역능이 저하되어, 각종 염증에 쉽게 감염될 때, 면역능을 강화하고, 항염증작용을 한다.

2. 고지혈증과 혈소판응집 항진증으로 인한 두통, 상역감을 완화하고 자율신경계의 실조로 화가 잘나는 증상을 개선한다.

3. 고지혈증으로 인한 각종 염증, 뾰루지등이 잘 나는 체질을 개선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시호, 치자, 향부자는 자율신경계를 조절하여 상역감, 불안신경증, 불면증 등을 개선한다.

2. 청피는 담즙분비를 촉진하고 소화액의 분비를 항진하며, 창출은 제산작용, 신곡은 소화효소제로 작용하여 소화기능을 강화한다.

3. 적작약, 생지황, 목단피는 혈소판응고를 저하하고, 천궁은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시호, 청피는 고지혈증을 개선한다.

4. 목단피, 적작약은 항균작용을 하고, 지골피, 연교는 항염증작용을 한다.

5. 지골피는 항고혈압작용, 치자, 향부자는 자율신경계를 조절하여,신경성 고혈압을 개선한다.


[ 投  藥 ]

1. 울민이 풀리지 않고 심화가 자주 치밀어 오른다.

2. 얼굴이 상기되며, 두통이 있다.

3. 얼굴이 붉어지고 마음이 답답하다.

[ 應  用 ]

1. 신경성 고혈압

2. 갱년기장애성 공황장애, 상역감, 불안신경증, 불면증.

3. 고지혈증성 두통 또는 상역감

4. 갱년기 이후의 호발되는 각종 염증.

5. 갱년기 이후의 소화불량.  


59. 시호청간탕 柴胡淸肝湯 

 

 淸熱劑 (淸熱解毒)

  당귀(當歸) 4.0   /   작약(芍藥) 4.0   /   박하엽(薄荷葉) 4.0   /   지황(地黃) 4.0   /   연교(連翹) 4.0   /   천궁(川芎) 4.0    /   우방자(牛蒡子) 4.0   /   길경(桔梗) 4.0   /   괄루근(括樓根) 4.0   /   감초(甘草) 4.0   /   황금(黃芩) 2.0   /   황련(黃蓮) 2.0   /   산치자(山梔子) 2.0   /   황백(黃柏) 2.0   /   시호(柴胡) 3.0 

[ 出  典 ]

 一貫堂方

[ 處方解說 ]

1. 조혈기능은 약하여 적혈구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빈혈증이 있으면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혈액의 점도는 높고, 혈소판의 응고가 쉽게 일어나며, 알러지증상이 잘 나타나는 체질자에게

* 조혈작용을 촉진하고

* 혈액의 점도를 저하하고

* 혈소판응고를 억제하며,

* 항균작용이 강하고,

*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2. 면역능이 약하여 임파선이나 편도, 인후에 염증과 부종을 자주 일으키는 신병체질자의 여러 질환에 면역능 증강제로 사용된다.

3. 주로 알콜성지방간에 간세포에 분포된 혈관의 울혈현상을 개선하고 혈액의 점도를 조절하며, 지방간을 개선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당귀, 지황은 조혈작용을 한다.

2. 당귀, 작약, 천궁, 우방자는 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3. 황백, 시호는 혈소판응고를 억제하여 혈류를 촉진한다.

4. 황련, 산치자, 황백, 시호는 혈소판응고를 억제하여 혈류를 촉진한다.

5. 황백, 길경, 연교, 박하엽, 우방자, 과루근은 항균, 소염작용을 한다.

6. 시호, 감초, 황금을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 投  藥 ]

1. 상하기도의 여러 가지 질병을 자주 일으키면서 편식이 심하고 신경질을 잘 내는 성질을 가지 고 있다.



[ 應  用 ]

1. 지방간에 대한 1차 선택약이다.

2. 비후성비염, 경부임파선염, 편도염, 아데노이드를 잘 일으키고, 신경질을 잘 내는 어린이의 선병체질자의 체질개선약이다.

3. 위의 목표증을 가진 편식하는 어린이의 체질개선약이다.


 

60. 십전대보탕 十全大補湯 

 

 補益劑 (氣血雙補劑) 

  인삼(人蔘) 5.0  /  백출(白朮) 5.0  /  복령(茯笭) 5.0  /  당귀(當歸) 5.0  /  천궁(川芎) 5.0  /  숙지황(熟地黃) 5.0  /  생강(生薑) 4.0  /  대추(大棗) 4.0  /  작약(芍藥) 5.0  /  황기(黃耆) 4.0  /  육계(肉桂) 4.0  /  감초(甘草) 3.0   

[ 出  典 ]

和劑局方

◎ 治諸虛編 [治男子婦人, 諸虛不足, 五勞七傷, 不進飮食, 久病虛損, 時發潮熱氣攻, 骨脊拘急冬痛夜 夢遺精, 面色委黃, 却膝無力, 一切病後, 氣不如舊, 憂愁思慮, 傷動氣血, 喘嗽中滿, 脾腎氣弱, 五心煩悶, 此藥性溫不熱, 平補有效, 養氣育神, 醒脾止渴, 順正酸邪, 溫煖脾胃」

[과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남자 여자 모두 허약하고 피로가 심하고 식욕이 부진하며, 오랜 병으로 기운이 없고 때때로 潮熱이 나며, 뼈와 척추가 땡기고 아프며, 몽정, 유정이 있고 얼굴은 누렇게 뜨고 다리는 힘이 없다. 모든 병을 앓은 후 기운이 예전 같지 않고 근심걱정이 있으며, 기혈이 치솟고 기침이 나오며, 숨이 차고 脾와 腎氣가 약하며 가슴이 몹시 답답하다.

*약성이 따뜻하고 열성이 없으며, 보약으로 좋고 기운이 나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한다.

 갈증을 없애고 면역능을 증강하여 이물질을 몰아내며 脾와 胃를 따뜻하게 한다.


[ 處方解說 ]

사군자탕과 사물탕의 합방인 팔물탕에 황기와 육계를 가한 처방으로서 빈혈, 허혈증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위무력(胃無力)으로 인한 식욕부진과 면역능의 저하로 인한 만성염증에 시달리고, 세포의 영양결핍으로 도한(盜汗)이 있으면서 허약할 때 ;

* 중추신경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대사능을 증진하므로써 비특이적 면역능을 강화한다.

(强壯作用)

* 골수를 자극하여 적혈구생성능을 강화하고 혈허(血虛)를 개선한다.

*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도한을 완화하고 허약체질을 개선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육계, 당귀, 천궁, 숙지황, 작약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조혈작용을 하여 빈혈을 개선한다.

2. 인삼, 백출, 작약, 생강은 위장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를 증진한다.

3. 인삼, 복령, 황기는 영양을 공급하여 신체대사를 활성화하고 도한(盜汗)을 완화한다.

4. 황기, 육계는 수렴작용이 강하여 궤양을 수복한다.

5. 복령, 백출은 혈허로 인한 부종에 이뇨작용을 한다.


[ 投  藥 ]

1. 식욕부진

2. 빈혈, 숨이 잘 찬다.

3. 도한

4. 정력부족

5. 체력저하

[ 應  用 ]

1. 허약체질자의 척추카리에스의 기본처방이다.

2. 산후의 빈혈과 쇠약 또는 모든 허약체질자의 보약이다.

3. 옹저가 심하여 농(膿)이 그치지 않고 나오거나 새살이 잘 돋지 않는 모든 궤양증, 피부궤양증을 가진 허약체질자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4. 백혈병, 만성빈혈

5. 탈항(脫肛), 자궁암, 유암 등의 각종 암질환에 체력보강을 위하여 많이 처방된다.



61. 쌍화탕 雙和湯 

  

 補益劑 (氣血雙補劑)

  백작약(白芍藥) 7.5  /  숙지황(熟地黃) 3.0  /  황기(黃耆) 3.0  /  당귀(當歸) 3.0  /  천궁(川芎) 3.0  /  계지(桂枝) 8.0  /  감초(甘草) 2.25 

[ 出  典 ]

和劑局方

◎ 治男子婦人五勞六極七傷. 心身俱虛精血氣少. 遂成虛勞. 百骸枯 . 四肢倦怠. 寒熱往來. 咳嗽咽乾. 行動喘之. 面色萎黃. 略有所觸. 易成他疾. 或傷於冷. 則宿食不消. 脾疼腹痛. 瀉痢吐逆. 或傷於熱. 則頭旋目眩. 痰涎氣促. 惡心煩熱. 或因饑飽動作. 喜怒驚恐. 病隨而至. 或虛脹而 不思食. 或多食而不生肌肉. 心煩虛汗盜汗. 一切虛勞. 不敢服燥藥者.  宜服之. 商服調中養氣. 益血育神. 和胃進食. 補虛損.

남녀의 오로육극칠상(오로-심,간,비,폐,신의 과로, 육극-허로병의 중증을 육극이라하며, 근,골,혈,육,정,기가 극히 허한 것을 말한다. 칠상-陰寒, 精寒, 裏急, 精淚, 精少, 精淸, 小便頻數)하여 심신이 모두 허해, 精,血,氣가 부족해져서 이윽고 허손노상으로 발전하여 모든 몸이 병들어 마르고, 사지가 권태로우며, 한열이 왕래하고, 기침이 나고, 인후가 건조하며 움직이면 천식이 심하고, 안색은 누렇게 시들어 사기에 약간만 접촉하여도 다른 큰 질환으로 발전하기가 쉬운 사람, 또는 찬기운을 받아 음식이 소화가 되지 않고 복통을 일으켜 토역하거나 설사하는 사람, 또는 뜨거운 볕에 몸이 상하여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캄캄해지며 담연이 가로막아 호흡이 급촉하고, 손발이 뜨겁고, 심흉에 열이 나며, 불안함이 나타나든가, 또는 굶어서 희로공경이 심한 병으로 발전하고, 또는 배가 허창하여 식욕이 없든가 혹은 많이 먹기는 하되 몸은 야위고, 초조불안한 심정에 시달리며, 도한허한에 시달리는등 모든 허로손상증에 燥性의 약은 맞지 않는 자에게 본방을 투여해서 치료한다. 상복하면 기를 영양하여 중기를 조절하고, 혈액생성을 촉진하고 정신을 맑게 하여 위를 부드럽게 하고, 식욕을 돋구며 허손을 보익하여 건강하게 한다.

 

[ 處方解說 ]

빈혈이 있으면서 원기가 부족한 사람에게 조혈작용과 인체에 영양을 공급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당귀, 작약, 천궁, 지황은 조혈작용을 한다.

2. 황기는 인체에 결핍된 아미노산과 미네랄등 영양을 공급한다.

3. 육계는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체열을 공급한다.


[ 投  藥 ]

1. 허로(虛勞)하여 힘이 없고 팔다리가 권태롭다.

2. 움직이면 숨이 가쁘고 얼굴이 누렇고 헛배가 부르고 식욕이 없다.

3. 허한이나 도한이 있다.


[ 應  用 ]

1. 면역능이 저하되고 빈혈이 있는 사람이 감기에 자주 걸릴 때.

2. 빈혈이 있으면서 도한이 있을 때

62. 안중산 安中散 

  

 溫裏劑 (溫經散寒)

  계지(桂枝) 5.0   /   현호색(玄胡索) 5.0   /   모려(牡蠣) 8.0   /   감초(甘草) 10.0   /   양강(良薑)5.0   /   소회향(小茴香) 8.0   /    건강(乾薑) 5.0 

[ 出  典 ]

和劑局方

◎ 一切氣門 [治遠年近日, 脾疼飜胃, 嘔吐酸水, 寒邪之氣, 留體於內, 停積不消, 胸膈脹滿, 攻刺腹脇, 惡心嘔吐, 面黃肌瘦, 四肢倦怠, 又治婦人血氣刺痛, 小腹連尿, 攻 重痛, 竝治之.]

[과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급만성으로 비위가 아프고 괴롭다. 신물을 토하고 이물질에 감염되어 몸이 괴롭고 위장에 음식물이 정체되어 헛배가 부르고 배가 아프다. 속이 메시껍고 구토가 있다. 얼굴이 누렇게 뜨고 몸이 야위고 사지가 나른하다.

*부인이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서 몸이 쑤시고 아프며 소변을 자주 보는 것을 낫게 한다. 또 질병으로 인한 심한 통증도 낫게 한다.


[ 處方解說 ]

1. 주로 위산과다, 자율신경실조에 의한 소화과의 동통, 경련을 억제, 완화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현호색, 소회향, 양강은 소화관의 경련에 진통작용을 한다.

2. 계지, 건강, 양강은 소화관 내벽에 분포된 모세혈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위장운동능을 강화하고 신체말단의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3. 모려는 제산작용을 한다.


[ 投  藥 ]

1. 속이 쓰리다.

2. 대체로 야윈형으로 배는 연약하고 위내정수(胃內停水)가 있다.

3. 단 음식을 좋아한다.

4. 신물이 난다.


[ 應  用 ]

1. 약간 허증을 띄고 만성으로 경과한 위산과다, 위궤양 등으로 인한 위장부위의 경련성 동통

2. 주로 신경성위통,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산과다, 위하수, 만성위염 등으로 속이 쓰리다.

3. 신물이 나고 속이 쓰린데는 무조건 써도 좋다.


 

63. 양격산 凉隔散 

  박하엽(薄荷葉) 5.0   /   감초(甘草) 4.0   /   길경(桔梗) 4.0   /   연교(連翹) 5.0   /   산치자(山梔子) 5.0   /   대황(大黃) 8.0   /   망초(芒硝) 5.0   /   황금(黃芩) 5.0 

[ 出  典 ]

和劑局方

積熱火症 [治大人小兒腑臟積熱, 煩燥多渴, 面熱頭昏, 脣焦咽燥, 舌腫喉閉, 目赤鼻 ,  頰結硬, 口舌生瘡, 痰實不利, 涕唾燥粘, 睡臥不 ,  語狂妄, 腸胃燥澁, 便溺 結, 一切風壅, 竝宣服之]

[과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소화기계에 열이 가득하여 갈증이 심하고 번조하다. 얼굴은 붉고 정신은 혼미하며 입과 목이  마르고 막힌다. 눈은 붉고 코피가 나며 얼굴에는 단단한 덩어리가 생긴다. 혀에 궤양이 생기고 소화기에 음식물이 정체되어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다.  침과 눈물이 점조하고 깊은 잠이 들지 못하며 뒤챈다. 헛소리를 하고 마음을 안정하지 못한다. 위와 장의 점막이 점조하여 대변이 단단하다. 이물질의 감염으로 인하여 내부에 열이 정체된 모든 질환에 사용해 볼만하다.


[ 處方解說 ]

1. 변비나 또는 어떤 열성질환으로 인하여 변비가 생겨서 그 때문에 혈액의 점도가 높아지고 모세혈관이 울혈되어 과 같은 증상을 나타낼 때


* 뇌세포에 산소공급이 부족하여 정신이 불안하고 잠이 잘 들지 못한다.

* 변비가 심하고 변비로 인한 고점도 혈증으로,

* 눈은 충혈되고,

* 얼굴은 붉고,

* 종기가 생기며,

* 입안이 잘 헐고,

* 목이 붓는 등 신체 상부의 염증이 심할 때 ;

* 사하(瀉下)작용으로 변비를 완화하여 혈액의 점도를 저하시키고 소염, 소종(消腫)작용을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박하엽, 길경, 연교, 산치자, 대황, 망초는 소염, 소종(消腫)작용을 한다.

2. 대황, 망초는 사하작용을 하여 혈액의 점도를 낮출 뿐만 아니라, 발열성물질의 배설도 촉진한다.

3. 황금, 대황, 산치자는 혈액의 점도를 낮추고 혈소판 응고를 억제한다.

4. 황금, 산치자, 박하엽은 정신을 안정시킨다.


[ 投  藥 ]

1. 구내염이 심하다.

2. 번조증상이 있고 인후가 붓고 잘 아프며, 눈이 잘 충혈되고 가끔 불면증이 있으며 소변이 붉고 탁하다.

3. 변비가 심하다.


[ 應  用 ]

1. 실열(實熱)의 구내염

2. 피부병

3. 구창(口瘡), 코피

4. 헤르페스 등


64. 연령고보단 延齡固本丹 

 補益劑 (補陽劑)

  천문동(天門冬)   /   맥문동(麥門冬)   /    생지황(生地黃)   /   숙지황(熟地黃)   /   산약(山藥)   /   우슬(牛膝)   /   두충(杜仲;去皮, 薑酒洗)   /   파극(巴戟)   /   오미자(五味子)   /   구기자(拘杞子)   /   산수유(山茱萸)   /   백복령(白茯笭)   /   인삼(人蔘)   /   목향(木香)   /   백자인(栢子仁) 각 60.0   /   촉초(蜀椒)   /   석창포(石菖蒲)   /    택사(澤瀉) 각 30.0   /   원지(遠志;去心 甘草水泡)   /    육종용(六 蓉) 각 120.0   /   복분자(覆盆子)   /   차전자(車前子)   /   토사자( 絲子)   /   지골피(地骨皮) 각 45.0 

[ 出  典 ]

 萬病回春

[ 處方解說 ]

인체의 노화가 빨리 진행되어 기운이 없고 피부가 건조하며 다리와 무릎이 아프고 고혈압이 있으며 간기능이 약해지고 혈당이 높아지며 소화가 잘 안되고 정신이 흐릿하고 맑지 못할 때

* 인체의 홀몬대사를 촉진하고

* 난소의 기능을 강화하며 노화를 지연시키고

* 관절을 강화하며

* 간대사촉진, 지방간개선, 간의 해당기능을 강화하여 간기능을 강화하고,

* 혈압을 하강하며

* 혈당을 개선하고

* 소화 흡수를 촉진하며

* 정신을 맑게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오미자는 난소의 배란을 촉진하고, 복분자는 난소의 황체기능을 강화하며 육종용은 내분비기능을 강화하여 인체의 대사를 촉진한다.

2. 인삼, 백복령, 구기자, 파극천은 인체의 노화를 지연한다,

3. 천문동, 맥문동은 세포막에 자윤을 공급하여 세포막과 점막을 강화하고 산약은 세포에 필요한 양질의 아미노산을 공급하며 산수유는 세포에 유기산을 공급하여 세포의 노화를 지연한다.

4. 차전자, 맥문동, 생지황, 숙지황 두충, 육종용, 지골피, 파극천, 택사, 지골피는 혈당을 강하한다.

5. 차전자, 구기자, 우슬, 지골피, 두충은 혈압을 강하한다.

6. 토사자, 구기자, 육종용, 파극천은 면역능을 증강한다.

7. 구기자, 택사는 지방간억제작용이 있으며 오미자는 간세포부활작용, 생지황은 간혈류촉진작용, 육종용은 간의 해당기능강화하여 간대사를 강화한다. 

8. 촉초, 목향, 인삼은 소화관연동운동을 촉진하여 소화 흡수를 촉진한다.

9. 오미자, 원지, 천문동, 맥문동은 기관지점막을 자윤하여 노화로 인해 기관지점막이 건조하여 나타나는 기침을 완화한다.

10. 차전자, 우슬, 두충은 근육의 장력을 강화하여 관절을 강화한다.

11. 원지, 석창포, 백자인, 토사자, 백복령은 뇌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신경을 안정시킨다.


[ 投  藥 ]

1. 허리와 다리에 힘이 없고 갑자기 노쇠해 진다.

2. 감기에 잘 걸리고 기침이 그치지 않는다.

3. 정력이 없고, 임신이 안된다.

4. 기억력이 없고 정신이 맑지 못하다.

5. 식욕이 없고 빈혈이 있다.

6. 잠이 오지 않는다.

[ 應  用 ]

1. 요통, 무릎관절통

2. 기관지확장증성 기침

3. 치매, 건망증, 불면, 신경쇠약

4. 불임

5. 노화, 모든 만성 퇴행성 질환

6. 노인성고혈압

7. 당뇨

8. 지방간, 간기능저하

 


65. 영감강미신하인탕, 영감오미가강신반하행인탕笭甘薑味辛夏仁湯 

거담제 (溫化寒痰)

  복령(茯笭) 8.0   /   감초(甘草) 6.0   /   오미자(五味子) 6.0   /   건강(乾薑) 6.0   /   세신(細辛) 6.0   /    행인(杏仁)6.0   /   반하(半夏) 10.0 

[ 出  典 ]

금궤요략

◎ (痰飮咳嗽編) [水去嘔止, 其人形腫者, 加杏人主之, 其證應納麻黃, 以其人遂痺, 故不納之, 若逆而納之, 必厥, 所二以然者, 以其人血虛, 而麻黃發其陽故也.]

[수독이 없어지고 구토가 그쳐도 몸에 부종이 나타나면 행인을 사용한다. 그 증이 마황을 사용했을 때의 반응인데, 마침내 마비가 오게된다. 그러므로 마황을 사용하면 안된다. 만약 반대로 이것을 넣으면 반드시 궐음병이 된다. 그런 사람은 혈허하므로 마황이 그 陽을 발하기 때문이다.]

[ 處方解說 ]

1. 만성염증이나 또는 알러지로 기관지점막, 폐포, 늑막 또는 모든 기관의 세포간질에 수독이 정체되어 부종을 나타내거나, 부종이 있으면서 기침, 가래가 있을 때


* 면역능을 증강시키고,

* 정체된 수독을 신장으로 배설시키고,

* 진해(鎭咳), 거담작용을 한다.

2. 체강내(體腔內)에 저류된 수분을 신장으로 배설한다.

3. 점막의 부종을 마황제를 사용하여 강발한(强發汗)시키면 허증에 빠지는 체질자에게 투여하여, 부종을 신장으로 배설시키는 방제이다.

4. 이 처방은 담음(痰飮)과 지음(支飮)에 사용되므로 머리가 무겁고 아픈 경우가 많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복령, 행인, 건강은 이뇨를 증진하여 점막과 간질의 수독을 제거한다

2. 오미자, 세신, 행인, 반하는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3. 건강, 세신은 부종부위에 혈류를 촉진하고 약한 발한작용을 한다.

4. 세신은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 投  藥 ]

1. 부종.

2. 기침.

3. 호흡곤란.

4. 소변불리.


[ 應  用 ]

1. 폐렴, 감기, 기관지염 등으로 기침이 극심하고 묽은 가래가 나오면서 부종이 있거나 혹은 소변 불리가 있을 때.

2. 신염, 네프로제, 심장성천식, 영양실조 등으로 부종 또는 수족(手足)이 냉(冷)하고 기침을 하거나 또는 소변불리(小便不利)의 증상이 있을 때.

3. 기침을 심하게 하여 얼굴이 붓고 발이 차고 소변 불리의 증상이 있을 때.

4. 소청룡탕을 쓰고 싶은데 허증이라서 쓰지 못할 경우이거나 또는 소청룡탕을 오래 사용하여 피부가 고조되어 거칠어지거나 기운이 빠진다고 할 때.


66. 영계출감탕(복령계지백출감초탕,茯 桂枝白朮甘草湯) 

  복령(茯 ) 8.0 계지(桂枝) 6.0 백출(白朮) 4.0 감초(甘草) 4.0 

[ 出  典 ]

太陽病中編

{傷寒, 若吐, 若下後, 心下逆滿, 氣上衝胸, 氣則頭眩, 脈沈緊, 發汗則動經, 身爲振 振搖者, 茯 桂枝白朮甘草湯主之.}


{상한병으로, 토하거나, 설사를 한 다음에 심하(心下)가 역만해지고, 기(氣)가 가슴에 상충하여, 일어나면 곧 어지럽고 맥이 침긴(沈緊)하고, 땀을 내면 경맥을 움직여 몸이 흔들리는 사람은 복령계지백출감초탕을 반드시 투여한다.}


[ 處方解說 ]

고혈압, 또는 저혈압이 있으면서 심장의 기능이 약하여 뇌혈류가 저하된 결과 뇌부종이 생겨서

- 어지럽고

- 신체의 동요감이 있을 때

심장 기능을 강화하고

뇌혈관을 확장하며

뇌부종을 완화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복령은 뇌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정신을 안정시키고,

계지, 감초는 심장기능을 강화하며,

계지, 백출은 혈관을 확장하여 뇌혈류를 증진하고,

복령, 계지, 백출은 이뇨를 촉진하여 뇌부종을 개선함으로써

어지러운 증상과 신체의 동요감을 완화한다.


[ 投  藥 ]

발현증상

어지러움.(특히 앉았다 일어서면 어지럽다.)

심계항진.


응 용

고혈압, 메니엘증후군(Menier's), 운동실조증, 어지러움, 빈혈.

바세도우병(Basedow's), 노이로제에 심계 항진과 어지러움과 소변불리증이 있을 때.

심장판막증, 심장성 천식, 신경성 심계 항진 등으로 어지러움과 소변불리가 있을 때.

이 처방은 모든 어지러움증의 대표적인 처방이며 사물탕(四物湯)과 합방하여 빈혈, 어지러움, 심계항진을 치료하는 성약(聖藥)이다.

사물탕은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고 철분을 공급하며, 본 방은 과다하게 함유된 혈액 내의 수분을 소변으로 제거해 준다.

만성 신염, 네프로제에 어지러움을 목표로 사용.


67. 오약순기산 烏藥順氣酸 

  

 治風劑 (辛散祛風)

  오약(烏藥) 10.0   /   진피(陳皮) 10.0   /   길경(桔梗) 6.0   /   건강(乾薑) 3.0   /   천궁(川芎) 6.0   /   백지(白止) 6.0   /   지각(枳殼) 6.0   /   대추(大棗) 6.0   /   백강잠 3.0   /   마황(麻黃) 6.0   /   생강(生薑) 6.0   /   감초(甘草) 2.0 

[ 出  典 ]

和劑局方

◎ (諸風門) [治男子婦人一切風氣, 攻注四肢, 骨節疼痛, 遍身頑麻, 頭目眩運, 及療  , 語言寒澁, 筋脈拘攣, 又治脚氣, 步履艱難, 脚膝軟弱, 婦人血風, 老人冷氣, 上攻胸臆, 兩脇刺痛, 心腹膨脹, 吐瀉腸鳴.]

[남녀가 중풍에 걸려서 사지가 아프고 뼈마디가 아프며 전신이 마비되고, 어지러움이 심한 증상을 낫게 한다. 또 사지가 뒤틀리고 전신불수가 있으며 말을 잘 할 수 없고 근육이 땡기는 것을 낫게 한다. 또 각기가 걸려서 걷지 못하고 다리가 힘이 없거나, 부인의 어혈로 인한 마비나 노인의 냉증으로 가슴과 양옆구리가 쑤시고 아프며 헛배가 부르고 吐瀉를 하며 배에서 소리가 나는 것을 다스린다.]

[ 處方解說 ]

1. 혈관운동부족으로 전신에 혈액순환이 되지 않고, 몸이 여위거나 냉(冷)하거나 마비감이 있을 때


*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의 순환을 촉진하여 마비감을 개선하고, 전신에 온난감(溫暖感)을 증진한다.

2. 소화기의 내벽에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서 소화장애가 있고 가스가 생기고 소화가 안 될 때

* 소화관내벽에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소화관의 운동능을 강화하며 진통, 진경작용을 한다.

3. 장벽(腸壁)에 분포된 모세혈관의 혈류저하로, 장내(腸內)의 면역능이 저하되어 장염(腸炎)이 있고, 장(腸)이 경련을 일으킬 때

* 항균작용을 하고, 장염을 개선하며 복통을 완화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백지는 진통작용이 있다.

2. 마황, 건강, 생강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뇌혈류와 전신 혈류를 증진하고 전신의 혈액순환을 강화한다.

3. 백간잠, 천궁은 진경작용을 한다.

4. 진피, 지각, 오약은 위(胃)와 장(腸)운동능을 강화하여 내용물의 배설을 증진한다.

5. 생강은 위액분비를 촉진하고, 건강은 소화관내벽의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6. 오약은 복통을 완화한다.

7. 길경, 진피는 항균작용을 하여 잔염증상을 개선한다.

[ 投  藥 ]

1. 신체통과 마비감이 있다.

2. 소화가 안되고, 장염이 있다.


[ 應  用 ]

1. 관절류마티, 근육통. 반신불수.

2. 소화불량, 장염, 복통


68. 오적산 五積散 

  

 表裏雙解劑

  당귀(當歸) 4.0   /   천궁(川芎) 4.0   /   작약(芍藥) 4.0   /   창출(蒼朮) 4.0   /   복령(茯笭) 4.0   /   반하(半夏) 4.0   /   백지(白芷) 4.0   /   지각(枳殼) 4.0   /   계지(桂枝) 3.0   /   마황(麻黃) 2.0   /   감초(甘草) 2.0   /   후박(厚朴) 4.0   /   진피(陳皮) 4.0   /   길경(桔硬) 4.0   /   건강(乾薑) 3.0   /   생강(生薑) 3쪽   /   대추(大棗) 2쪽 


[ 出  典 ]

和劑局方

◎ (傷寒門) [調中順氣, 除風冷, 化痰飮, 治脾胃宿冷, 腹脇脹痛, 胸膈停痰, 嘔逆惡心, 又外感風寒, 內傷生冷, 心腹 悶, 頭目昏痛肩背拘急, 肢體怠惰, 寒熱往來, 飮食不進, 及婦人血氣不調, 心腹撮痛, 經候不勻, 或閉不通, 竝宜腹之.]

[소화기계를 조절하여 유통을 순조롭게 하고 감기로 인한 冷증을 완화한다. 소화기계의 수독을 빨리 배출하고, 脾胃虛冷으로 인한 만성 소화불량을 낫게 하며 헛배가 부르고 가슴이 꽉 막히고 구역과 메스꺼움이 있는 것을 고친다. 또 과 같은 것을 고친다. 감기가 걸려서 소화기가 여의치 않고 몸이 냉해지고 가슴과 배가 답답하며 머리가 어지럽고 아프다. 등과 어깨가 땡기고 아프며 팔다리는 나른하다 추웠다 더웠다 하고 식욕 부진하다. 또 부인이 혈액순환이 되지 않고, 배가 땡기고 아프다. 월경이 불순하고 또는 월경이 막혀서 나오지 않는다.]

[ 處方解說 ]

오적산이란 기(氣), 혈(血), 담(痰), 음(飮), 식(食)의 오적(五積)을 치한다는 뜻이다. 그 처방은 평위산을 원방으로 하여 이진탕, 사물탕, 계지탕, 속명탕 등의 뜻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소화불량이 있는 사람의 감기, 신경통, 류머티, 요통에 효과가 있다.

1. 평소에 혈관운동능이 저하되어 혈액순환이 되지 않으면서 관상혈류의 부족으로 심장기능이 약해져서 상열하냉감(上熱下冷感)을 나타내고,

2. 위장운동능이 저하되어 소화불량이 있으며

3. 이물질(異物質)의 침입에 의하여 기관지염 등이나 류머티 같은 면역 질환에 걸려서 기침, 가래, 통증, 관절의 부종이 있을 때

*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 흡수를 증진한다.

* 이뇨작용으로 부종을 완화한다.

* 한출(汗出)을 촉진하여 피하에 정체된 수독을 배설하여 감염증으로 인한 기관지점막의 부종이나 관절의 부종을 완화한다.

* 해열, 진통작용을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당귀, 천궁, 작약, 생강, 건강은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2. 창출, 지각, 반하, 진피, 생강, 후박, 작약은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고 소화액 분비능을 증진하여 내용물의 소화와 배출을 촉진한다.

3. 마황, 계지, 복령, 창출은 이뇨를 증진하여 부종을 완화한다.

4. 마황과 계지는 발한(發汗)으로 해열하고, 피하에 정체된 수독의 배설을 촉진하고, 뇌혈류를 증진한다.

5. 백지, 길경, 당귀는 소염, 진통작용을 한다.

6. 지각, 반하, 진피, 후박, 길경은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7. 작약, 후박, 진피는 항균작용을 하여 기관지염, 장염을 개선한다.


[ 投  藥 ]

1. 상열하냉(上熱下冷)현상이 있다.

2. 기침을 하고 가래가 있다.

3. 두통 또는 신통(身痛)하고 사지는 냉하다.

4. 구토, 설사를 자주 한다.

[ 應  用 ]

1. 감기에 걸려서 두통과 신통(腎痛), 요통(腰痛)이 있으면서 손발은 찰 때.

2. 신경통, 요통, 류머티, 각기, 타박상, 반신불수에 상열하냉(上熱下冷)을 목표로.

3. 주로 찬 음식을 먹고 발병한 급성위염의 증상에 손발이 찰 때.

4. 만성위염, 위산과다, 십이지궤양 등에 위내정수(胃內停水)가 있고 트림, 신물(酸水), 하리 등의 증세가 있으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손발이 찰 때.

5. 요통, 신경통이 있으면서 발이 차고 상역감이 심할 때.

6. 신장결석, 담석증 등에 허리가 아프고 손발이 차면서 상역감이 있을 때.

7. 대하(帶下), 월경통, 월경불순, 난산(難産) 등.

8. 심장 질환으로 조금만 과식을 해도 숨이 차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가슴이 답답한, 심장순환장애를 호소할 때.

9. 감기나 기관지염으로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가래가 있을 때



69. 오적산 五積散 

 表裏雙解劑

  당귀(當歸) 4.0   /   천궁(川芎) 4.0   /   작약(芍藥) 4.0   /   창출(蒼朮) 4.0   /   복령(茯笭) 4.0   /   반하(半夏) 4.0   /   백지(白芷) 4.0   /   지각(枳殼) 4.0   /   계지(桂枝) 3.0   /   마황(麻黃) 2.0   /   감초(甘草) 2.0   /   후박(厚朴) 4.0   /   진피(陳皮) 4.0   /   길경(桔硬) 4.0   /   건강(乾薑) 3.0   /   생강(生薑) 3쪽   /   대추(大棗) 2쪽 

[ 出  典 ]

和劑局方

◎ (傷寒門) [調中順氣, 除風冷, 化痰飮, 治脾胃宿冷, 腹脇脹痛, 胸膈停痰, 嘔逆惡心, 又外感風寒, 內傷生冷, 心腹 悶, 頭目昏痛肩背拘急, 肢體怠惰, 寒熱往來, 飮食不進, 及婦人血氣不調, 心腹撮痛, 經候不勻, 或閉不通, 竝宜腹之.]

[소화기계를 조절하여 유통을 순조롭게 하고 감기로 인한 冷증을 완화한다. 소화기계의 수독을 빨리 배출하고, 脾胃虛冷으로 인한 만성 소화불량을 낫게 하며 헛배가 부르고 가슴이 꽉 막히고 구역과 메스꺼움이 있는 것을 고친다. 또 과 같은 것을 고친다. 감기가 걸려서 소화기가 여의치 않고 몸이 냉해지고 가슴과 배가 답답하며 머리가 어지럽고 아프다. 등과 어깨가 땡기고 아프며 팔다리는 나른하다 추웠다 더웠다 하고 식욕 부진하다. 또 부인이 혈액순환이 되지 않고, 배가 땡기고 아프다. 월경이 불순하고 또는 월경이 막혀서 나오지 않는다.]

[ 處方解說 ]

오적산이란 기(氣), 혈(血), 담(痰), 음(飮), 식(食)의 오적(五積)을 치한다는 뜻이다. 그 처방은 평위산을 원방으로 하여 이진탕, 사물탕, 계지탕, 속명탕 등의 뜻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소화불량이 있는 사람의 감기, 신경통, 류머티, 요통에 효과가 있다.

1. 평소에 혈관운동능이 저하되어 혈액순환이 되지 않으면서 관상혈류의 부족으로 심장기능이 약해져서 상열하냉감(上熱下冷感)을 나타내고,

2. 위장운동능이 저하되어 소화불량이 있으며

3. 이물질(異物質)의 침입에 의하여 기관지염 등이나 류머티 같은 면역 질환에 걸려서 기침, 가래, 통증, 관절의 부종이 있을 때

*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 흡수를 증진한다.

* 이뇨작용으로 부종을 완화한다.

* 한출(汗出)을 촉진하여 피하에 정체된 수독을 배설하여 감염증으로 인한 기관지점막의 부종이나 관절의 부종을 완화한다.

* 해열, 진통작용을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당귀, 천궁, 작약, 생강, 건강은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2. 창출, 지각, 반하, 진피, 생강, 후박, 작약은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고 소화액 분비능을 증진하여 내용물의 소화와 배출을 촉진한다.

3. 마황, 계지, 복령, 창출은 이뇨를 증진하여 부종을 완화한다.

4. 마황과 계지는 발한(發汗)으로 해열하고, 피하에 정체된 수독의 배설을 촉진하고, 뇌혈류를 증진한다.

5. 백지, 길경, 당귀는 소염, 진통작용을 한다.

6. 지각, 반하, 진피, 후박, 길경은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7. 작약, 후박, 진피는 항균작용을 하여 기관지염, 장염을 개선한다.

[ 投  藥 ]

1. 상열하냉(上熱下冷)현상이 있다.

2. 기침을 하고 가래가 있다.

3. 두통 또는 신통(身痛)하고 사지는 냉하다.

4. 구토, 설사를 자주 한다.

[ 應  用 ]

1. 감기에 걸려서 두통과 신통(腎痛), 요통(腰痛)이 있으면서 손발은 찰 때.

2. 신경통, 요통, 류머티, 각기, 타박상, 반신불수에 상열하냉(上熱下冷)을 목표로.

3. 주로 찬 음식을 먹고 발병한 급성위염의 증상에 손발이 찰 때.

4. 만성위염, 위산과다, 십이지궤양 등에 위내정수(胃內停水)가 있고 트림, 신물(酸水), 하리 등의 증세가 있으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손발이 찰 때.

5. 요통, 신경통이 있으면서 발이 차고 상역감이 심할 때.

6. 신장결석, 담석증 등에 허리가 아프고 손발이 차면서 상역감이 있을 때.

7. 대하(帶下), 월경통, 월경불순, 난산(難産) 등.

8. 심장 질환으로 조금만 과식을 해도 숨이 차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가슴이 답답한, 심장순환장애를 호소할 때.

9. 감기나 기관지염으로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가래가 있을 때


 

70. 온경탕 溫經湯 

 活血祛瘀劑 (溫經散寒)

  오수유(吳茱萸) 3.0   /   당귀(當歸) 4.0   /   천궁(川芎) 4.0   /   작약(芍藥) 4.0   /   목단피(牧丹皮) 4.0   /   계지(桂枝) 4.0   /   아교(阿膠) 4.0   /   생강(生薑) 4.0   /    맥문동(麥門冬)10.0   /   인삼(人蔘) 4.0   /   반하(半夏) 8.0   /   감초(甘草) 4.0 

[ 出  典 ]

금궤요략

◎ (婦人雜病門) [問曰 婦人五十所病下利, 數十日不止, 暮卽發熱, 少腹裏急, 腹滿, 手掌煩熱, 脣口乾燥何也, 師曰, 此病屬帶下, 何以故, 曾經半産, 瘀血在少腹不去, 何以知之 其證脣口乾燥故知之 當以 溫經湯主之. 亦主婦人少腹寒 久不受胎兼取崩中去血, 或月水來過多, 及至期不來.]

[묻기를 부인이 50세가 되어 하리 하기를 수십일 동안 멈추지 않고 저녁 무렵에 열이 나고, 아랫배가 땡기고 헛배가 부르고, 손바닥이 번열하며 입술이 건조해지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대답하기를 이 병은 帶下에 속하는 병이다. 원인이 무엇인가 하면 流産을 한 경험이 있는 부인에게 어혈이 아랫배에 남아 있어 없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어떻게 하여 이것을 알 수 있는가 하면 그 증상이 구순이 건조한 것으로 알 수 있다. 마땅히 온경탕을 사용해야 한다. 또 부인이 아랫배가 오래도록 冷하여 수태를 못하고 자궁이 출혈하거나 혹은 월경불순, 월경과다한 것도 겸하여 다스린다.]

 

[ 處方解說 ]

조혈기관의 기능실조로 혈액은 혈허(血虛)하고, 모세혈관 특히 정맥모세혈관과 정맥판막(靜脈瓣膜)의 탄력은 약하여, 혈액이 정맥모세혈관에서 울혈되므로써, 피부에 영양공급이 부족하여 피부는 건조해지고 입술은 마르며 머리에는 비듬이 잘 생긴다. 또 각종 피부병 즉 무좀, 건성습진, 건선 등이 호발(好發) 한다. 하복부와 신체의 말단부위인 손발의 모세혈관이 가장 미세하기 때문에 말초의 울혈이 심하여 손발이 냉[冷]하고 아랫배가 차고 동상에 잘 걸리며 Burger's병에 잘 걸린다. 자궁과 난소에 영양공급이 부족하여 호르몬분비의 균형이 깨어져서 월경불순, 부정기출혈, 월경과다, 무월경(無月經), 자궁내의 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뇌동맥모세혈관의 혈허(血虛)로 인한 산소공급 부족으로 두통을 호소한다. 수족번열감이 생긴다. 하지정맥류가 생긴다.

* 조혈기관을 자극하여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므로 써 혈허(血虛)증상을 개선한다.

* 혈관운동능을 강화하고 혈관의 장력(張力)을 증강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특히 정맥내의 혈액의 울혈을 개선한다.

*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피부 자윤(滋潤)작용을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계지, 당귀는 혈관을 확장하고, 오수유, 생강, 천궁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2. 목단피는 항혈전작용이 있다.

3. 아교, 맥문동, 인삼은 피부점막에 자윤을 공급하여 혈액순환부전으로 인한 피부건조증상을 개선한다.

4. 맥문동, 반하는 기관지점막의 건조로 인한 기침에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5. 아교, 당귀는 조혈작용을 한다.


[ 投  藥 ]

1. 구순건조(口脣乾棗)

2. 하복팽만(下腹膨滿)

3. 수장번열(手掌煩熱)

4. 수족냉(手足冷)

5. 하복냉(下腹冷)

6. 오후에 열감

7. 구역

[ 應  用 ]

1. 월경불순, 습관성 유산, 자궁출혈, 불임증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2. 구순건조, 수장번열, 하복부팽만.

3. 동상, 수장각피(手掌角皮), 건선.

4. 소화기질환에서 소화기의 내벽(內壁)에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으므로 인한 소화불량, 하리(下利), 위염, 위궤양, 상하복팽만의 주요 원인증이다.

5. 축농증으로 두통, 수장번열 등의 증상이 있을 때.

6. Burger's, Menier's병에 그 원인증이 될 때가 많다.

7. 갱년기에 난소호르몬의 균형이 깨어져서 자궁출혈이 있을 때.

8. 자궁내막에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되지 않으므로 자궁내강은 산성(酸性)을 띄게 되어 본 처방증의 환자는 아들보다 딸을 잘 임신하게 된다. 또 모든 자궁질환 특히 자궁암, 자궁내막증, 난소염 등의 가장 많은 원인이 된다.

9. 본 방증으로 인한 두통(頭痛)이 많으며 이는 주로 산소공급 부족에 기인하므로 두모감(頭冒感)[머리가 무거운 것]은 별로 없다.

10. 모든 알러지질환은 그 원인이 산소공급 부족에 기인한다는 설을 근거로 하여 그 병의 원인으로 작용할 때가 많아서 알러지비염, 알러지천식, 아토피 피부염 등의 알러지1형질환에 거의 처방되며 심상성건선, 관절류머타질환 등의 제 3형 알러지질환에도 많이 처방된다.


70-1. 온백원 溫白元 

 消導化積劑 (瀉寒 徵滌逐水)

  천오(川烏) 75.0   /   오수유(吳茱萸)   /   길경(桔梗)   /   시호(柴胡)   /   창포(菖蒲)   /   자원   /   황련(黃連)    /   건강(乾薑)   /   육계(肉桂)   /   촉초(蜀椒)   /   적복령(赤茯笭)   /   파두상(巴豆霜)   /   조협   /   후박(厚朴)   /   인삼(人蔘) 각15.0 

[ 出  典 ]

和劑局方

◎ 治一切氣 [治心腹積聚, 久 癖塊, 大如杯椀, 黃疸宿食, 早起嘔吐, 支滿上氣, 時時腹脹, 心下堅結, 上來 心, 傍攻兩脇, 十種水氣, 八種 塞, 飜胃吐逆, 飮食 食, 五種淋疾, 九種心痛, 積年食不消化, 或虐疾連年不差, 及療一切諸風, 身體頑 , 不知痛痒, 或半身不遂, 或眉髮墮落, 及療七十二種風, 三十六種遁尸  , 及癲癎, 或婦人諸疾, 斷續不生, 帶下淋瀝, 五邪失心, 愁憂思慮, 意思不樂, 飮食無味, 月水不調, 及腹中一切諸氣, 有似懷孕, 連年累月, 羸瘦困幣, 或歌或笑, 如鬼所使,但服此藥, 無不除愈]

[심복의 적취를 치료한다. 오래된 덩어리가 사발 엎어 둔 것만큼 크고, 먹은 음식이 오래되어 황달이 되고 아침에 일어나면 구토하고 아랫배가 팽만하여 시시로 아프며 가슴 밑이 단단하고 위로 치받으면서 창으로 찌르는 듯하고 양쪽 옆구리로 치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열 가지의 수병(水病)과 여덟 가지의 비색( 塞)과 위가 뒤집혀서 나는 구토와 목이 막히는 증상을 치료한다. 다섯 가지의 임질과 아홉 가지의 심통(心痛)과 오래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과 학질이 해마다 연달아 쌓인 것, 또는 모든 풍을 치료한다. 신체 마비감과 저린감, 어디가 아픈지 가려운지 모르는 통증과 가려움, 혹은 반신불수 혹은 눈썹이 빠지는 것 등을 치료한다. 칠십 두 가지의 풍과 서른 여섯 가지의 전염병, 전간, 혹 부인의 모든 질환, 계속되는 대하와 임질을 치료한다. 오사(五邪)로 정신이 이상해지고 우울하고 걱정이 많고 기쁜 줄 모르고 음식 맛을 모르며 월경이 불순한 것을 고친다. 복중의 모든 병과 임신한 것같이 뭉쳐 있는 것, 야위고 약해진 것, 혹은 노래부르고 혹은 웃고하여 귀신들린 것 같을 때 이 약으로 모두 치유된다.]

[ 處方解說 ]

1. 혈관운동능이 저하되어 인체의 말단까지 혈류공급이 원활치 못하여 전신에 기운이 없고 수족이 냉한 사람이 폐결핵에 만성적으로 이환되어 있거나 상 하기도의 질환에 감염되었을 때

* 항결핵작용, 항균작용, 진해거담작용을하여 폐결핵과 상 하기도의 감염증을 완화한다.

2. 위장운동능이 저하되어 위내용물의 배출이 잘 되지 않을 때

* 위장운동능을 강화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한다.

* 이뇨를 증진하여 부종을 개선한다.

3. 혈관이 무력하여 전신의 마비감이 생겼을 때

*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전신의 마비감을 개선하고 진통작용을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천오, 오수유, 육계, 촉초, 건강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 하므로 써 인체말단의 혈류를 증진하고 전신의 마비를 개선하며 특히 소화관의 혈류를 증진한다.

2. 인삼, 천오는 에너지 대사를 활성화하여 무기력증상을 개선한다.

3. 자원은 결핵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파두상, 황련, 길경, 조협, 창포, 후박은 항균작용과 진해.거담작용을하여 상·하기도질환을 개선한다. 

4. 시호는 면역능을 증강시킨다.

5. 인삼, 창포, 황련, 건강은 소화액분비를 촉진하고 위장의 운동능을 강화한다.


[ 投  藥 ]

1. 기침, 호흡곤란, 무기력증이 있다.

2. 식욕이 없고, 소화불량, 변비가 있다.

3. 전신마비감이 있고, 상복부팽만감이 심하다,

4. 부종이 있고 호흡이 촉박하다.


[ 應  用 ]

1. 폐결핵, 기관지염. 폐염, 늑막염

2. 소화불량, 변비.

3. 부종.


71. 용담사간탕 龍膽瀉肝湯 

  

 淸熱劑 (淸瀉肝膽)

숙지황(熟地黃) 3.0   /   차전자(車前子) 3.0   /   당귀(當歸) 3.0   /   천궁(川芎) 3.0   /   산치자(山梔子) 3.0   /   박하엽(薄荷葉) 3.0   /   작약(芍藥) 3.0   /   황련(黃連) 3.0   /   산귀래(山歸來) 3.0   /   의이인(意苡仁) 3.0   /   연교(蓮翹) 3.0   /   목통(木通) 3.0   /   방풍(防風) 3.0   /   황금(黃芩) 3.0   /   용담(龍膽) 4.0   /   택사(澤瀉) 4.0   /   감초(甘草) 3.0 

 

[ 出  典 ]

 

萬病回春

◎ (賽瘡門) [若肝經濕熱, 或囊癰病毒, 下疳懸癰,腫痛炘作, 小便澁, 或婦人陰 痒痛, 或男子陽賽腫脹, 或出膿水.]

[간경에 습열이 있거나, 혹은 음낭에 옹종이 있어서, 하감, 현옹이 있고, 화끈화끈 하고 붓고 아프며, 소변이 시원하지 않다. 또는 부인이 음부가 가렵고 붓고 아프다. 또는 남자의 음경이 붓고 아프거나 농이 나온다.]


[ 處方解說 ]

 

1. 평소에 혈허(血虛)하면서 교감신경 흥분성 체질로 써 고지혈증, 고점도혈증의 사람이 신체의 하부(下部) 즉 신장, 방광, 자궁, 난소, 전립선 고환등 비뇨기계와 생식기에 상습적인 염증을 일으켜서 생식기와 비뇨기계가 아프거나 가렵거나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을 때

* 교감신경계 흥분을 조절하고 혈액의 점도를 저하시키며 혈소판응고를 저하하며 T임파구의 활성을 증진시킴으로 써 염증을 예방, 치료한다.

* 강한 항균작용으로 감염증을 개선하고,

* 항알러지작용을 하며

* 이뇨를 증진한다.

2. 지방간(脂肪肝)으로, 간기능이 약해져서 해독작용이 충분하지 못하므로써, 혈액의 점도는 높아지고, T임파구의 기능이 저하되어,여러가지 염증이 유발될 때


* 지방간을 개선하고 간기능을 활성화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차전자, 황련, 방풍, 용담, 산귀래, 연교는 항균작용을 한다.

2. 황련, 황금, 목통, 박하엽, 산치자는 소염작용을 한다.

3. 산치자, 황금, 택사, 황련은 간기능을 강화하고 지방간을 억제한다.

4. 숙지황, 당귀, 천궁, 작약은 조혈작용을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5. 황련, 황금, 당귀, 작약, 산치자는 교감신경 흥분을 완화하고, 진정작용을 한다.

6. 차전자, 의이인, 택사, 산귀래, 목통은 소염 이뇨작용을 한다.

7. 산치자, 황금, 황련, 택사, 숙지황은 혈액의 점도를 낮추고 혈소판응고를 억제한다.


[ 投  藥 ]

1. 혈허(血虛)하면서도 신체의 하부에 염증이 잘 생기고 소변이 불리하면서 탁하고 진하다.

2. 피부는 검고 손발에는 끈끈한 땀이 잘난다.

 

[ 應  用 ]

1. 급만성 신장염, 뇨도염, 방광염을 잘 일으키는 체질자의 염증성질환에 사용한다.

2. 대하(帶下), 자궁염, 자궁내막염, 질염 등에 탁하고 끈적끈적한 대하가 나오는 것을 목표로 사용한다.

3. 음부습진, 고환염, 서혜부 임파선염 등에 체질개선약으로 사용한다.


 

72. 월비탕 越婢湯 

 解表劑 (風水)

 

 마황(麻黃) 12.0    석고(石膏) 16.0    생강(生薑) 6.0    대추(大棗) 8.0     감초(甘草)  4.0 

[ 出  典 ]

 

금궤요략

◎ (水氣病門) [裏水者, 一身面目黃腫, 其脈沈, 小便不利, 故令病水. 假令小便自利, 此亡津液, 故令渴. 越婢加朮湯主之.]

[裏水인 자는 전신과 얼굴이 널리 붓고 그 脈은 沈하고 소변은 잘 나오지 않는다. 그러므로 수종이라 한다. 만약에 소변이 자주 나오면 진액이 빠져나가므로 갈증이 생긴다. 윌비가출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 (水氣病門) [裏水越婢加朮湯主之, 甘草麻黃湯亦主之.]

[裏水인 자는 월비가출탕을 사용한다. 감초마황탕역시 사용한다.]

◎ (中風歷節病門) [越婢加朮湯治肉熱極則身體津脫,  理開, 汗大泄, ?風氣, 下焦脚弱]

[월비가출탕은 피부가 짓물러서 지저분하고, 신체의 진액이 빠져나가고, 피부가 열려서 땀이 아주 많이 나고 어깨가 땡기고 아프면서 다리가 약한 것을 치료한다.]


[ 處方解說 ]

 

염증으로 인해 한선(汗腺)을 통해 배설되어야 할 노폐물이 피하(皮下), 관절, 세포간질에 정체되어, 몸 전체에 부종이 있고 몸이 무거우며, 관절부종이 심하고 통증이 있고, 피부의 어느 한부분이 짓무르거나, 눈에는 수명(羞明)현상이 날 때

* 피부배설을 강화하여 피하부종을 완화한다.

* 신장배설을 촉진하여 피하(皮下)와 세포간질에 정체된 수독을 뇨중으로 배설시켜 전신의 부종을 경감한다.

* 해열작용을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석고는 피부의 수독을 수렴하여 신장으로 배설한다.

2. 마황, 생강은 이뇨를 증진하여 부종을 완화한다.

3. 마황과 생강이 발한을 촉진하여 피하에 정체된 노폐물을 배출하여 부종을 개선한다.

4. 대추, 감초는 발한(發汗)으로 인한 영양분의 손실을 보충한다.

5. 감초는 피부알러지증상을 개선한다.

 

[ 投  藥 ]

1. 온몸이 전체적으로 붓고, 부종이 완고하다.

2. 소변량이 적다.

3. 오른쪽 어깨가 붓고 아파서 움질일수 없고 다리는 여윌때도 있다.

4. 피부 각질층에 수독이 정체되어 지저분한 피부병[습진,무좀 등]이 발생한다.

5. 눈(眼)점막하에 수독이 정체되어 눈이 부셔서 불빛을 볼 수 없을 때도 있고 눈이 가렵고 지저분 할 때도 있다 .

 

[ 應  用 ]

1. 신장염, 네프로제, 각기(脚氣) 등으로 소변이 불리하고 부종이 아주 완고할 때.

2. 관절류머티로 그 부위의 국소에 열감이 있으면서 부종이 있을 때.

3. 눈병으로 눈이 충혈 되고 눈이 부시면서 눈곱이 아주 더럽게 끼어 있으며 짓무를 때

4. 습진, 완선, 무좀 등의 피부병으로 가피(加皮)와 지루(脂漏)가 뒤범벅이 되어 더럽게 보일 때

5. 다리가 무겁고 부어서 잘 걷지도 못할 것 같을 때.

6. 홍피증(紅皮症)으로 차[冷]하고 통증이 있으며 약간의 부종이 있을 때.

7. 하지정맥 확장증에 부종이 심할 때.

8. 티눈, 케로이드에 위와 같은 증세가 있을 때.

9. 야뇨증, 황달에도 이 증이 올 수가 있다.

  

73. 위령탕 胃笭湯 

 理氣劑

 

창출(蒼朮) 3.0       후박(厚朴) 3.0      진피(陳皮) 3.0       저령 8.0   택사(澤瀉) 3.0  복령(赤茯 ) 3.0         백작약(白灼藥) 3.0         육계(肉桂) 1.5   감초(甘草) 1.5

 

[ 出  典 ]

 

 萬病回春

 

[ 處方解說 ]

 

 오령산과 평위산을 합방한 처방이다.

 

 

74. 육군자탕 六君子湯 

  

 補益劑 (補氣劑)

  인삼(人蔘) 6.0   진피(陣皮) 6.0     반하(半夏) 6.0     백출(白朮) 6.0  복령(茯笭) 6.0    감초(甘草) 3.0       생강(生薑) 4.0        대추(大棗) 4.0

 

[ 出  典 ]

婦人良方 

[ 處方解說 ]

본 방은 사군자탕에 반하(半夏)와 진피(陳皮)가 합방되어 있는 처방으로써, 세포에 영양이 부족하고 에너지대사가 부족하여 기운이 없는 체질의 사람이 소화관이 무력하여, 소화관의 내용물이 정체되어 배출이 되지 않을 때

* 에너지대사를 촉진하여 기운을 생기게 하고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인삼은 근육의 활동성을 강화하여 근력을 증진하고, 인삼, 백출, 복령, 감초, 대추는 세포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하여 에너지대사를 증진하여 무기력 증상을 개선한다.

2. 인삼, 반하는 위장의 운동신경을 자극하여 소화관 운동을 강화한다.

3. 인삼, 생강은 위액 분비를 증진하여 소화를 촉진한다.

4. 백출, 복령, 생강은 이뇨를 증진하여 소화관 점막의 부종을 완화하여 진토, 지구작용을 한다.

5. 진피, 반하는 위장평활근의 Pace maker를 강화하여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한다.

 

[ 投  藥 ]

 

1. 항상 기운이 없고 만성소화불량이 있다..

2. 상복부팽만감이 있다.

 

[ 應  用 ]

 

1. 소화불량, 위염, 위산과다, 위궤양, 십이지궤양에 상복부 팽만감과 심하부(心下部)의 무력(無力)함을 목표로 사용한다.

2. 평활근 무력(無力)으로 인한 모든 질환에 건중제로 써 많이 처방된다.


  


75. 육미지황환, 육미환, 육미탕 六味地黃丸, 六味丸, 六味湯 

  

 補氣劑 (補陰劑)

숙지황(熟地黃) 16.0   산수유(山茱萸) 8.0      산약(山藥) 8.0       목단피(牧丹皮) 6.0  택사(澤瀉) 6.0             복령(茯笭) 6.0

 

[ 出  典 ]

 

小兒藥證直訣 

[ 處方解說 ]

1. 간기능이 저하되거나 간염이 있고,

2. 만성신염(慢性腎炎)으로 혈압이 높아지거나 부종이나 요통이 있으며 간기능의 저하로 기운이 없고, 도한(盜汗)이 있고 비특이적 면역능이 저하되어 무기력하고, 신경이 쇠약해져 있을 때

* 신장기능을 강화하고, 신염을 개선하여 요통을 완화하고,

*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비특이적 면역능을 증강시켜서 강장(强壯)작용을 하며

* 정신을 안정시키고

* 만성 간염 증상을 개선한다.

* 혈압을 하강한다.

3. 세포의 대사능이 부족하여 당동화(糖同化)작용이 원활하지 못하여 혈당이 높을 때

*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세포에서의 당동화(糖同化)작용을 촉진하므로 써 혈당(血糖)을 하강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는 혈당을 강하하여 당뇨를 개선하고, 고점도혈증을 완화한다.

2. 지황, 목단피, 산수유는 항염작용이 있어서 만성신염을 개선하고, 복령, 산수유는 신장기능을 강화하여 빈뇨를 개선하는 이뇨작용이 있으며 목단피, 택사, 산수유는 만성신염으로 인한 고 혈압에 혈압을 하강하여 고혈압을 개선한다.,

3. 지황, 목단피는 항염작용이 있어서 만성간염을 개선하고, 산약, 산수유, 복령은 간에 영양을 공급하며 택사는 지방간을 개선한다.

4. 복령, 산수유, 산약, 지황은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도한(盜汗)을 완화하고 강장작용을 한다.

5. 숙지황, 복령, 목단피는 신경, 정신을 안정시킨다.

 

[ 投  藥 ]

 

1. 요통.

2. 도한(盜汗).

3. 어지러움.

4. 소변의 량이 많고 자주 본다.

5. 이명(耳鳴).

6. 구갈.

7. 성적신경쇄약.

8. 소변 색이 진하다.

9. 시력감퇴.

10. 다리에 힘이 없다.

11. 체온은 높은 편이며[煩熱], 추운 계절을 좋아하고, 식욕은 항진, 수분을 많이 섭취하고, 찬 것과 지방식을 좋아한다.

 

[ 應  用 ]

1. 만성 신염, 만성신염으로 인한 요통.

2. 야뇨증, 유뇨증, 빈뇨증.

3. 만성간염, 지방간

4. 당뇨병.

5. 정신 집중이 잘 되지 않고 주의가 산만한 체질자.

6. 노인성변비[장점막의 진액부족으로 인하여]에 많이 처방된다.

7. 만성신염으로 주로 다리에 힘이 없고, 부종이 올 때는 우슬, 차전자를 가한 육미신기환을 사용한다.

8. 무릎이 잘 아픈 만성관절질환.

9. 성장통(成長痛).

 

76. 육울탕 六鬱湯 

  

 理氣劑

  향부자(香附子) 6.0  천궁(川芎) 4.5    창출(蒼朮) 4.5   진피(陳皮) 3.0  반하(半夏) 3.0    적복령(赤茯笭) 2.1  치자인(梔子仁) 2.1  사인(砂仁) 1.5   감초(甘草) 1.5   생강3편

 

[ 出  典 ]

丹溪心法 

[ 處方解說 ]

 

1. 자율신경계가 실조되어 신경성 소화불량이 있고, 상복부 팽만감이 있을 때

* 자율신경계를 조절하고, 소화관운동능을 항진하여 소화관에 정체된 음식물의 배출을 촉진한다.

2. 간이 경화되어 간동맥의 혈액순환에 장애가 있고, 경화(硬化)로 인한 부종이 있을 때

* 간동맥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부종을 완화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향부자, 치자인은 교감신경 흥분을 완화하여 소화관 운동능을 증진한다.

2. 반하, 진피, 사인은 소화관 평활근의 운동능을 강화하여 음식물의 배출을 촉진한다.

3. 천궁, 향부자는 간의 혈액순환을 증진한다.  

4. 복령, 창출은 이뇨작용을 하여 간경화로 인한 복수를 제거한다

5. 적복령과 치자인은 항혈전작용을 한다.


[ 投  藥 ]

1. 상복부팽만감과 옆구리가 결리고 배에 가스가 차며 소화불량이 있다.

2. 복수가 차고 부종이 있다.

3. 배가 아프고 구토가 있다.

4. 속이 메슥거리고 입이 끈적거린다.

 

[ 應  用 ]

1. 간경화로 인한 소화불량, 복수, 만성간염.

2. 소화불량, 만성위염, 식욕부진.

3. 위장카타르


  

77. 이기거풍산 理氣祛風散 

 

 治風劑 (辛散祛風)

  청피(靑皮) 1.8 진피(陳皮) 1.8  지각(枳殼) 1.8 길경(桔梗) 1.8 남성(南星) 1.8             반하(半夏) 1.8   오약(烏藥) 1.8      천마(天麻) 1.8  천궁(川芎) 1.8   백지(白芷) 1.8    방풍(防風) 1.8  형개(荊芥) 1.8   강활(羌活) 1.8   독활(獨活) 1.8   백작약(白芍藥) 1.8     감초(甘草)  생강5편

 

[ 出  典 ]

古今醫鑑

◎ [治口眼歪斜]

[구안와사를 치료한다.]

 

[ 處方解說 ]

 

1. 혈관운동능이 저하되어 뇌경색으로 인하거나

2. 세균성 유돌기염이 되어나

3. 알러지성 유돌기염이 되어 삼차신경통이 나타났을 때

*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류를 촉진하고,

* 항균작용과 항알러지작용을하여 세균성 유돌기염을 개선하며

* 소화관운동능을 강화하여 심장발출 혈액이 소화관 쪽으로 편재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써

뇌혈류를 증가시키며,

* 진경, 진통작용을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강활, 독활, 천남성, 천마, 천궁, 백지, 형개, 방풍, 백작약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고 혈류를 촉진한다.

2. 남성, 천마는 뇌혈관의 경련을 억제하고 진정작용을 한다.

3. 반하, 진피, 청피, 지각, 오약은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를 촉진한다.

4. 강활, 방풍, 길경, 백작약, 청피, 진피는 항균작용을 한다.

5. 청피, 진피, 지각은 항알러지작용을 하고, 형개는 항바이러스작용을 한다.

6. 천마, 천궁, 백지, 독활은 진통작용을 한다.


[ 投  藥 ]

 

1. 와사풍이 생기고 두통이 있다.

2. 인체의 반신에 마비감이 있고 반신불수가 된다.

 

[ 應  用 ]

 

1. 와사풍, 중풍

2. 반신마비, 두통,

 

78. 이중탕, 인삼탕 二中湯,人蔘湯 

 溫裏劑 (補氣健脾) 

 

  인삼(人蔘) 6.0   백출(白朮) 6.0   감초(甘草) 6.0   건강(乾薑) 6.0 

 

[ 出  典 ]

傷寒論

◎ (藿亂病編) [藿亂, 頭痛 發熱, 身疼痛, 熱多欲飮水者, 五 散主之. 寒多不用水者, 理中丸主之.]

[곽란으로 두통이 있고 열이 나며 통증이 심하고, 심한 열 때문에 물을 많이 마시고 싶으면 오령산을 사용하고, 속이 차서 물을 마시고 싶지 않으면 이중환을 반드시 사용한다.]

◎ (差後勞復病編) [大病差後, 喜唾, 久了了者, 胃上有寒, 當以丸藥溫之, 宜理中丸]

[큰 병이 나은 후에 침이 잘 생기며 오래도록 계속되는 것은 위장에 寒이 있다. 마땅히 환약으로 따뜻하게 해야 한다. 이중환이 좋다.]


금궤요략 


◎ (胸痺心痛短氣病門) [胸痺, 心中 留氣, 結在胸, 胸滿脇下逆槍心, 枳實 白桂枝湯主之. 人蔘湯亦主之.]

[가슴이 답답한 병으로써, 명치에 氣가 맺혀서 가슴이 답답하고, 이 답답함이 늑골 밑에서 심장으로 모인다. 지실해백계지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인삼탕 역시 사용한다.]

 

[ 處方解說 ]

1. 소화관점막의 모세혈관의 혈류가 부족하여, 소화관 국소의 체온이 저하되어 상복부 냉(冷)감이 있으며

2. 소화액(消化液)의 분비능이 저하되어, 저산증으로 인한 소화불량이 있고,

3. 소화관평활근의 장력(張力)이 약하여, 평활근의 연동운동능이 저하되고 하수(下垂)증상이 있을 때

* 말초혈관의 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관 국소의 온난감(溫暖感)을 상승한다.

* 소화액의 분비능을 항진하여 위산을 정상화하고, 연동운동능을 강화한다.

* 소화관 평활근의 장력(張力)을 강화하여 하수(下垂)증상을 개선한다.

4. 모든 내장평활근(內臟平滑筋), 혈관평활근(血管平滑筋), 심장평활근(心臟平滑筋)에 필요한 에너지 대사가 이루어지지 못할 때, 에너지대사를 활성하고 말초의 혈류(血流)를 증진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인삼, 건강은 소화관점막의 모세혈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관 국소를 따뜻하게 한다.

2. 인삼, 건강, 백출은 위액분비를 강화하고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한다.

3. 백출은 소화관 평활근의 장력(張力)을 강화하여 하수(下垂)증상을 개선한다.

4. 인삼, 백출, 감초는 세포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한다.


 

[ 投  藥 ]

1. 심하부는 냉(冷)하고 연약하다.

2. 찬 음식물[맥주, 우유, 아이스크림]을 먹거나 마시면 설사한다.

3. 입에 침이 잘 고이고, 말을 할 때 침이 잘 튀어 나간다.

4. 대변(大便)은 연변(軟便)이나 설사의 경향이 있다.

5. 구토를 잘 하거나 어지럽거나 복통이 있을 수 있다.

6. 혀는 습윤(濕潤)하다.


[ 應  用 ]

1. 위산저하(胃酸低下), 위아토니, 위하수(胃下垂), 위궤양(胃潰瘍), 십이지궤양, 담석증(膽石症), 담낭염(膽囊炎), 간염(肝炎), 간경화(肝硬化), 담도신경증등의 모든 소화기질환과 모든 소화부속기 질환에 가장 빈용되는 처방이다.

2. 심장판막증, 심장신경증, 심계항진 등에도 많이 사용된다.

3. 천식, 늑간신경통, 늑막염 등에도 많이 처방된다.

4. 견통, 사십견, 오십견 등이 혈액순환부전과 영양공급 불량으로 인할 때.

5. 요통이 신장(腎臟)이나 방광의 하수(下垂)로 인할 때.

6. 당뇨병.

7. 부종, 신장의 질환.

8. 신경쇠약, 빈혈, 불면 등의 신경증상.

9. 알러지비염 등에 재채기가 심할 때 위내정수(胃內停水)가 있을 때.

10. 상습성 소화불량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11. 습관성 유산.

12. 그 외에도 많은 질환이, 이 처방증이 기본이 될 때가 많고 한방처방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처방이다.


 

79. 이진탕 二陳湯 

   

 거담제 (燥濕化痰)

 진피(陳皮) 8.0  복령(茯 ) 8.0    반하(半夏) 12.0   감초(甘草) 4.0 

 

[ 出  典 ]

和劑局方

◎ (痰飮門) [治痰飮爲患, 或嘔吐惡心, 或頭眩驚悸, 或中脘不快, 或發爲寒熱 或因食生冷, 脾胃不和.]

[담음병을 고친다. 혹은 구토하고, 혹은 메스껍고, 혹은 어지럽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혹은 가슴이 불쾌하다. 혹은 감기나 찬 생음식을 먹어서 열이 나고, 비위가 불편한 것을 고친다.]


[ 處方解說 ]

1. 위장운동능이 저하되어 위내용물이 정체되어 있고 위점막의 부종으로 구역, 구토감이 있을 때

* 소화기관의 운동능을 강화하여, 위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한다.

* 소화관점막의 부종을 완화하여 구역, 구토감을 개선한다.

2. 기관지점막의 부종으로 기침과 가래가 있을 때

*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진피, 반하는 위장운동능을 강화하여 내용물과 수독의 배출을 촉진한다.

2. 반하는 진토작용을 한다.

3. 복령, 진피는 이뇨작용을 하여 소화관점막의 부종으로 인한 구토, 구역감을 완화한다.

4. 진피, 반하는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 投  藥 ]

1. 오심(惡心).

2. 구토.

3. 소화불량.

4. 진수음.

5. 심계항진.


 

[ 應  用 ]

1. 임신구토, 구토.

2. 소화불량.

3. 기침, 가래

 

80. 인삼양영탕 人蔘養營湯 

 

  

 補益劑 (氣血雙補劑)

 

작약(芍藥) 8.0 계지(桂枝) 4.0  인삼(人蔘) 4.0  황기(黃耆) 4.0  백출(白朮) 4.0           당귀(當歸) 4.0   진피(陳皮) 4.0     감초(甘草) 4.0   숙지황(熟地黃) 3.0  복령(茯笭) 3.0  원지(遠志) 2.0   오미자(五味子) 3.0

 

[ 出  典 ]

 和劑局方

[ 處方解說 ]

조혈기능이 약하여 적혈구가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는 빈혈성 체질자가 주로 폐결핵이나 흉부(胸部)의 만성감염(慢性感炎)으로 인하여 오랫동안의 감염에 대한 방어반응으로 에너지와 영양의 소모가 심하여 몸은 극도로 허약하여 피로를 잘 느낀다. 도한(盜汗)이 난다. 호흡기의 만성 감염성 질환으로 기침이 심하고 숨쉬기 힘들다. 머리카락은 윤기가 없어서 잘 빠지고, 피부도 윤기가 없어서 건조하다. 너무나 허약하여 잠이 잘 오지 않는다.

* 신경안정작용을 한다.

* 혈액의 생성을 촉진하고, 혈류를 원활히 하며 모든 세포에 영양공급을 촉진하여 만성적인 항원항체반응으로 인한 영양분의 결핍을 개선한다.

* 호흡기의 만성적인 염증에 의한 기침, 가래에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 소화기관을 강화한다.

*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여 기운을 생기게 한다.

[참고] 

본 처방은 혈액의 점도를 높이고 세포에 영양을 보충하는 것이 주작용이므로 만성적인 염증반응으로, 혈액의 점도가 높아진 시호증의 체질자에 사용하면 혈액의 점도를 더욱 높여서 T Cell의 활성화를 저하시키므로 염증을 더욱 악화시킨다고 생각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인삼, 백출, 황기, 복령은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에너지 생성을 촉진하므로 써 기운이 나게 한다. 특히 만성소모성 염증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에 에너지생성을 강화한다.

2. 당귀, 숙지황은 조혈작용을 하여 빈혈을 개선한다.

3. 숙지황, 오미자는 피부, 점막에 자윤을 공급한다.

4. 오미자, 원지, 진피는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5. 인삼, 백출, 작약은 소화관 운동능을 항진하여 소화를 촉진한다.

6. 황기, 계지는 만성염증으로 인한 도한(盜汗)에 지한(止汗)작용을 한다.

7. 백출, 원지, 오미자, 작약, 당귀는 진정작용을 하여 심계항진과 불면을 완화한다.

8. 작약은 항균작용을 하고, 황기는 만성염증을 개선한다.


[ 投  藥 ]

1. 호흡곤란.

2. 식욕감퇴.

3. 사지번열(四肢煩熱), 오한(惡寒), 도한(盜汗), 심계항진(心悸抗進).

4. 피로.

5. 피부와 머리카락은 윤기가 없고 건조하다.

6. 신경쇠약으로 불면이 있다.

 

[ 應  用 ]

1. 폐결핵이나, 만성적인 상하기도 감염증으로 인해, 피부와 모든 세포의 진액이 말라서 고조된 상태일 때.

2. 산후에 조혈기능이 약하여, 빈혈이 심하고, 피부는 진액이 없으며 소화기계는 무력하여 소화가 되지 않고 혈허(血虛)로 숨이 찰 때의 산후회복 약으로 적당하다.

3. 만성열성질환에 혈액의 점도가 낮은 것을 목표로 보약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피부궤양이나 모든 궤양질환에 세포에 자윤(滋潤)을 주어 세포의 재생을 도우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81. 인삼양위탕 人蔘養胃湯 

  

 거습제 (芳香化濕)

 창출(蒼朮) 4.5  진피(陳皮) 3.75  후박(厚朴) 3.75  적복령(赤茯笭) 3.75 곽향(藿香) 3.75   인삼(人蔘) 1.5  초과(草果) 1.5    자감초(炙甘草) 1.5

  생강3편, 오매 1개를 가하여 끓이고 거품을 없앤 후 따뜻하게 복용

 

 

[ 出  典 ]

 和劑局方

治傷寒門 [治外感風寒, 內傷生冷, 增寒壯熱, 頭目昏疼, 肢體拘急, 不問風寒二證, 及內外之殊, 均可治療, 先用厚被蓋睡, 連進此數, 服以簿弼湯之類佐之, 令四肢微寒  , 然侯汗乾則徐徐去被, 謹避外風, 自然解散, 若元有汗, 亦水溫潤, 以和解之, 或有餘熱, 以參蘇飮,   調之, 或上頭疼,則濃煎生薑蔥白湯下聖餠子,三證旣除, 不必服藥, 但節其飮食, 適其寒溫, 自然平治, 大抵感冒古人, 不敢輕發汗, 止由麻黃, 能開湊理用, 或不能得宜, 則導泄眞氣, 因而致虛, 變生他證, 此藥乃平和之劑, 上能溫中解表而巳, 不致妄擾也, 兼能酸山嵐 氣, 四時溫疫, 常服尤佳.]

[풍한사를 외감하였던가, 생음식을 먹어서 속에는 열이 차 있고 밖에는 찬 증상이 나타나고, 고열, 두통, 어지러움, 지체구급 등의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치료한다. 본 제는 풍한의 2증을 물을 것도 없으며, 특히 내외의 병인에 대응하여 골고루 치료하는 방제이다. 먼저 옷을 두텁게 입고 이불을 따뜻하게 덥고 잠을 자야하며 연속적으로 자주 본 제를 복용하고 묽은 죽을 먹어 약의 효과를 돕는다. 사지에서 미한(微汗)이 촉촉하게 나와 땀이 마르면 입고 있던 옷을 서서히 벗는다. 삼가 외풍을 쏘이는 일이 없도록 하면 자연히 풍한냉사(風寒冷邪)가 해산된다. 만약 땀이 있으면 모름지기 따뜻하게 자윤 하여 이로써 화해시켜야 한다. 혹시 그래도 여열이 있으면 삼소음을 천천히 온복한다. 또한 아직도 머리가 아프다면 진하게 달인 생강총백탕을으로 성병자(聖餠子)를 복용한다. 3증이 완전히 제거되었으면 복약할 필요가 없다. 다만 음식을 절제한다면 한온사(寒溫邪)는 자연히 평치된다. 대체적으로 고인은 감모에 대해 감히 경솔하게 발한 시키지 않았다. 그 이유는 마황이 지한 시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황은 능히 주리를 열어 발산시키기 때문에 호전되지 않으면 진기(眞氣)를 배설하므로 써 몸을 허하게 만들어 이로 인해 변전하여 타증을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제는 곧 화해제이다. 능히 중(中)을 따뜻하게 하여 위로 해표 시켜서 망녕되이 동요함이 없도록 한다. 또한 본 제는 능히 산람장기를 구축하고 사시온역을 다스리는 대단히 좋은 방제이다.]


[ 處方解說 ]

찬 음식이나 세균성음식을 먹고 소화관이 냉(冷)해지면서 장염(腸炎)을 일으켜서 복통, 설사

발열, 사지통(四肢痛), 소화불량, 상복부팽만감, 오심 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 소화관의 혈류를 촉진하여 소화관의 체온을 회복시키고

* 항균작용을 하며

* 소화관의 연동운동능을 강화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하고

* 해열, 진통작용을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초과, 곽향은 강력한 항균작용과 항진균작용을하여 세균성대장염, 진균성 대장염에 이환 되어 나타나는 설사, 복통, 발열 등을 개선한다.

2. 인삼, 초과는 소화관내의 혈류를 증진하여 소화관의 체온을 정상화한다.

3. 인삼, 반하, 진피, 후박은 소화관의 연동운동능을 강화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한다.

4. 적복령, 창출은 염증으로 인한 소화관점막의 부종을 개선한다.

5. 감초는 소화관점막을 보호한다.  

 

[ 投  藥 ]

1. 세균성장질환이나 찬 음식을 먹은 후 소화관의 체온이 저하되어 배가 아프고, 설사가 나오거나 구역질이 나거나 열이 나고, 속이 메스껍다.

2. 상복부팽만감이 있고 사지통이 있다.

 

[ 應  用 ]

1. 식중독성설사와 복통, 이급후중, 발열, 사지통

2. 아이스크림 먹고 배아플 때

3. 찬 음식 먹은 후 소화불량이 있을 때

 

 

82. 인삼패독산 人蔘敗毒散 

  

 解表劑 (濕熱毒)

 인삼(人蔘) 3.0  전호(前胡) 3.0 강활(羌活) 3.0  시호(柴胡) 3.0 독활(獨活) 3.0            지각(枳殼) 3.0     천궁(川芎) 3.0   길경(桔梗) 3.0   적복령(赤茯 )3.0   감초(甘草) 1.5   생강, 박하 소량


[ 出  典 ]

小兒藥證直訣

◎ [方諸三] [治傷風溫疫風濕, 頭目昏暗, 四肢作痛, 憎寒壯熱, 項强晴疼 或惡寒咳嗽, 鼻色聲重]

[溫逆과 風濕에 이완되어 머리가 어지럽고 사지가 아프며 몸이 떨리고 고열이 나며 어깨가 뻣뻣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혹은 오한하고 기침이 나며 코가 막히고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處方解說 ]

1. 저항력이나 체질이 약한 사람이 감기 등의 감염증에 감염되어 열이 나고, 기침을 하고 통증이 있을 때

* 강활과 독활을 사용하여 약발한(弱發汗)으로 해열하면서 진통작용을 하며

* 면역능을 증강하고 소염작용을 하고,

* 진해, 거담작용을 하며,

* 세포에 진액(津液)과 산소를 공급하여 인체의 에너지대사를 활성화한다.

2. 체력이 약한 사람이 국소의 알러지로 국소가 붓고, 아프고, 가렵고, 종창되어 있을 때

*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 해열, 소염, 진통,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참고] : 본방은 십미패독산에 비해 항균작용이 강한 방풍과 형개가 빠졌으므로 국소의 옹종, 절, 결가의 증상보다는 알러지로 인한 습진증상에 적용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강활, 독활은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해열하며, 염증 국소의 부종을 완화하고 진통작용을 한다.

2. 지각, 전호, 시호, 길경, 박하는 소염작용을 한다.

3. 인삼, 시호는 면역능을 증강한다.

4. 복령, 생강은 이뇨를 증진하여 염증 국소의 부종을 완화한다.

5. 인삼, 복령, 감초는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에너지대사를 활성화한다.

6. 길경은 배농작용을 한다.


[ 投  藥 ]

1. 오한, 발열, 두통이 있다.

2. 발적, 화농, 종창, 옹저를 나타내는 피부질환, 상 하기도 질환이 만성적이고 상습적으로 발생한다.

 

[ 應  用 ]

1. 유행성 독감으로 발열, 두통, 신체통, 코막힘 등의 증상이 있으면서 기관지, 폐의 염증이 겸해서 기침을 하고 가래를 토해낼 때.

<본 방의 특징은 병세가 격렬하지 않고 완만하다.>

2. 축농증, 눈병, 습진, 두드러기, 유방염, 두창 등의 피부병을 상습적으로 발병하며 병상이 완만하고 빨리 개선되지 않을 때.


 

83. 인진오령산 茵陳五笭散 

  

 祛濕劑 (利水渗濕)

  인진호가루(茵陳蒿) 8g   오령산가루(五 散) 4g 를 혼합하여 사용 

[ 出  典 ]

금궤요략

◎ (黃疸病門) [黃疸病, 茵蔯五 散主之.]

[황달병에 인진오령산을 반드시 사용한다.]

 

[ 處方解說 ]

 

간세포를 활성화하고 담즙분비를 증진하는 인진호에 수독의 배설을 촉진하는 오령산이 합방되어, 간질환(肝疾患)으로 인한 복부부종이 있을 때


* 간기능을 강화하고 복수를 배출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인진호는 담즙의 분비와 배설을 촉진한다.

2. 오령산은 혈중의 담즙을 소변으로 빨리 배설시킨다.


[ 投  藥 ]

1. 부종.

2. 설백태.

3. 황달.

 

[ 應  用 ]

1. 황달.

2. 간경화(肝硬化).

3. 신생아 항달.

  

84. 자감초탕, 구감초탕 炙甘草湯 

  

 補益劑 (補血劑)

자감초(炙甘草) 8.0 생강(生薑) 6.0 맥문동(麥門冬) 10.0 계지(桂枝) 6.0 마자인(麻子仁) 8.0  인삼(人蔘) 4.0   생지황(生地黃) 32.0  대추(大棗) 10.0

아교(阿膠) 4.0 [다른 약을 끊여서 짠 후 아교를 넣어 다시 한번 끊인다.]

 

[ 出  典 ]

1. 傷寒論

◎ (太陽病下編) [傷寒, 脈結代, 心動悸, 炙甘草湯主之.]

[상한병으로 맥이 결대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면 구감초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2. 금궤요략

◎ (虛勞病門) [千金翼炙甘草湯(一云復脈湯), 治虛勞不足, 汗出而悶, 脈結心悸, 行動如常, 不出百日, 危急者十一日死]

[천금익자감초탕(일명 복맥탕)은 허로 부족하여 땀을 흘리고 답답하며, 맥이 일정하지 않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고친다. 행동이 전과 같으면 백일 이내에 위급해지고 급한 증상일 때는 십일일 이내에 사망한다.]

◎ (虛勞病門) [外臺炙甘草湯, 治肺 涎唾多, 心中溫溫液液者.]

[외대자감초탕은 폐병에 걸려서 묽거나 짙은 가래를 뱉고, 속이 메식메식한 증상을 고친다.]


[ 處方解說 ]

1. 관상동맥계에 고점도혈증이 있어서 심근세포에 산소공급이 잘되지 않거나, 허혈(虛血)증상으로 산소공급이 부족하거나, 심근(心筋)세포에 영양과 진액이 부족하여, 심장의 운동능이 저하되거나, 협심증이 되어, 숨이 차고, 심장의 운동능이 저하되거나, 가슴이 답답할 때

* 관상동맥계의 혈류를 원활히 하여 심근세포에 산소와 영양공급을 증진하고

* 심근세포에 자윤을 공급하여 심장운동능을 강화한다.

* 변비로 인하여 생긴 혈액의 고점도를, 변비를 완화하여 저하한다.

2. 기관지점막에 자윤을 공급하여 가래의 배출을 쉽게 하고, 기관지의 염증을 완화하고 진해(鎭咳)작용을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감초, 계지는 심장의 운동능을 강화한다.

2. 맥문동, 마자인, 아교는 심근세포에 영양을 공급한다.

3. 마지인은 변비를 완화하여 변비로 인한 고점도혈증을 개선하고, 생지황은 항혈전작용을 하며 계지의 혈관확장작용과 생강의 혈관운동능강화작용으로 관상동맥의 혈전을 개선한다. 

4. 인삼은 심장의 자율운동능을 조절한다.

 

[ 投  藥 ]

1. 심계항진, 부정맥이나 대맥(代脈)이 반드시 나타난다.

2. 가래가 잘 끓고 가슴이 답답하다.

3. 한숨이 심하고, 상역감이 있다.

4. 불면, 피부건조.

5. 도한, 객혈, 구건, 변비.

6. 뉘침이 흐르고 속이 울렁울렁해서 멀미하는 것 같다.


[ 應  用 ]

1. 장티푸스, 폐렴, 독감 등의 열성병으로 열이 높고 동계, 허번(虛煩), 불면, 헛소리 등의 증이 있을 때 사용하여 심장기능을 강화하고 면역능을 증강시켜 염증을 개선하고 열로 인해 고갈된 기관지점액을 보충한다.

2. 폐결핵으로 고열(高熱), 호흡곤란, 도한(盜汗), 각혈(喀血), 피부건조, 기침, 가래가 있을 때.

3. 심장판막증, 기외수축, 심내막염 등으로 동계(動悸)혹은 부정맥이 있을 때 사용하면 증상을 개선할 수가 있다.

4. 바세도우씨병, 노이로제, 고혈압 등으로 땀이 잘나고 쉬 피로하며 상기감(上氣感)이 있을 때.

5. 목소리를 내기가 힘들고 가슴이 답답하고 동계가 있고 변비가 있을 때.

6. 구내염, 설염, 잇몸염, 편도선농양 등으로 탁한 침을 뱉고 음식이 잘 넘어가지 않을 때.

7. 장점막(腸粘膜)에 자윤(滋潤)이 부족하여 변비가 생길 때.

8. 손톱파열[심장기능 부전으로 말초혈관의 혈류가 약하여 산소, 영양공급 부족으로], 호흡곤란, 동계가 있을 때.

9. 간장비대, 급성간염, 황달로 심장이 부담을 받을 때는 이 처방이 거의 합방된다.

10. 신장염에도 거의 합방된다.

11. 이 처방을 써서 설사가 나면 지황이나 마자인 탓이므로 이 둘을 빼고 건강을 쓰면 좋다.


  

85. 자음강화탕 滋陰降火湯 

  

 補益劑 (補陰劑)

당귀(當歸) 8.0  작약(芍藥) 8.0 숙지황(熟地黃) 6.0 천문동(天門冬) 6.0  백출(白朮) 6.0    진피(陳皮) 4.0   황백(黃栢) 2.0  맥문동(麥門冬) 6.0 지모(知母) 2.0    감초(甘草) 2.0    생지황(生地黃) 6.0        건지황(乾地黃) 4.0

 

 

[ 出  典 ]

萬病回春

◎ (虛勞門) [治陰虛火動, 發熱咳嗽, 吐痰喘急, 盜汗口乾, 此方與六味地黃丸相兼服之, 大補虛勞神效.]

[음허화가 발동하여 열이 나고, 기침하며, 가래를 토하고, 숨이 차며, 도한하고, 입이 마른 것을 고친다. 본 처방은 육미지황환과 겸하여 복용하면, 허로를 보하는 것이 아주 신기하다.]

 

[ 處方解說 ]

혈허(血虛)와 변비 때문에 피부와 점막이 건조한 사람이, 기관지염등 상 하기도에 염증이 생긴데다, 기관지평활근이 경련을 일으켜서 만성적으로 염증반응을 하여 도한(盜汗)이 나고,

빈혈이 있으며, 도한(盜汗)으로 인한 피부가 건조하고,마른기침을 하고, 목에 가래가 붙어서 잘 떨어지지 않을 때

* 조혈작용과 혈액순환촉진작용을 하여 빈혈을 개선하고,

* 항균작용을하여 감염증을 개선하고, 해열작용을 하며,

* 피부와 점막에 영양분과 자윤을 공급하여 피부, 점막을 부드럽게 하며,   

* 기관지 경련을 완화하며, 진해거담작용을 하고,

* 장점막을 부드럽게 하여 배변을 원활히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천문동, 맥문동, 황백, 지모, 작약은 상기도감염균에 항균작용을 한다.

2. 천문동, 맥문동, 진피는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3. 지모, 생지황, 진피는 소염작용을 한다.

4. 천문동, 맥문동, 건지황, 백출, 석고는 (Vit. A, Asparagine, 미네랄등)점막과 피부에 자윤을 공급하여 건조한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기관지점막이 건조한 것을 개선한다.

5. 숙지황은 조혈작용을 하고(Fe), 당귀, 작약, 백출은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6. 작약, 생지황은 항혈전작용을하여 염증국소의 혈전을 개선한다.

7.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은 사하작용이 있다.

8. 지모, 석고는 해열작용을 하고, 만성염증반응으로 인한 도한(盜汗)증상에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피부를 수렴한다.

 

[ 投  藥 ]

1. 약간의 도한(盜汗)이 있고, 주로 오후에 미열이 나며 기침을 잘하며 객담이 있다.

2. 입이 잘 마르고 목안이 건조해서 잘 아픈 경우가 많다.

3. 배변이 시원하지 않으므로, 설사를 잘하는 체질자에게는 금기이며 이 약을 복용한 후 설사를 한다면 본 방증이 아니다.

4. 피부가 거칠면서 검어진다.

 

[ 應  用 ]

1. 만성기관지염, 폐결핵, 늑막염 등의 건성 호흡기질환.

2. 신장염, 신우염.

3. 당뇨병.

4. 인후종창.

 

86. 자음건비탕 滋陰建脾湯 

  

 補益劑 (氣血雙補劑)

백출(白朮) 4.5  진피(陳皮) 3.0  당귀(當歸) 3.0  백작약(白灼藥) 2.4 생지황(生地黃) 2.4   천궁(川芎) 2.4   반하(半夏) 2.1  백복령(白茯笭) 1.2  백복신(白茯神) 2.1  인삼(人蔘) 2.1  원지(遠志) 2.1   맥문동(麥門冬) 2.1   감초(甘草) 1.2

 

[ 出  典 ]

萬病回春

◎ 治氣血虛損 有疾. 作眩暈之仙劑也.

기혈허손으로 인한 질환이 있는 경우를 다스린다. 어지러움에 아주 좋은 보약이다.

 

[ 處方解說 ]

1. 빈혈이 있으면서 기운이 없는 사람이 혈관운동능의 저하로 어지러움증이 있을 때, 보혈작용을 하면서 위운동능을 강화하고, 혈관운동능을 강화한다.

2. 기관지 평활근 무력증으로 인하여 기침이나 가래가 있을 때 기관지평활근 운동능을 강화하고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3. 불안신경증으로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불면증이 있을 때 뇌신경에 영양을 공급하여 신경을 안정시킨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당귀, 천궁, 작약, 지황은 적혈구 생성을 촉진한다.

2. 인삼, 백출, 작약, 감초는 기운을 왕성하게 한다.

3. 원지, 맥문동은 진해거담작용을 하며, 진피는 진해작용을 한다.

4. 원지, 복신은 신경계에 영양을 공급하여 신경안정작용을 한다.

 

[ 投  藥 ]

1. 어지럽고 기운이 없다.

2.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면증이 있다. .

 

[ 應  用 ]

1. 심계, 어지러움, 빈혈

2. 불면증, 불안신경증


 

87. 저령탕 猪笭湯 

  

 거습제 (利水渗濕)

  저령(猪笭) 6.0  복령(茯笭) 6.0  택사(澤瀉) 6.0   활석(滑石) 6.0    아교(阿膠) 6.0 

 

[ 出  典 ]

傷寒論

◎ (陽明病編) [若脈浮發熱, 渴欲飮水, 小便不利者, 猪 湯主之.]

[만약에 맥이 浮하고 열이 나면서 물이 마시고 싶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 저령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 (陽明病編) [陽明病, 汗出多以渴者, 不可與猪 湯, 以汗多胃中燥, 猪 湯復利其小便故也.]

[양명병으로, 땀이 나면서 갈증이 심한 사람에게는 저령탕을 투여하면 안된다. 땀이 많이 나면서 위장이 마른데다 저령탕이 다시 소변을 빼내기 때문이다.]

◎ (少陰病編) [少陰病, 下利六七日, 咳而嘔渴, 心煩不得眠者, 猪 湯主之.]

[소음병으로, 설사를 6, 7일이나 하고 기침하고 구역하고 갈증이 있으며 가슴이 답답하여 잠을 잘 이루지 못하는 사람은 반드시 저령탕을 사용한다.]

 

[ 處方解說 ]

주로 비뇨기의 염증이 심하여, 발열(發熱), 소변불리, 통증, 혈뇨(血尿)등의 증상이 있을 때

* 소염(消炎), 항균작용을 하고

* 소종(消腫)작용을 하며

* 이뇨작용(利尿作用)을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저령, 복령, 택사는 이뇨를 촉진한다.

2. 활석은 소염작용을 한다.

3. 아교는 지혈작용을 하여 염증으로 인한 출혈을 지혈한다.

4. 활석은 항균작용을 한다.


[ 投  藥 ]

 

1. 소변불리.

2. 빈뇨동통(頻尿疼痛).

3. 소변이 붉고 탁하다.

4. 갈증이 나서 물을 마시고 싶다.

5. 혈뇨.

6. 부종.

7. 하리.

8. 기침.

9. 불면

 

[ 應  用 ]

 

1. 급성방광염, 방광결석, 요도염, 신우염, 신장결핵 등에서 배뇨곤란, 배뇨통(排尿痛), 혈뇨(血尿)등이 있을때.

2. 전립선염이나 전립선비대증. [팔미환이나 육미환과 합방되어서 많이 사용된다.]

3. 신염, 네프로제 등.

4. 하초번열(下焦煩熱) 때문에 불면증이 생겨서 갈증이 나거나 소변이 불리할 때.

5. 거의 구어혈제(驅瘀血劑)와 합방될 때가 많다.


 

88. 조경종옥탕 調經鍾玉湯 

  

 活血祛瘀劑 (溫經散寒)

숙지황(熟黃) 4.5  향부자(香附子) 4.5 당귀(當歸) 3.0  천궁(川芎) 3.0 오수유(吳茱萸) 3.0  백작약(白芍藥) 2.4  백복령(白茯 ) 2.4 진피(陳皮) 2.4 건강(乾薑) 2.4  목단피(牧丹皮) 2.4  현호색(玄胡索) 2.4     애엽(艾葉) 1.5  육계(肉桂) 1.5

 

[ 出  典 ]

古今醫鑑

◎ [凡婦人無子, 多因七精所傷, 致使血衰氣盛, 經水不足, 或前或後, 或多或蘇, 或色痰如水, 或者如血塊, 或崩漏帶下,  服疼痛, 或子宮虛冷, 不能受孕, 宜進此藥效可通神]

[부인이 임신을 못하는 것은 칠정(七情)이 상(傷)하여 혈(血)은 약하고 기(氣)는 왕성한 것이 원인이다. 월경이 부족하거나 혹은 앞당기거나 혹은 미루어지거나 혹은 월경의 색이 물같이 묽거나 혹은 자색의 덩어리가 나오거나 한다. 혹은 대하가 있거나 배가 아프거나 자궁이 허약하고 냉하거나 하여 임신이 안될 때 이 약은 그 효과가 신통하다.]

 

[ 處方解說 ]

1. 자궁에 혈액순환이 부전 하거나 스트레스로 인하여 임신이 안될 때

* 자궁내막의 혈류를 촉진하여 착상을 원활히 한다. 

2. 자궁의 혈류가 부족하고 자궁의 근육이 경련 하여 유산(流産)이나 하혈(下血)을 할 때

* 자궁의 근육경련을 완화하고 지혈작용을 하며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유산을 억제한다.

3. 월경통이 있을 때

* 항혈전작용과 진통작용을 하여 월경통을 억제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숙지황, 당귀, 천궁, 백작약은 조혈작용을 하며 혈액의 순환을 촉진한다.

2. 애엽은 혈관을 강화하여 출혈을 억제하고 지혈작용을 한다.

3. 천궁, 향부자, 육계, 건강은 혈관을 강화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4. 현호색, 향부자는 자궁근육경련 억제작용을 하여 유산을 방지한다.

5. 목단피, 향부자는 항혈전작용을 하여 혈액의 흐름을 원만하게 한다.

6. 진피는 항알러지 작용으로 자궁내의 수정란의 착상을 원활하게 한다.

7. 오수유, 건강은 말초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자궁내막에 체열을 원활하게 공급한다.

8. 향부자는 항스트레스작용을 하여 신경성 우울증을 개선한다.


[ 投  藥 ]

1. 하복냉(下腹冷), 빈혈, 월경통

2. 어지럽고, 손발이 저리고 가슴이 두근거린다.

 

[ 應  用 ]

1. 불임, 월경통, 유산

2. 하혈(下血), 하복냉증, 수족냉증.


 

89. 지황음자 地黃飮子 

 

 治風劑 (補陽熄風)

 숙지황(熟地黃) 3.0 파극(巴戟) 3.0 산수유(山茱萸) 3.0 육종용 3.0 석곡(石斛) 3.0          원지(遠志) 3.0 오미자(五味子) 3.0 백복령(白茯笭) 3.0 맥문동(麥門冬) 3.0  포부자(暑附子) 1.5  육계(肉桂) 1.5  석창포(石菖蒲) 1.5  생강3편, 대추2편,   박하

 

[ 出  典 ]

宣明論方

◎ [治心神不交, 舌 足 ]

[심신이 불교하여 말이 잘 나오지 않고 다리가 마비된 증상을 다스린다.]


[ 處方解說 ]

고혈압으로 인하여 중풍이 되어 인후와 신체의 일부가 마비되었을 때

* 혈압을 하강하고

* 인후를 부드럽게 하며

*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부신을 강화하여 마비감을 개선한다.

기관지 점막에 영양이 부족하고 건조하여 기침이 나올 때

* 기관지점막에 영양을 공급하고, 진해작용을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육종용, 석곡은 혈압을 강하한다.

2. 포부자, 육계, 생강, 박하는 혈관을 강화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3. 숙지황, 오미자, 맥문동은 기관지, 인후와 기관지 점막에 자윤을 공급하여 인후를 부드럽게 한다.

4. 파극천, 포부자는 부신피질호르몬생성을 촉진하여 근육을 강화하고 마비감을 개선하며 진통작용을 한다.

5. 석창포, 원지, 백복령, 산수유는 뇌신경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신경안정작용을 한다.


 

[ 投  藥 ]

1. 기운이 없고 빈혈이 있으며 고혈압 또는 중풍으로 반신불수나 마비감이 있고 언어가 자유롭지 못하다.

2. 소화불량, 불면, 불안감이 있다.

 

[ 應  用 ]

1. 중풍, 반신불수, 언어건삽(言語乾 ).

2. 고혈압, 불면

3. 기침

 


90. 진무탕, 현무탕 眞武湯 

 

 거습제 (溫化水濕)

 

 복령(茯笭) 6.0  작약(芍藥) 6.0   생강(生薑) 6.0   백출(白朮) 4.0  포부자(暑附子) 2.0

 

[ 出  典 ]

傷寒論

◎ (少陰病門) [太陽病, 發汗, 汗出不解, 其人仍發熱, 心下悸, 頭眩, 身 動振振欲酸者 眞武湯主之.]

[태양병으로 땀을 내게 하고, 汗出해도 풀리지 않고, 그 사람이 계속 발열하며, 가슴이 두근거리며, 어지럽고, 몸이 흔들려서 땅에 넘어지려 할 때, 반드시 진무탕을 사용한다.]

◎ (少陰病門) [少陰病, 二, 三日不己, 至四, 五日腹痛, 小便不利, 四支沈重疼痛, 自下利者, 此爲有水氣, 其人或咳, 或小便利, 或下利, 或嘔者, 眞武湯主之.]

[소음병이 2, 3일이 되어도 낫지 않고, 4,5일에 이르러 腹痛하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사지가 무겁고 아프며, 설사하는 자는 수독이 있는 탓이다. 그 사람이 혹은 기침하고 혹은 소변이 잘 나오고, 혹은 잘 나오지 않거나, 혹은 토하는 사람은 반드시 진무탕을 사용한다.]


 

 

[ 處方解說 ]

 

심장근육이 노쇠하여 심장의 운동능이 약해져서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하지부종이 있을 때

* 심장의 기능을 강화하고, 하지부종을 개선한다.

인체의 사지말단에 분포된 모세혈관의 운동능이 저하되어 손발이 차고 기운이 없으며, 혈관운동능저하로 부종이 있을 때

* 혈관운동능을 강화하고 부종을 완화한다.

열에너지의 생산능저하로 소화관의 온도가 저하되고 세균성장염이 되어 소화불량과 복통, 또는 하리가 있을 때

* 진통, 진경작용을 하며 열에너지생산을 촉진하여 소화관의 체온을 정상화하고 항균작용을 한다.

신장사구체의 운동능이 저하되어 부종이 있을 때

* 신장사구체운동능을 강화하고 이뇨작용을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포부자는 심장기능을 강화하는 강심작용이 있다.

2. 포부자, 생강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신체말단에 체열을 전달하고 소화기관의 운동능을 강화한다.

3. 복령, 백출은 이뇨를 촉진하여 혈액순환부전으로 인한 부종을 완화한다.

4. 작약, 백출, 복령은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부자는 세포의 에너지대사를 활성화하여 에너지 생성을 촉진한다. 

5. 작약은 항균작용을 하여 장염을 개선한다.

6. 작약, 진통, 진경작용을 한다.


[ 投  藥 ]

1. 새벽이면 배가 아프고 설사가 난다.

2. 식곤증(食困症), 소화불량.

3. 어지러움.

4. 몸이 흔들려 넘어지려고 한다.

5. 가슴이 두근거린다.

6. 수족냉(手足冷).

7. 구토.

8. 설사.

9. 소변은 맑다.

10. 위내정수.



 

 

[ 應  用 ]

1. 감기, 폐렴, 늑막염, 폐결핵 등에 갈근탕이나 소시호탕 등을 복용하면 열이 더욱 상승하는 자는 체질이 허증때문이므로 본 방을 사용한다.

2. 신경쇠약, Menier's, 고혈압, 손발떨림, 어지러움, 운동실조, 다리가 약함 등에 진수음(振水飮)과 심하냉(心下冷)을 목표로 사용한다.

3. 심장판막증, 심장부전 등의 허증으로 심계항진 혹은 부종 혹은 계명하리[새벽에 설사 하는 것]증상을 나타낼 때.

4. 소화불량, 위아토니, 상습하리, 장염, 대장염 등에 계명하리(鷄鳴下利), 상복냉(上腹冷)의 증상이 있을 때.

5. 신염, 네프로제, 위축신(萎縮腎)등의 허증으로서 부종, 소변불리, 상복냉이 있을 때.

6. 각기(脚氣)로 사지가 무겁고 혹은 부종 혹은 소변불리의 증상이 있을 때.

7. 허증의 비만체질에 빈혈, 동계, 소변불리가 있을 때.

8. 반신불수나 구안와사에도 이용된다.

9. 근육류마티, 관절류마티 등에 몸이 무겁고 아프고 부종 있으면서 상복냉(上腹冷)이 있을때.

10. 습진, 두드러기, 노인성 소양증 등에 환부가 빈혈성이거나 부종상을 띄고 있고, 엷은 분비물이 다량으로 나오거나 가려워하는 허약한사람.

11. 야뇨증, 유뇨 등에도 냉성(冷性)빈혈을 목표로 사용할 때가 있다.


  

91. 청간해울탕 淸肝解鬱湯 

  

 癰瘍劑

인삼(人蔘) 4.5 패모(貝母) 4.5 복령(茯笭) 4.5  치자(梔子) 4.5 숙지황(熟地黃) 4.5

작약(芍藥) 4.5  목단피(牧丹皮) 4.5 백출(白朮) 4.5   당귀(當歸) 4.5    시호(柴胡) 2.4    천궁(川芎) 2.4   진피(陳皮) 2.4  감초(甘草) 1.5

 

[ 出  典 ]

證治準繩

◎ 乳癰乳巖項[治肝經血虛風熱 或肝經鬱火傷血 兩乳結核 或爲腫潰不愈 凡肝膽經血氣不和之症 皆宜用此藥]

[간경의 혈허와 풍열을 치료하며 간경의 울화로 혈액이 상하여 양쪽 유방에 핵이 맺히거나 또는 종궤가 낫지 않는 것은 간담(肝膽)의 기혈(氣血)이 불화하기 때문이므로 이 방제를 사용하여 다스린다.]

 

[ 處方解說 ]

평소에 혈허(血虛)하고 무기력한 체질자가 유방에 종양이 생겼거나 유방에 염증이 생겼을 때 또는 폐에 염증이 생겼거나 종양이 생겼을 때

* 조혈작용과 에너지 대사를 증진하여 면역능을 증강하고 항혈전작용과 항균, 소염, 항종양 작용을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당귀, 숙지황, 천궁, 작약은 조혈작용과 혈액순환작용을 한다.

2. 인삼, 복령, 백출, 감초는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여 면역능을 강화하고 체력을 강화한다.

3. 치자, 시호, 진피는 항알러지작용, 항고지혈작용, 소염작용을 한다.

4. 패모는 진해, 거담, 항종양작용을 하고 진피는 소염작용을 한다.

5. 목단피, 치자는 항혈전작용을 한다.


[ 投  藥 ]

1. 빈혈이 있고 무기력하며 면역능이 저하되어 만성으로 염증성 질환에 이환된다.

2. 갑상선이나, 유방, 또는 폐에 종양이 생긴다.

 

[ 應  用 ]

1. 유선염, 유종(乳腫)

2. 폐종양, 만성폐렴.

 

 

92. 청금강화탕 淸金降火湯 

 

 거담제 (潤燥化痰)

 

진피(陳皮) 4.5 행인(杏仁) 4.5 반하(半夏) 3.0  적복령(白茯笭) 3.0 길경(桔梗) 3.0         패모(貝母) 3.0   전호(前胡) 3.0  황금(黃芩) 3.0   석고(石膏) 3.0  괄루인 3.0            지각(枳殼) 2.4     감초(甘草) 0.9   생강3편

 

[ 出  典 ]

古今醫鑑

◎ [瀉肺胃中之火, 火降則痰消咳止.]

[폐와 위장의 火를 사하여 진해거담한다.]


[ 處方解說 ]

1. 위장운동능이 저하되어 있으면서 기관지염, 알러지천식, 폐암 등으로, 열이 있고, 기침을 하며 기관지점막의 부종으로 가래가 있을 때

* 항균작용과 해열작용을 하고

* 항알러지작용을하고,

* 진해, 거담작용을 하며

* 염증과 알러지로 인한 점막의 부종을 완화한다.

2. 위장운동능을 강화하여 기침으로 인한 소화불량을 개선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지각, 황금은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2. 진피, 행인, 반하, 지각, 패모는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3. 길경, 전호, 황금, 석고, 괄루인은 항균작용을 한다.

4. 백복령, 행인은 이뇨를 통해 기관지점막의 부종을 완화한다.

5. 패모, 황금은 항종양, 항암작용을 한다.

6. 석고는 해열작용을 하고, 괄루인은 만성적인 항원항체반응에 의한 세포에 영양을 공급한다.

7. 반하, 진피, 지각은 위장운동능을 강화하고, 황금은 담즙분비를 촉진한다.


[ 投  藥 ]

1. 기침이 나고 누런 가래가 있다.

2.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찬다.

 

[ 應  用 ]

1. 감기, 폐염, 폐결핵

2. 기관지염, 모세기관지염.


  

93. 청상방풍탕 淸上防風湯 

  

 淸熱劑 (淸熱解毒)

 

방풍(防風) 1.5 형개(荊芥) 3.0  산치자(山梔子) 3.0   황련(黃連) 3.0  연교(連翹) 5.0      백지(白芷) 5.0  박하엽(薄荷葉) 3.0 지각(枳殼) 3.0   길경(桔梗) 5.0  천궁(川芎) 4.0      황금 (黃芩) 4.0 감초(甘草) 0.5

 

[ 出  典 ]

萬病回春

◎ (卷下 面病) [淸上焦火. 治頭面. 生瘡癤風熱之毒.]

[상부의 열감을 없애고, 열독으로 인해 생긴 머리와 얼굴의 피부병을 고친다.]


[ 處方解說 ]

1.얼굴 모세혈관의 울혈과, 고점도혈증과, 피지(皮脂)의 과잉분비로 여드름 같은 여러 가지 안면(顔面)의 염증성질환에

* 피지의 과잉 분비를 억제하고, 혈액의 점도를 저하시키며,

* 모세혈관의 울혈을 완화한다.

* 소염작용을 한다.

* 항균작용을 한다.

2. 형방패독산을 쓰기에는 약하고 방풍통성산을 쓰기에는 너무 강한체질자에 사용한다.

울혈성 염증이므로 금은화 8g를 가하여 사용하면 좋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형개, 산치자, 황련, 박하엽, 길경, 황금은 소염작용을 하여 피부병을 개선한다.

2. 방풍, 형개, 연교는 항균작용을 하여 세균성 피부질환을 완화한다.

3. 산치자, 황련, 황금은 혈액의 점도를 저하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혈관의 울혈을 개선한다.

4. 연교, 황금, 감초, 지각은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5. 천궁, 박하엽, 백지, 방풍은 해열, 진통작용이 있다.

 

[ 投  藥 ]

1. 혈관의 울혈로 인하여 얼굴은 붉고 상충을 호소하는 신체상부의 만성 염증이 있다.

 

[ 應  用 ]

1. 주로 건장한 청년남자의 붉은 얼굴에 붉은 색깔의 여드름과 충혈성습진.

2. 두부(頭部)습진.

3. 주사비(酒渣鼻), 안면충혈에 사용할 때가 있다.


 

94. 청서익기탕 淸暑益氣湯 

  

 祛暑劑

 

 인삼(人蔘) 5.0 백출(白朮) 5.0   맥문동(麥門冬) 6.0 당귀(當歸) 6.0  황기(黃耆) 6.0       진피(陳皮) 3.0    황백 (黃柏) 3.0  감초(甘草) 3.0

 

[ 出  典 ]

醫學六要 

[ 處方解說 ]

1. 빈혈에다 인체의 에너지대사능은 저하되어 있고, 세포에 영양은 부족하여, 한선(汗腺)이 열려 있는 여름에는 세포의 간질액이 피부로 쉽게 배설되어 도한(盜汗)증상을 나타내므로 ;

* 땀을 많이 흘리고 기운이 없고

* 식욕이 저하되어 있을 때

2. 여름에 식중독으로 인하여 설사와 복통이 있을 때

3. 도한(盜汗)으로 인하여 면역능이 저하되어 기관지염에 감염되어 기침을 하고 기운이 없을 때

4. 면역능의 저하로 요도염증이 잘 생겨서 소변불리가 있을 때

*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도한(盜汗)을 완화하며,

* 땀띠의 생성을 억제하고,

* 비특이적 면역능을 강화하여 강장(强壯)작용을 하며,

* 식중독으로 인한 설사에 항균작용을 하고,

* 식욕을 촉진하며,

* 기관지염에 항균, 진해작용을 한다.

* 비뇨기의 염증을 완화하고 이뇨를 증진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인삼, 백출, 맥문동, 황기는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도한(盜汗)을 완화하고, 에너지대사를 활성화하여 체력을 강화한다.

2. 진피, 백출, 인삼은 소화를 증진한다.

3. 황백은 세균성 설사에 항균작용을 한다.

4. 황백, 인삼은 식욕을 증진한다.

5. 맥문동, 진피는 기관지염에 항균, 진해작용을 한다.

6. 진피, 황백, 맥문동, 황기는 비뇨기의 염증을 개선하고 백출은 이뇨를 증진한다.


[ 投  藥 ]

1. 빈혈, 전신권태, 땀을 많이 흘리고, 소변의 양은 적고 식욕이 없다.

2. 기침을 하거나 설사를 잘 한다.

3. 소변은 붉고 탁하며 도수는 잦다.

4. 어지럽다.

 

[ 應  用 ]

1. 도한(盜汗)과 기침.

2. 폐결핵 환자가 여름을 심하게 탈 때.

3. 도한(盜汗)이 많은 사람이 기관지염에 감염이 잘 될 때.

4. 식중독에 잘 걸릴 때.

 

 

95. 청심연자음 (淸心蓮子飮) 

  

 補益劑 (補陽劑)

연육(蓮肉) 8.0 인삼(人參) 8.0 황기(黃耆) 6.0 복령(茯笭) 6.0 황금(黃芩) 4.0              차전자(車前子) 4.0   지골피(地骨皮) 4.0  감초(甘草) 2.0 맥문동(麥門冬) 4.0

 

[ 出  典 ]

和劑局方

◎ (痼冷門) [治心下畜積, 時常煩躁, 因而思廬, 勞力憂愁, 抑鬱是致, 小便白濁, 或有沙膜, 夜夢走泄, 遺瀝澁痛, 便赤如血, 或因酒色過度, 上盛下虛, 心火炎上, 肺金受剋, 口舌乾燥, 漸成消渴, 睡臥不安, 四肢倦怠, 男子五淋, 婦人帶下赤白, 及病後氣不收斂, 陽浮於外, 五心煩熱,藥性溫平, 不冷不熱, 常服, 淸心養神, 秘精補虛, 滋潤腸胃, 調順氣血.]

[심하에 혈액순환이 되지 못하고, 소화가 되지 못하여 항상 번조하고 신경이 약하여 근심걱정이 많고 기분이 좋지 않으며, 소변에는 흰색의 탁한 물질이 나오고, 눈에 막이 덮인다든가, 몽정을 하고, 뇨도가 아프고, 혈변보는 것을 고친다. 또는 주색의 과도로 몸의 상부는 울혈되고, 하부는 허약해지고 심장과 상부의 열 때문에 입이 마르고 차차 소갈병이 되어 누워자기가 불안하고, 사지권태가 있다. 남자의 五淋과 여자의 백대하증을 고친다. 또 병을 앓고 난 후에 원기가 생기지 못하여 양기가 밖으로 부상하고, 오심이 번열하는 것을 고친다 약성은 따뜻하고 평온하며 열도 없고 차지도 않다. 상복하면 마음을 맑게 하고 정신을 도우고, 정력을 증강하고, 허약함을 보하고 위와 장을 자윤케하며 기혈의 순조롭게 한다.]

 

[ 處方解說 ]

세포에 영양이 부족하여 에너지대사능이 저하되어 기운이 없고, 면역능이 저하되어 비뇨기나 장염(腸炎), 기관지염에 잘 이환되어 만성방광염, 만성신염, 만성장염, 만성기관지염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

* 비특이적 면역능을 증가하여 강장(强壯)작용을 하고,

* 소염, 항균작용을 하며

* 진해작용을하고,

* 신경계를 강화한다.

* 이뇨작용을 하여 장염증상에 설사를 완화하며 비뇨기의 염증에 이뇨 소변불리를 개선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연육, 인삼, 황기, 맥문동, 복령은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대사능을 활성화하고 강장작용을 한다.

2. 맥문동, 차전자, 연육, 지골피는 항균작용을 한다.

3. 연육, 인삼, 황금은 소화기관의 운동능을 강화한다.

4. 황금, 지골피, 맥문동은 소염작용을 한다.

5. 맥문동, 연육은 진해작용을 한다.


[ 投  藥 ]

1. 소변을 자주 보고 싶고 소변이 쌀뜨물처럼 혼탁하고 혹은 기름과 같거나 혹은 잔뇨감 혹은 유뇨감이 있다.

2. 소변줄기도 약하다.

 

[ 應  用 ]

1. 잔뇨감, 뇨의빈삭(尿意頻數)과 뇨혼탁

2. 비뇨기계, 부인과계의 모든 만성허증(慢性虛症)의 염증성질환에 사용.

3. 당뇨병으로 소변이 기름과 같고 갈증이 있으며 사지가 노곤할 때.

4. 만성신염, 신우염등의 허증증상에 면역능강화를 목적으로.

5. 비후성비염(肥厚性鼻炎), 만성허증성(慢性虛症性)축농증.

6. 허증의 만성알러지천식.


 

96. 평위산 平胃散 

   

 거습제 (芳香化濕, 運脾除濕)

창출(蒼朮) 6.0 진피(陳皮) 4.2     감초(甘草) 1.8

[ 出  典 ]

 和劑局方

◎ 治一切氣[治脾胃不和, 不思飮食, 心腹脇肋, 脹滿自痛, 口苦無味, 胸滿短氣, 口 惡心, 噫氣呑酸, 面色萎黃, 肌體橡弱, 怠惰嗜臥, 體重節痛, 常多自利, 或發?亂, 及五 八 , 膈氣反胃,  宜服之]

   [비위가 불화하여 음식생각이 없고 옆구리와 배가 부르며 콕콕 찌르는 것 같다. 입이 쓰고 음식 맛을 모르며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찬다. 딸꾹질이 나고 속이 메슥거리며 하품을 하고 신물이 올라온다. 얼굴이 누렇게 뜨고 몸이 약해지며 힘이 없어서 눕고만 싶다. 항상 설사가 나오며 혹은 곽란이 일어난다. 또는 목이 메며 가슴이 꼭 막힌다. 음식이 내려가지 않고 위가 뒤집어지는 것 같다. 이 모든 것을 고친다.]


[ 處方解說 ]

담즙분비가 안 되어 소화관의 운동능이 저하되어 가스가 차고, 소화가 안되며, 장염으로 인하여 헛배가 부르고 구역과 구토가 있으며 위산과다가 있을 때

* 담즙분비를 촉진하여 소화관운동능을 강화하고

* 세균성장염에 항균작용을 하며

* 소화관점막의 부종을 완화하여 구역과 구토를 개선하며 위산과다증을 개선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진피는 답즙분비를 촉진하여 소화관운동능을 강화한다.

2. 후박은 항균작용을 하여 장염을 개선하고 복통에 진경작용을 한다.

3. 창출은 소화관점막의 부종을 완화하여 구역과 구토를 개선한다.

4. 창출은 제산작용을 하여 위산과다증을 개선하고 감초는 위염증상을 완화한다.


 

[ 投  藥 ]

1. 위산과다증이 있고 소화가 안되며 이급후중, 헛배가 부르다.

 

[ 應  用 ]

1. 위산과다와 소화불량이 있고 설사나 이급후중이 있을 때

2. 장염, 복부팽만감

[참고] : 평위산에 오령산을 합방하면 위령탕(胃笭湯)이 된다.

 

 

97. 형개연교탕 荊芥連翹湯 

  

 淸熱劑 (淸熱解毒) 

 당귀(當歸) 3.0   작약(芍藥) 3.0 천궁(川芎) 3.0  숙지황(熟地黃) 3.0 황련(黃連) 3.0       황금(黃芩) 3.0 황백(黃柏) 3.0 산치자(山梔子) 3.0  시호(柴胡) 4.0 연교(連翹) 3.0         방풍(防風) 3.0 박하엽(薄荷葉) 3.0 형개(荊芥) 3.0 감초(甘草) 3.0지각(枳殼) 3.0           백지(白芷) 5.0  길경(桔梗)5.0

 

[ 出  典 ]

一貫堂 

[ 處方解說 ]

평소에 혈허(血虛)하면서, 만성염증이 있거나, 만성알러지가 있는 선병체질의 사람이, 만성염증으로 혈액의 점도는 높고, 신경은 예민할 때

* 신경을 안정시키며

* 항균작용을 하고,

* 소염작용을 하고,

* 조혈작용을 하고,

* 항알러지 작용을 하여 체질을 개선한다.


[참고]

1. 체질자체를 개선해야 되므로 오랫동안 사용해야 되며 임상경험에 의하면 유년기에는 시호청간산증이었다가 청년기가 되면 본 방증이 된다. 그러므로 본 방은 청년기의 선병체질 개선약의 1차선택약이다.

2. 온청음이 기본방이며 그외에 소염제가 많이 처방되어 있어서 체질적인 고지혈증, 고점도혈증, 혈소판응고증 등으로 인한 여러가지 염증과 알러지를 개선하며, 또는 만성염증에 의한 고점도 혈증과 신경질환을 개선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황련, 황금, 치자, 천궁, 시호는 진정작용이 있다.

2. 황백, 황련, 연교, 방풍, 우방자, 형개는 항균작용을 하고 특히 우방자는 인후염에 항균작용이 강하다.

3. 치자, 박하엽, 시호, 황금, 황련, 황백, 길경, 형개는 혈액의 점도를 낮추고 소염작용을 한다.

4. 천궁, 작약, 당귀, 숙지황은 조혈작용과 혈액순환 촉진작용을 한다.

5. 백지, 박하엽은 진통작용이 있다.

6. 황금, 지각은 소화를 촉진한다.

7. 황금, 연교, 지각, 시호, 박하엽은 항알러지 작용을 한다.

8. 시호는 면역능을 조절하여 감염을 예방한다.

 

[ 投  藥 ]

1. 빈혈성이면서 혈액의 점도가 높아서 얼굴이나 눈이 충혈 되거나 신경이 예민한 사람이 급만성 중이염, 또 는 알러지비염 등의 증상에 기름 같은 농이 나올 때가 많다.

2. 피부는 검고 약간의 광택을 띄며 주로 비후성비염, 편도염, 축농증, 중이염 등을 만성적으로 앓고 있을 때가 많다.

 

[ 應  用 ]

1. 비후성(肥厚性)비염, 알러지비염, 축농증.

2. 편도염, 여드름, 만성중이염 등을 만성적으로 앓고 있는 선병체질청년의 체질개선 약이다.

 

  

98. 형방패독산 荊防敗毒散 

 

 解表劑 (濕熱毒)

강활(羌活) 3.0 독활(獨活) 3.0 시호(柴胡) 3.0 전호(前胡) 3.0 적복령(赤茯笭) 3.0         인삼(人蔘) 3.0   지각(枳殼) 3.0  길경(桔梗) 3.0  천궁(川芎) 3.0 형개(荊芥) 3.0          방풍(防風) 3.0 감초(甘草) 1.5

 

[ 出  典 ]

攝生衆妙方

◎ 瘡門 [治瘡腫初起]

[초기의 창종을 치료한다]



 

 

[ 處方解說 ]

 항알러지 작용이 강한 인삼패독산에, 항균작용이 강한 형개와 방풍을 가하여 감기와 피부의 염증과 알러지, 부종증상 완화를 강조하였다.

즉  염증이 만성으로 진행되는 체질자가 감기에 이환되었을 때,

염증과 알러지로 발적, 화농, 종창 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

* 체력과 면역능을 증강시켜 염증을 빨리 개선하고, 발한으로 체열을 피부로 배설하며,

* 소염, 항알러지작용, 진통작용을 하고,

* 강력한 항균작용을 하여 국소의 염증을 개선하고, 발적, 종창증상을 개선한다.

* 세포에 진액(津液)과 산소를 공급하여 피부질환을 개선한다.


[참고] 

본 방은 인삼패독산증의 피부알러지증상에다 감염증과 부종이 심해진 상태이고, 십미패독산증의 염증성 옹종 등에 비해서는 비록 염증성이기는 하지만 가려움 등의 알러지증상이 심한 경우에 사용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강활, 독활, 방풍, 형개는 약한 발한작용을 하며 진통작용이 있다.

2. 지각, 시호는 항알러지작용을 하며, 전호, 길경은 소염작용을 한다.

3. 인삼, 시호는 면역능을 증강한다.

4. 복령, 생강은 이뇨를 증진하여 점막, 피부의 부종을 완화한다.

5. 방풍, 형개는 강한 항균작용을 한다.


[ 投  藥 ]

1. 발적, 화농, 종창을 나타내는 피부질환, 상 하기도질환이 만성적이고 상습적으로 발생한다.

2. 오한, 발열 두통이 있다.

 

[ 應  用 ]

1. 유행성독감으로 발열, 두통, 신체통, 코막힘 등의 증상이 있으면서 기관지, 폐의 염증이 겸해서 기침을 하고 가래를 토해낼 때.

2. 축농증, 눈병, 습진, 두드러기, 유방암, 두창등의 피부병이 상습적으로 발병하여 병상이 완만하고 빨리 개선되지 않을 때.


[참고] : 가미패독산, 인삼패독산, 십미패독산, 형방패독산의 차이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강활, 독활, 전호, 시호, 복령,지각, 감초, 천궁, 인삼, 길경, 생강, 박하 → 몸이 허약한 사람이(임삼, 복령, 감초) 감기에 걸려서 기관지점막의 알러지성 염증(시호, 전호, 지각)으로 약하게 열이 있고 통증이 있으며(강활, 독활),가래가 있을 때(길경, 전호)와 → 국소가 염증 또는 알러지로 열이 생겨서 발적, 종창, 가렵고,  농이 생기려할 때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

강활, 독활, 전호, 시호, 복령,지각, 감초, 천궁, 인삼, 길경, 생강 대황, 창출, → 인삼패독산증에 변비가 있고(대황), 부종이 심하며(창출), 혈액의 점도가 높을 때(대황)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

강활, 독활, 전호, 시호, 복령,지각, 감초, 천궁, 인삼, 길경, 형개, 방풍 → 인삼패독산증에 염증이 심하여 반드시 발한을 증가시키면서 항균제(형개, 방풍)을 사용해야 할 때


 십미패독탕(十味敗毒湯)

독활, 시호, 복령, 화피, 감초, 천궁, 생강, 길경, 방풍, 형개, → 위의 패독산증보다 몸은 약하지 않고(인삼이 없음), 감염증이 심해서 옹종, 결가 등이 있거나 열이 심하여 발한성(發汗性) 항균제(형개, 방풍)를 사용해야 하고, 가려움(화피)이 있으며 알러지는 심하지 않고(전호,지각이 없음), 가래도 많지 않다(전호가 없음).


  

99. 황련아교탕 黃連阿膠湯 

  

 淸熱劑 (淸瀉肝膽)

 황련(黃連) 8.0 황금(黃芩) 4.0 작약(芍藥) 4.0 아교(阿膠) 3.0 난황 1개(아교,난황외 3가지를 물 600cc로 달인후 찌거기를 제거하 고 아교를 넣어서  다시 불에 얹어서 용해시킨 후 조금 식혀서 난황 1개를 넣고 잘 저어서 2번 나누어 마신다.

 

[ 出  典 ]

傷寒論

◎ (少陰病) [少陰病, 得之二三日以上, 心中煩, 不得臥, 黃連阿膠湯主之.]

[소음병을 얻은지 2, 3일이 되어 가슴이 답답하고 누워 있을 수가 없을 때 반드시 황련아교탕을 사용한다.]

 

[ 處方解說 ]

신경의 흥분과, 뇌세포의 영양부족으로 정신질환(精神疾患)이 생기거나, 열병(熱病)으로, 체액이 심하게 소모되어, 영양부족으로 인하여 뇌(腦)의 흥분 억제과정이 약해져서 나타나는 정신질환 증상에

* 뇌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뇌신경의 흥분을 억제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아교, 난황은 뇌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뇌신경 흥분을 억제한다.

2. 작약, 황련, 황금은 진정작용을 한다.

 

[ 投  藥 ]

가슴속이 답답하고 잠을 자지 못하며 흥분, 심계항진, 머리가 무겁고 안면 홍조가 있다.


 

 

[ 應  用 ]

1. 주로 허증에 사용하며 속에 열이 있고 체액이 마르고 가슴이 답답하여 잠을 자지 못할 때.

2. 신경정신질환으로 히스테리, 노이로제, 정신분열증.

3. 밤에 잠을 자지 못할 정도로 맹렬히 가려운 피부병에 사용한다.

4. 의처증 환자.

5. 코피, 객혈, 토혈, 안출혈, 혈뇨 등.

6. 대장염, 적리(赤利), 직장궤양 등에 설사하거나 농혈(膿血)이 있을 때.

7. 소변이 붉고 탁하며 열탕(熱湯)과 같이 뜨거울 때.


 

100. 황련해독탕 黃連解毒湯 

 

   淸熱劑 (淸熱解毒)

  황련(黃連) 2.0  /  황백(黃柏) 5.0  /  황금(黃芩) 5.0  /  산치자(山梔子) 5.0 

[ 出  典 ]

外臺秘要

◎ (券一 崔氏方) [又前軍督護劉車者, 得時疾三日已汗解, 因飮酒復劇, 苦煩悶乾丘, 口燥呻吟, 錯語不得臥, 余思作此黃連解毒湯方.]

[또 전군독호인 유차라는 사람이 질병을 얻어 3일 만에 땀을 내고, 풀린 후에 다시 술을 너무 과음하여 가슴이 답답하고, 건구역질을 하고, 입이 바싹 말라서 말이 잘 되지 않고 누워 있지도 못할 때, 이 때는 황련해독탕을 사용한다.]   

 

[ 處方解說 ]

중추신경과 교감신경은 흥분되어 있고 혈액은 점도가 높고, 혈소판응고 항진증과 혈관울혈증으로 얼굴이 붉어지거나 코피 등의 출혈이 있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 초조 등 신경, 정신증상이 있고, 고점도혈증으로 산소공급이 저하되어 각종 염증성 질환이 잘 생기고, 알러지 질환이 될 때 * 중추신경과 교감신경 흥분을 억제하고,

* 고점도혈증을 완화하고, 모세혈관의 울혈을 개선한다.

* 혈소판응고 항진을 억제하고 혈관의 염증성충혈(充血)을 개선하여 조직세포와 뇌세포에 산소공급을 증진하며

* 항균작용과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

1. 황련, 황금, 산치자는 진정작용을 한다.

2. 황련, 황백, 황금은 혈관의 울혈을 완화하고, 혈액의 점도를 낮춘다.

3. 황백, 황련, 황금은 항균작용을 하며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 投  藥 ]

 

1. 얼굴색이 붉고(선홍색), 기분은 침착하지 못하고 가끔 얼굴에 열감(熱感)이 치솟는 증상이 나타난다.

2. 불안, 초조, 심계항진, 불면(不眠)이 있다.

3. 코피가 잘 터지거나 출혈(出血)이 잘된다.[고점도혈증과 교감신경 흥분에 의한 혈관수축으로)

4. 모든 질환에 선홍색을 나타낸다.   

 

[ 應  用 ]

 

1. 간염(肝炎), 간경화(肝硬化), 지방간(脂肪肝)..

2. 선홍색의 토혈(吐血), 하혈(下血), 각혈(喀血).

3. 갱년기장애, 노이로제, 정신병(精神病) 등의 뇌신경질환에 뇌혈관 울혈을 개선하여 산소공급을 촉진시키므로 많이 처방된다.

4. 고혈압으로서 안면홍조, 불면(不眠), 불안등(신경계 흥분증상과 고점도혈증)이 있을 때.

5. 주사비(酒渣鼻)는 모세혈관이 울혈, 확장된 결과이므로 본 방이 많이 사용된다.

6. 결막염, 비뇨기계의 염증.

7. 혈관수축과 고점도혈증[혈소판응고항진]으로 인하여 조직에 산소공급이 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모든 염증, 알러지피부에 선홍색 피부반점을 목표로 사용한다.

 

'Etc > 건강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소,과일로 감기 차 만드는 법  (0) 2014.01.08
척추운동법  (0) 2013.12.20
한약재 약리작용(효능)  (0) 2013.12.20
민간 약초주(약초술)  (0) 2013.10.29
민간 약초 303가지 효능  (0) 2013.09.17